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http://news.naver.com → [https://news.naver.com)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 || {{빈칸}} || rowspan="4"|1982년|| [[이범호]]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한국프로야구|1994년에 출시된 비디오 게임|한국프로야구 (비디오 게임)}}
{{스포츠 리그 정보
| 제목 = KBO 리그
|현재 시즌 = [[2024년 KBO 리그]]
| 로고 = Kbo-logo.png
| 로고크기 =
| 로고자막 = KBO 구 로고
| 종목 = 야구
| 설립연도 = {{시작 날짜와 나이|1982}}
| 팀수 = 10
| 하위 리그 = [[KBO 퓨처스리그]]
| 나라 = {{ROK}}
| 최근 우승 팀 = [[LG 트윈스]]([[2023년 KBO 리그|2023]])
| 최다 우승 팀 = [[KIA 타이거즈]](11회)
| 웹사이트 = [http://www.koreabaseball.com/ KBO]
}}
 
'''KBO 리그'''({{llang|en|KBO League}})는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이다. [[1981년]] [[12월 11일]] 총 6개 구단이 '''한국프로야구창립총회'''에 참가하여 프로야구 출범을 공표하여 구체화되었다.
 
== 출범 배경 ==
[[1979년]] [[12·12 군사 반란|12·12 반란]]과 [[1980년]] [[5·18 쿠데타|5·18 계엄령]]으로 정권을 잡아 집권한 [[전두환]]은 소위 '[[3S 정책]]'을 이용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32200289105003&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3-03-22&officeId=00028&pageNo=5&printNo=1509&publishType=00010 프로야구 당국지원으로 화려한 출범] [[한겨레]] 1993년 3월 22일</ref> [[1981년]]당시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전두환은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국민정서, 여가선용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프로 스포츠 한번 해봐라"라고 지시를 내렸다.<ref name=SprotsKoreaFantasy>정희준, 《스포츠 코리아 환타지》 개마고원</ref> 실무를 담당한 이상주 당시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 비서관은 대통령의 지시대로 [[대한야구협회]]와 [[대한축구협회]]에 프로화를 타진하고, 당시 야구 선수인이었던 이호헌과 이용일이 18쪽 분량의 '프로야구창립계획서'를 만들게 되었다.<ref>[http://www.xportsnews.com/tabid/92/EntryID/93531/language/ko-KR/Default.aspx 많은 원로들의 노력이 프로야구 탄생을 가능하게 했다]{{깨진 링크|url=http://www.xportsnews.com/tabid/92/EntryID/93531/language/ko-KR/Default.aspx }} 《엑스포츠뉴스》, 2009년 1월 28일</ref> 축구계가 프로화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고 보고한 것과 달리 야구계는 "정부 보조 한 푼 없이 프로 야구를 출범시킬 수 있다"라고 보고했고, 이 제안이 당시 집권자들의 구미를 당기게 되었다. 이후 각 지역을 연고지별로 분할하고 창단 기업을 물색하게 되었다.
 
프로 야구에 참여할 기업을 선정할 때는 모기업의 조건은 재무구조가 건실한 상시노동자 3만명 이상의 대기업이었다. 초기 기획단계에서 연고지 배정은 서울은 [[문화방송|MBC]], 부산은 [[롯데그룹|롯데]]였다.<ref name=SprotsKoreaFantasy/> 정치인들은 자신의 혈연, 지연, 학연들을 모조리 동원해 그룹총수들을 설득하기 시작했고 그에 의해 [[두산그룹]]이 자사 주류 [[OB 맥주|OB]]의 이름을 내걸고 충청권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역시 정계인물들과 관계가 돈독했던 [[해태제과식품|해태]]의 박건배 회장이 전라권에 해태를 참여시켰다.
 
== 역사 ==
{{본문|KBO 리그 역사}}
 
== 현재 참가 구단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 text-align:left" color:white
|-
! 팀명
! 지역
! 홈 경기장
! 제2 홈 경기장
! 창단
! 리그 참가 시작
! 감독
|-
| '''[[롯데 자이언츠]]''' || [[부산광역시|부산]] || [[사직야구장]] || [[울산문수야구장]] || 1975년 ||rowspan=5|1982년|| [[김태형 (1967년)|김태형]]
|-
| '''[[KIA 타이거즈]]''' || [[광주광역시|광주]]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 {{빈칸}} || rowspan="4"|1982년|| [[이범호]]
|-
| '''[[삼성 라이온즈]]''' || [[대구광역시|대구]] ||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 [[포항야구장]] || [[박진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