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70번째 줄:
 
==== 경제건설사업 참여 ====
[[1971년]] 정주영 회장은 혼자서 미포만 해변 사진 한 장과 외국 조선소에서 빌린 유조선 설계도 하나 들고 유럽을 돌았다. [[차관]]을 받기 위해서였다. 부정적인 반응만 받다가 1971년 9월 [[영국]] 바클레이 은행의 차관을 받기 위한 추천서를 부탁하기 위해 A&P 애플도어의 롱바톰 회장을 만났지만 대답은 역시 'No'였다. 이 때 정주영은 우리 나라 5백원짜리 지폐를 꺼내 거기 그려진 [[거북선]] 그림을 보여줬다. "우리는 [[영국]]보다 300년이나 앞선 [[1500년대]]에 이미 철갑선을 만들어 외국을 물리쳤소. 비록 쇄국정책으로 시기가 좀 늦어졌지만, 그 잠재력만큼은 충분하다고 생각하오."라며 설득해 결국 차관 도입에 성공할 수 있었다(<s>이 부분은 너무 정주영씨를 미화한 것 같습니다. 사실로 믿고 싶을 만큼 멋진 내용입니다만 5백원짜리 지폐는 1973년 처음으로 발행되었기에 1971년 9월 차관과는 시계열상으로도 맞지 않습니다).<ref>[http://biz.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0059550 &#91;정주영 도전경영 5&#93; 돼지몰이론 '생각하는 불도저가 돼라' 2015-01-13]</ref></s>([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50972&cid=51293&categoryId=51293 1966년에 발행된 500원] {{웨이백|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50972&cid=51293&categoryId=51293 |date=20210721013440 }} 지폐 앞면에는 남대문 뒷면에는 거북선 함대가 그려진 지폐가 존재했기에 시계열상 일치한다)
 
[[1977년]] '''서울 압구정동 현대아파트의 분양특혜사건'''으로 재판을 받았으나 무죄로 풀려났다. 건축법 위반에 대해 징역 6월 벌금 500만원에 선고유예 판결을 받았으나 [[현대산업개발]] 사장이었던 차남 [[정몽구]]가 서울지검 특수부에 구속되어 아들이 아버지 대신 처벌받는 전례가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