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256번째 줄:
* '''케찹고백''': [[2017 아이돌스타 육상 양궁 리듬체조 에어로빅 선수권 대회|2017 설 아육대]] 촬영장에서 [[여자친구 (음악 그룹)|여자친구]] [[엄지 (가수)|엄지]]가 팬들에게 “케첩 두 개 받은 사람! 양심고백!”이라 말한 데에서 시작된 유행어로 사소한 것에 대한 고백을 의미한다.<ref>{{뉴스 인용 |제목=팬들에게 진지하게 '양심고백' 요구하는 여자 아이돌 |url=https://news.joins.com/article/21350864 |출판사=중앙일보 |저자=김서환 |날짜=2017-03-08 |확인날짜=2021-01-11 }}</ref>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어''': 《[[태조 왕건 (드라마)|태조 왕건]]》이라는 드라마에서 신하가 기침을 하자 [[궁예]]가 "누구인가?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어?"라고 한 것이 결국 유행어가 되었다.
 
== [[일베]] 관련 신조어 ==
=== 고민정 ===
* '''고민좀''' : 말 그대로 이름부터가 고민이라 지은 [[고민정]]의 부정적인 별명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segye.com/newsView/20210404500201|제목=“제발 고민 좀 하고” 핀잔 들은 고민정, 결국 고개 숙여… “부적절한 행동, 송구”|날짜=2020-01-08|출판사=[[세계일보]]|확인날짜=2021-04-04}}</ref>
 
* '''고밀정''' : 개딸들이 지은 별명으로, '민정'을 '밀정(간첩)'으로 바꿔 지은 별명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3/05/23/HLU3CDCJ7ZBNPJLXGSJE4MJZS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제목=개딸들, 고민정에 “고 밀정” “수박”... 김남국 대응 비판하자 악플세례|날짜=2023-05-23|출판사=[[조선일보]]|확인날짜=2023-05-23}}</ref>
 
* '''쓸데없는 고민만 많은 사람''' :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직접 지어준 별명으로, 청년의꿈에 한 유저가 홍준표 보고 "고민정 의원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냐"라고 질문하자 "그분은 쓸데없는 고민이 너무 많은 사람이다"라고 답변하여 생긴 별명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1/12/08/VM463IDU5FGG3BCZMENCHM3AXY/|제목=홍준표 “고민정, 고민만 많아” 저격에, 高의원의 응수는|날짜=2021-12-08|출판사=[[조선일보]]|확인날짜=2021-12-08}}</ref>
 
=== 김대중 ===
* '''핵대중''' :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핵을 만들 의지도 능력도 없다"고 발언한 바 있다는 주장 때문에 나온 별명이다. 하지만 해당 발언은 1991년 북한의 당시 [[김영남 (1928년)|김영남]] 북괴 외무상이 한 말로, 김대중이 한 말이 아니다. 그러나 두 번째로는 김대중이 [[햇볕정책]]으로 북한에 퍼주고 또 퍼줘서 결과적으로 핵을 만드는 [[김정일]] 당시 북괴 국방위원장의 사실상 물주가 된 셈이라는 의미로 나온 별명으로, 앞서 언급한 첫번째 뜻과는 차라리 똑같은 의미의 함축이 담긴 순수 연장선으로, 불법 대북송금 사건과 서로 같은 일맥상통으로 연결되어 쓰이기도 한다.
 
=== 김의겸 ===
* '''겸벨스''' : [[김의겸]] 대변인이 제기한 '청담동 술집' 의혹에 대해 가지 않았다는 증거를 대라고 주장한 데 대해 "민주당은 ‘선동은 한 문장으로 끝나지만, 이를 반박하려면 수십 장의 증거와 문서가 필요하다’는 [[나치]] 선전장관 [[괴벨스]]의 가짜뉴스 유포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고 질타했다는 이유로 '겸벨스'라는 별명을 지었다.<ref>{{웹 인용|url=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02810391045231l=naver|제목=與, 野 '술자리 의혹' 공세에 "괴벨스의 '가짜뉴스' 유포와 같아"|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2-10-28}}{{깨진 링크|url=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02810391045231l=naver }}</ref>
 
* '''안경 쓴 양아치''' :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동훈 (1973년)|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검은 뿔테 안경 쓴 깡패'라고 지칭한 데 대해 "김의겸 의원은 '안경 쓴 양아치'"라고 맞받았지은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news.imaeil.com/page/view/2023053114454564944l=naver|제목=장예찬 "김의겸은 그냥 안경 쓴 양아치"|날짜=|웹사이트=|출판사=매일신문|언어=ko|확인날짜=2023-05-31}}</ref>
 
