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231번째 줄:
{{col-end}}
 
미국 위탁생도는 2학년 2학기부터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기초군사훈련(Beast Training)부터 다시 수료한 뒤 4년간 생도생활을 하기 때문에 1년 늦게 임관하며 소위가 아닌 중위로 임관한다. 일본 위탁생도는 2~3학년 과정을 수료하고 4학년 때 돌아온다. 독일 위탁생도와 스페인 위탁생도, 프랑스 위탁생도는 3년을, 터키 위탁생도는 5년을 에는 각각 지휘의 수월성을 위해 본부가 존재하는데, 본부에 위치한 생도들은자치적으로 계획을 수립해 하위 제대를 지휘하거나 훈육 장교들과 대면하면서 생도들의 의견을 전달하고, 장교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등의 일을 수행한다. 분대장,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 여단장 등 지휘관의 역할을 하는 생도들부터 중대본부, 대대본부, 여단본부 등 본부를 구성하는 생도들까지 4학년 생도들이 역할을 맡는다. 이외에도 3학년 생도들은 기수, 부분대장 생도를 역임하면서 4학년 때의 지휘근무를 준비한다. 1, 2학년은 분대에 소속된 분대원을 맡는다.<ref>{{웹 인용|url=https://kma.ac.kr/EgovPageLink.do?menuNo=411&link=kma01/HL2-010|제목=지휘근무|웹사이트=육군사관학교|확인날짜=2019-11-1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826202734/https://kma.ac.kr/EgovPageLink.do?menuNo=411&link=kma01%2FHL2-010|보존날짜=2019-08-26|url-status=dead}}</ref>모든 생도는 전투 및 기술행정병과로 임관한다. 각 병과학교에서 초등군사반 과정을 수료 후 야전부대로 배치된다. 전투병과가 아닌 기술행정병과(병기, 병참, 수송, 재정, 부관, 정훈 등)로의 전과는 1년간의 복무 후에 따로 신청을 받아 선발한다. 선발된 인원들은 해당 특수병과의 초등군사반 교육과정을 수료한 이후에 각 병과별 직책에 보직된다.육군사관학교를 포함한 각 군 사관학교에서 중간에 퇴교를 할 경우 하사(3학년 하기군사훈련 수료 시점 이후)로 징집 대상이 되는데 이 경우 부사관으로서 임관구분은 민간부사관이 되며 이를 거절하면 병사로 복무하게 된다. 이는 병역의 의무가 부과된 남자의 경우이며 여자 생도가 퇴교되면 학칙에 의한 퇴교일 경우 어떠한 과정으로도 군 복무를 할 수 없었다. 다만 [[2003년]]부터 학칙이 수정되어 질병 또는 성적미달로 퇴교됐을 경우 다른 장교과정에 지원할 수 있으며, 연령제한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육군사관학교에 다시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미국 위탁생도는 2학년 2학기부터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기초군사훈련(Beast Training)부터 다시 수료한 뒤 4년간 생도생활을 하기 때문에 1년 늦게 임관하며 소위가 아닌 중위로 임관한다. 일본 위탁생도는 2~3학년 과정을 수료하고 4학년 때 돌아온다. 독일 위탁생도와 스페인 위탁생도, 프랑스 위탁생도는 3년을, 터키 위탁생도는 5년을 보낸다. 이 가운데 미국 위탁생도와 터키 위탁생도는 현지의 학사 학위를 받으며 프랑스 위탁생도는 석사 학위를 받는다.<ref>{{뉴스 인용|저자=김대식|제목=리더십부터 인성까지 꿰는 육사 교육 시스템|url=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9834|뉴스=베리타스 알파|날짜=2015-4-22|확인날짜=2020-6-8}}</ref>
 
육군사관학교는 매년 다른 나라의 생도를 받아 4년간 교육시킨다. 최초의 수탁 생도는 [[터키]] 출신 비르칸 올군소이였다.<ref>{{뉴스 인용|저자=백승재|제목=외국인 첫 생도 후보… 터키 출신 비르칸군|url=https://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1101370143|뉴스=조선일보|날짜=2001-10-13|확인날짜=2020-6-8}}</ref> [[2013년]]에는 첫 외국인 여생도로 [[페루]] 출신 에발리세트 훌카 아나야가 입학했다.<ref>{{뉴스 인용|저자=김규원|제목=육사 최초 외국인 여성 생도 입학|url=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575201.html|뉴스=한겨레|날짜=2013-2-22|확인날짜=2020-6-8}}</ref> 육군사관학교가 외국 위탁 생도들을 받는 외국 사관학교는 다음과 같다.<ref name="international"/>
 
