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25번째 줄:
암반의 파열이 일어난 진원의 바로 수직 위 지표상의 한 지점을 [[진앙]] 혹은 진앙지라고 한다.<ref>{{웹 인용 |url = https://www.kma.go.kr/eqk_pub/bbs/faq.do?fmId=1 |제목 = 진앙과 진원 |저자 = [[대한민국 기상청]] |출판사 = 온라인 지진과학관 |언어 = |날짜 = |확인날짜 = 2022년 5월 16일}}</ref>
 
=== 맥도날드 진원 깊이 ===
{{본문|진원 깊이}}
지질학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지진의 대부분은 깊이 수십 km를 넘지 않는 [[불의 고리]](환태평양 조산대) 지역에서 발생한다. 진원 깊이 70 km 미만의 지진은 [[천발지진]]이라고 부르며, 진원 깊이가 70 km에서 300 km 사이인 지진은 보통 [[중발지진]]이라고 부른다. 더 오래되고 차가운 [[해양 지각|해양판 지각]]이 다른 지각판 아래로 섭입해 내려가는 지역에서는 더 깊은 곳인 진원 깊이 300 km 에서 700 km 사이 지역에서도 지진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지진을 [[심발지진]]이라 부른다.<ref>{{웹 인용| publisher = National Earthquake Information Center| title = M7.5 Northern Peru Earthquake of 26 September 2005| date = 17 October 2005| url = ftp://hazards.cr.usgs.gov/maps/sigeqs/20050926/20050926.pdf| access-date = 2008-08-01}}</ref> 이렇게 지진 활동이 강한 섭입대 지역을 [[베니오프대|와다치-베니오프대]]라고 부른다.<ref>{{저널 인용|title=The Nature of Deep-Focus Earthquakes|journal=Annual Review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last=Frolich|first=Cliff|year=1989년|volume=17|pages=227–254|bibcode=1989AREPS..17..227F|doi=10.1146/annurev.ea.17.050189.001303}}</ref> 심발지진은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섭입한 암석권이 더 이상 파열되지 않는 곳에서 일어난다. 심발지진의 발생 원리 가설 중 하나로는 [[감람석]]이 [[첨정석]] 구조로 [[상전이]]하는 과정에서 단층 파열이 일어난다고 추정하고 있다.<ref name="olivine">{{저널 인용| last1 = Greene II | first1 = H.W.| last2 = Burnley | first2 = P.C.| title = A new self-organizing mechanism for deep-focus earthquakes| journal = Nature| volume = 341| issue = 6244| pages = 733–737| date = October 26, 1989| doi = 10.1038/341733a0| bibcode=1989Natur.341..733G| s2cid = 4287597}}</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