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21.168.24.64(토론)의 36712545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태풍이 사람을 죽인다. 그리고 말은 한다.''' ({{한자|颱風}}, {{llang|en|typhoon}}, {{zh-stp|s=台风|t=颱風}}) 말한다.
{{다른 뜻}}
[[파일:Tip 1979-10-12.jpg|섬네일|[[태풍 팁 (1979년)]]]]
[[파일:Nabi 2005-09-02 0400Z.jpg|섬네일|[[태풍 나비 (2005년)]]]]
[[파일:Haiyan 2013-11-07 1345Z (alternate).png|섬네일|[[태풍 하이옌 (2013년)]]]]
[[파일:Hinnamnor 2022-09-01 0000Z.jpg|섬네일|[[태풍 힌남노]]]]
[[파일:Typhoon maemi 2003.jpg|섬네일|[[태풍 매미]]]]
 
회전한다.
'''태풍''' ({{한자|颱風}}, {{llang|en|typhoon}}, {{zh-stp|s=台风|t=颱風}}) 또는 '''열대폭풍''' (熱帶暴風, TS: tropical storm) 은 [[열대]] 해상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열대저기압]]이 발달하여,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2m/s 이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한 국지적 [[기상]] 현상을 말한다.
 
한다.
태풍과 같은 열대폭풍은 발생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인도양]]과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 (열대 저기압)|사이클론(cyclone)]]이라고 하며, 북태평양 중부와 동부, [[북대서양]] 서부에서는 최대 풍속 32.7 m/s 이상의 열대저기압 폭풍은 [[허리케인|허리케인(Hurricane)]]이라고 한다. [[브라질]] 동쪽 남대서양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아 명칭이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브라질에서는 사이클론, 미국에서는 허리케인으로 부른다. 과거 [[오스트레일리아|호주]]에서는 원주민의 언어로 공포, 우울을 뜻하는 윌리윌리(willy-willy)로 불렸지만 현재는 사이클론으로 불린다. 각 지역마다 발생 기준에 차이가 있으며, [[코리올리 효과|코리올리 힘]]의 영향으로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태풍은 [[북태평양]] 서쪽에서 7월 ~ 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고위도로 북상하면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미크로네시아]] 일부에 영향을 준다. 최대 풍속이 17.2m/s 미만이면 [[열대저압부]](TD: Tropical Depression)로 구분하며, 중심부의 난기핵(暖氣核)이 소멸되면 [[온대 저기압|온대저기압(Extratropical Cyclone)]] 등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태풍은 폭우, 해일, 강풍에 의한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가뭄 해갈 등의 수자원 공급과 대기질 개선, 냉해와 폭염완화, 바다의 적조현상과 강의 녹조현상 억제, 지구의 열 순환 등 여러 긍정적인 역할도 있다.
 
==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