멧돼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인간과 피해 문제: 날짜 링크 삭제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돼지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산돼지|희곡|산돼지 (희곡)}}
{{생물 분류
|이름=멧돼지
|화석_범위=<small>[[플라이스토세]] 전기–[[현대]]</small>
|색=동물
|그림=Locha i pasiaki.jpg
|상태 = LC | 상태_기준 = iucn3.1
|상태_출처 =<ref name=iucn>{{저널 인용 | author = Oliver, W. | author2 = Leus, K. | last-author-amp = yes | title = ''Sus scrofa'' | journal =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 volume = 2008 | page = e.T41775A10559847 | date = 2008 | url = http://oldredlist.iucnredlist.org/details/41775/0 | doi = 10.2305/IUCN.UK.2008.RLTS.T41775A10559847.en | access-date = 13 January 2018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90411181249/http://oldredlist.iucnredlist.org/details/41775/0 | 보존날짜 = 2019-04-11 | url-status = dead }}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ref>
|대한민국환경부=유해
|대한민국환경부_출처=<ref>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11&subMenu=011016&contCd=011016001</ref>
|계=[[동물|동물계]]
|문=[[척삭동물|척삭동물문]]
|강=[[포유류|포유강]]
|목=[[우제류|우제목/경우제목]]
|과=[[멧돼지과]]
|속=[[멧돼지속]]
|종='''멧돼지'''
|학명=Sus scrofa
|학명_명명=[[칼 폰 린네|Linnaeus]], 1758
|지도=Sus scrofa range map.jpg
}}
 
'''멧돼지'''({{llang|en|wild boar 또는 wild pig}}<ref name=heptner1988>Heptner, V. G. ; Nasimovich, A. A. ; Bannikov, A. G. ; Hoffman, R. S. (1988) [https://archive.org/stream/mammalsofsovietu11988gept#page/18/mode/2up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ume I, Washington, D.C. :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and National Science Foundation, pp. 19–82</ref><ref>{{웹 인용|url=https://www.britannica.com/animal/boar-mammal|title=Boar - mammal|publisher=}}</ref>, {{학명|Sus scrofa|수스 스크로파}})는 [[멧돼지과]]에 속한 [[가축화]]된 [[돼지]]의 조상으로 '''산돼지''', '''유라시아멧돼지'''<ref name="oliver1993">Oliver, W. L. R. et al. 1993. The Eurasian Wild Pig (''Sus scrofa''). In Oliver, W. L. R., ed., ''Pigs, Peccaries, and Hippos – 1993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112–121. IUCN/SSC Pigs and Peccaries Specialist Group, {{ISBN|2-8317-0141-4}}</ref>, '''야생돼지'''<ref>{{웹 인용|url=https://www.britannica.com/animal/boar-mammal|title=Boar - mammal}}</ref>라고도 일컫는다. 본래는 [[유라시아]]·[[북아프리카]]·[[대순다 열도]] 등지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인간의 영향으로 점차 [[호주]]·[[파푸아뉴기니]]·[[폴리네시아]]·[[카리브해]]·[[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등으로 퍼져나가 [[멧돼지과]] 내에서는 물론 세계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포유류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ref name="oliver1993"/> 전세계적으로 개체 수가 무척 많고 적응력이 뛰어나 현재로서는 멸종의 우려가 없는 수준으로,<ref name=iucn/> 원래 없었다가 도입된 지역에서는 달갑지 않은 외래종으로 여겨진다. [[플라이스토세]] 전기 [[동남아시아]]에서 진화한 종으로서<ref name=chen2007>{{저널 인용| last1 = Chen | first1 = K. |display-authors=etal | year = 2007 | title = Genetic Resources, Genome Mapping and Evolutionary Genomics of the Pig (''Sus scrofa'') | url = | journal = Int J Biol Sci | volume = 3 | issue = 3| pages = 153–165 | doi = 10.7150/ijbs.3.153 }}</ref> 다른 멧돼지과 동물들과 경쟁하여 생존하면서 [[구세계]] 각지로 퍼져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kurten1968>Kurtén, Björn (1968). Pleistocene mammals of Europe. Weidenfeld and Nicolson. pp. 153–155</ref>
 
1990년까지 도합 16종의 아종이 밝혀졌고, 이 아종들은 서식지와 [[두개골]], [[누골]] 길이에 따라 다시 네 가지 부류로 나뉜다.<ref name=msw3>{{MSW3 Wozencraft|id =14200054 }}</ref> 암컷과 새끼들로 이루어진 모계 가족단위로 생활하며 장성한 수컷은 번식기를 빼면 홀로 지낸다.<ref name="marsan75">{{Harvnb|Marsan|Mattioli|2013|pp=75–76}}</ref> 극동아시아·대순다 열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불곰]], [[호랑이]]가 최대 천적이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회색늑대]],[[들개]], [[표범]], [[스라소니]], [[아시아사자]], [[아시아치타]], [[바다악어]], [[코모도왕도마뱀]] 등이 그 자리를 대체한다.<ref name=baskin2003>Baskin, L. & Danell, K. (2003), ''Ecology of Ungulates: A Handbook of Species in Eastern Europe and Northern and Central Asia'',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15–38, {{ISBN|3-540-43804-1}}</ref><ref name="auffenberg1981">Affenberg, W. (1981), ''The Behavioral Ecology of the Komodo Monitor'', University Press of Florida, pp. 248, {{ISBN|081300621X}}</ref> 역사를 통틀어 인간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동물로서 식량을 제공하는 주요 사냥감의 역할을 했고 일부는 [[가축화]]되어 [[돼지|집돼지]]가 되기도 하였으며, [[신대륙]] 및 [[호주]]에서는 멧돼지와 집돼지의 교잡종이 생기기도 하였다.
 
== 멧돼지의 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