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2.216.92.157(토론)의 36750718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다른 뜻 넘어옴|안철생|일본의 성우(岸哲生)|키시 테츠오 (성우)}}
{{사회 운동가 정보
| 이름 = 안중근
| 한자 이름 =安重根
| 그림 = An Jung-geun.JPG
| 설명 = 뤼순감옥 옥중의 안중근 의사(사진=안중근 의사 기념사업회 홈페이지)|청계(淸溪) <br/> 아명(兒名)은 안응칠(安應七) <br/> 일명(一名)은 안다묵(安多默)
| 출생일 = {{출생일|1879|9|2}}
| 출생지 = [[조선]] [[황해도]] [[해주군|해주부]]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10|3|26|1879|9|2}}
| 사망지 = [[일본 제국]] [[둥베이|만저우 지방]] [[관동주]] [[랴오닝성|펑톈 성]] [[뤼순커우 구|료준]] 뤼순 감옥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 (세례명: 토마스)
| 배우자 = [[김아려 (1878년)|김아려]]
| 자녀 = 안현생(장녀), 안분도(장남), [[안준생]](차남)
| 부모 = 부: [[안태훈 (1862년)|안태훈]](安泰勳)<br>'''모''': [[조마리아]](趙瑪利亞)
| 친척 = [[안정근]](남동생) <br /> [[안공근]](남동생) <br /> [[안명근]](사촌 남동생) <br /> [[안경근]](사촌 남동생) <br /> [[안우생]](친조카) <br/> [[안미생]](친조카) <br /> [[김인 (1917년)|김인]](친조카사위) <br /> [[안진생]](친조카) <br /> [[안봉생]](5촌 조카) <br /> [[안춘생]](5촌 조카) <br /> [[김구]](사돈) <br /> [[안창호]](친족척)
| 경력 = [[의병|대한의군]](1907년~1909년)<br> 대한의군 참모중장<br>[[의병]] 참모중장 <br/> 특파독립대장 <br/> 아령지구사령관
| 본관 = [[순흥 안씨|순흥]](順興)
| 상훈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기타 이력 = [[한학#한국의 한문 문학|한학]] 수학 이후 [[천주교]]에 귀의
| 관련 활동 =[[독립운동]]
| 주요 활동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직업 =[[독립운동가]], 항일 의병장, 사상가, 저술가, 시인, 작가, 서예가
| 활동 이념 =민족주의, 범아시아주의
}}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1910년]] [[3월 26일]]) 개명 전 '''안응칠'''(安應七)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다. [[세례명]]은 [[토마스]]([[음역어]] '''도마''', [[사도 토마]]에서 따옴), 다묵(多默)이다. [[본관]]은 [[순흥 안씨|순흥]](順興), 고려 시대 후기의 유학자 [[안향]]의 26대손이다.<ref name="안중근의사 기념관">[http://www.patriot.or.kr/laboratory/la_02.php 안중근의사 기념관]{{깨진 링크|url=http://www.patriot.or.kr/laboratory/la_02.php }}</ref><ref name="autogenerated1">[http://www.greatkorean.org/ 안중근의사 기념사업회]</ref>
 
[[동학 농민 운동]]에서 아버지 안태훈(安泰勳)이 몇몇 본래의 목적을 가지지 않은 동학군 부대들을 정벌하는 데 함께 참여하였고, 대한제국 말기에는 학교 설립과 교육운동과 국채보상운동을 하였으며 한때 복권 사업과 비슷한 채표회사(彩票會社) 활동을 하기도 했다.
 
1909년 [[우덕순]], 유동하, 조도선과 소수의 결사대를 조직하여 [[만주]]의 [[하얼빈역]] 근처에서 초대 [[한국통감]] [[이토 히로부미]] 등의 하차 시 암살을 준비하였다.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역]]에 잠입하여 역전에서 [[러시아군]]의 군례를 받는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였다. 이후 러시아제국군 헌병에게 붙잡혀 일본 총영사관으로 옮겨졌고, 재판관할권이 일본에 넘겨졌다. 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에 [[살인]]의 죄형으로 [[관동주]] [[뤼순 감옥|뤼순형무소]]에서 교수형으로 사망했다.
 
== 생애 ==
줄 36 ⟶ 4:
==== 출생과 가계 ====
[[파일:安重根父母.jpg|섬네일|left|아버지 안태훈(安泰勳)과 어머니 조마리아(趙瑪利亞)]]
안중근은 [[황해도]] [[해주군|해주부]] [[수양산 (황해도)|수양산]] 아래에서<ref name="안중근의사 기념관">[http://www.patriot.or.kr/laboratory/la_02.php 안중근의사 기념관]{{깨진 링크|url=http://www.patriot.or.kr/laboratory/la_02.php}}</ref> 아버지 안태훈(安泰勳)과 어머니 조마리아(趙瑪利亞)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진해군|진해]] 명예현감을 지낸 할아버지 안인수(安仁壽)는 해주 일대에서 미곡상을 경영하여 상당한 재산을 축적했다.<ref name="oh227">오영섭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오영섭 저, 한영희 발행, 2007.4, 경인문화사) 227쪽</ref> 1911년 한국을 방문하여 안태훈 일가의 활동지를 답사한 베네딕토 수도원의 노베르트 베버 신부가 작성한 여행기에 따르면 안인수와 그의 아들 6형제와 가족 36인이 해주에서 일가를 이루고 살았을 당시에 안인수는 4백석의 토지를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ref name="oh227"/> 할아버지가 대지주에 미곡상으로 재산을 많이 축적하여 안중근은 어렵지 않은 유년기를 보냈다.
 
뒤에 일본은 안인수가 "항상 미곡 매입 대금을 지불하지 않는 등 각종 간악한 수단을 부려 재물을 모아 거부를 이루었다"거나, "성품이 탐욕하고 배부름을 모르고 일상 간계를 써서 타인의 재산을 수중에 넣으려고 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안억핍(安億乏)이라고 다르게 불렀다"고 말한 반면, 안중근은 "조부가 자산가로서 도내에 이름이 높았다."고 회고했다.<ref>한국 독립운동사 자료 8, 173~174페이지</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