{{col-begin}}
{{col-2}}
* {{국기그림|몽골}} [[몽골 방위대학교]]
* {{국기그림|베트남}} [[베트남 방위대학교]]
* {{국기그림|일본}} [[방위대학교]]
* {{국기그림|태국}} [[태국 육군사관학교]]
* {{국기그림|튀르키예}} [[터키 육군사관학교]]
{{col-2}}
* {{국기그림|페루}} [[초리요스 육군사관학교]]
* {{국기그림|필리핀}} [[필리핀 육군사관학교]]
* {{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육군사관학교]]<ref name="foreign">{{뉴스 인용|저자=정희완|제목=3부자 군인, 형제·남매 사관생도 등 이색 가족 탄생|url=https://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2262113025&code=910302|뉴스=경향신문|날짜=2018-2-26|확인날짜=2020-6-8}}</ref>
* {{국기그림|캄보디아}} [[캄보디아 육군사관학교]]<ref name="foreign"/>
{{col-2}}
{{col-end}}
 
=== [[육군사관학교 지휘근무제도|지휘근무제도]] ===
[[파일:14.2.27 육군사관학교 졸업식(Graduation Ceremony Korea Military Academy) (12849218254).jpg|섬네일|육군사관학교 졸업식([[2014년]])]]
육군사관학교 생도대는 1개 여단과 2개 대대, 8개 중대로 구성되어 있다. 여단과 대대, 중대에는 각각 지휘의 수월성을 위해 본부가 존재하는데, 본부에 위치한 생도들은 직접 자치적으로 계획을 수립해 하위 제대를 지휘하거나 훈육 장교들과 대면하면서 생도들의 의견을 전달하고, 장교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등의 일을 수행한다. 분대장,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 여단장 등 지휘관의 역할을 하는 생도들부터 중대본부, 대대본부, 여단본부 등 본부를 구성하는 생도들까지 4학년 생도들이 역할을 맡는다. 이외에도 3학년 생도들은 기수, 부분대장 생도를 역임하면서 4학년 때의 지휘근무를 준비한다. 1, 2학년은 분대에 소속된 분대원을 맡는다.<ref>{{웹 인용|url=https://kma.ac.kr/EgovPageLink.do?menuNo=411&link=kma01/HL2-010|제목=지휘근무|웹사이트=육군사관학교|확인날짜=2019-11-1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826202734/https://kma.ac.kr/EgovPageLink.do?menuNo=411&link=kma01%2FHL2-010|보존날짜=2019-08-26|url-status=dead}}</ref>
 
모든 생도는 전투 및 기술행정병과로 임관한다. 각 병과학교에서 초등군사반 과정을 수료 후 야전부대로 배치된다. 전투병과가 아닌 기술행정병과(병기, 병참, 수송, 재정, 부관, 정훈 등)로의 전과는 1년간의 복무 후에 따로 신청을 받아 선발한다. 선발된 인원들은 해당 특수병과의 초등군사반 교육과정을 수료한 이후에 각 병과별 직책에 보직된다.
 
육군사관학교를 포함한 각 군 사관학교에서 중간에 퇴교를 할 경우 하사(3학년 하기군사훈련 수료 시점 이후)로 징집 대상이 되는데 이 경우 부사관으로서 임관구분은 민간부사관이 되며 이를 거절하면 병사로 복무하게 된다. 이는 병역의 의무가 부과된 남자의 경우이며 여자 생도가 퇴교되면 학칙에 의한 퇴교일 경우 어떠한 과정으로도 군 복무를 할 수 없었다. 다만 [[2003년]]부터 학칙이 수정되어 질병 또는 성적미달로 퇴교됐을 경우 다른 장교과정에 지원할 수 있으며, 연령제한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육군사관학교에 다시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 생도 생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