* '''흑석의겸''' : 김의겸이 [[청와대]] 대변인 시절 [[서울]] [[흑석동 (서울)|흑석동]]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사퇴한 일을 겨냥한 것이다.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은 과거 언론 환경에서의 취재 과정 중 "경찰 사칭은 흔한 일"이었다고 발언한 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을 두고 "정의로운 척"이라도 하라며 "역시 흑석의겸"이라고 비판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10712/107913412/1l=naver|제목=허은아, ‘경찰사칭’ 옹호 김의겸에 “역시 흑석의겸…수치심 없나”|날짜=|웹사이트=|출판사=동아일보|언어=ko|확인날짜=2021-07-12}}{{깨진 링크|url=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10712/107913412/1l=naver }}</ref>
 
=== 나경원 ===
* '''나베''': [[국민의힘|미래통합당]]의 [[나경원]] 의원을 비하하여 부르는 말로 반민특위 발언 논란과 일본 자위대 기념식 참석 등의 전적 때문에 일본의 [[아베 신조]]와 뜻을 같이한다고 하여서 불리는 말이다. 이에 음식평론가 [[황교익]]이 [[나베모노|나베]]는 일본의 요리라면서 나경원 의원의 잘못된 역사관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5&aid=0001182379&sid1=001|제목=“나베는 일본 음식” 황교익, 나경원 비판 페북글|성=김|이름=상기|날짜=2019-03-19|웹사이트=국민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노무현 ===
*'''노시개''': '노무현 시x놈 개x끼'의 준말이다. [[경기도]] [[안양시]] 시립합창단 지휘자가 합창단원들과의 술자리 건배사로 '노시개'를 했다가 비난을 받고 사퇴하는 일도 있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3/all/20041221/8141274/1#|title='노시개 발언' 합창단 지휘자 사퇴 파문|date=2004년 12월 21일|work=동아일보}}</ref> 노무현 전 대통령이 고급 시계를 뇌물로 받았다는 [[박연차 정관계 로비 사건|의혹]]에서 유래된 '''노시계'''라는 변형 버전도 있다.<ref name="nozzang">{{뉴스 인용 |제목=[표지이야기]그들은 왜 보수우파를 동경하게 되었나 |url=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1206131132341 |날짜=2012-06-19 |뉴스=주간경향}}</ref>
* '''노알라''': [[노무현]] 전 [[대통령]]을 조롱하는 말, [[일간베스트 저장소|일베]]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코알라를 합성하여 비하한 사진에서 유래된 말이다.<ref>{{뉴스 인용 |제목=SBS 뉴스 방송사고 ‘故 노무현 비하 일베 노알라 사진 방송’ |url=http://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cat=view&art_id=201308211032243 |날짜=2013-08-21 |뉴스=스포츠경향}}</ref><ref>{{뉴스 인용 |제목=‘노알라’ 노무현 비하 일베 포장지 비판한 네티즌…법원 ‘손해배상 의무 없다’ |url=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928612 |날짜=2018-12-18 |뉴스=국민일보}}</ref>
* '''놈현''':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 생전부터 사용되던 비속어로서, 노무현의 대한민국 대통령 집권기에도 사용되었다. 2003년에 [[민주노동당 (대한민국)|민주노동당]] 정책실장 송태경이 진보누리에 '놈현스럽다'라는 단어를 등재한 적이 있었다.<ref>{{웹 인용|url=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0029215?sid=100|제목=사이버상에서 '놈현(노무현)스럽다' 용어 등장|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03-04-06}}</ref> '추미애'를 '춤얘'로 표현하는 것처럼 이름을 압축한 표현이다.
* '''뇌사모''': [[노무현]] 지지자들의 모임인 [[노사모]]를 변형해 [[노무현]] 지지자들을 비하하는 말이다.<ref>{{뉴스 인용 |제목=정치판 강타 비속어 ‘狂風’…생각 다르면 뭇매…보복 겁나 못본척 |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204663 |날짜=2005-05-12 |뉴스=국민일보}}</ref> 말 그대로 뇌가 죽었다는 의미도 있으며, 노무현 뇌물 수수 의혹 이후엔 '뇌물을 사랑하는 모임'이란 중의적인 의미도 추가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600만불의 사나이… 돈짱… 완쇼남… |url=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90411/8718918/1 |날짜=2009-04-11 |뉴스=동아일보}}</ref>
* '''뇌물현''': [[노무현]]이 [[뇌물]]을 받았다는 설에 의해 생겨난 말이다. [[노무현]]+[[뇌물]]의 합성어이다.<ref>{{뉴스 인용 |
제목= '뇌물현, 노구라, 돈짱' 노 전 대통령 풍자 신조어 등장
|url=https://news.joins.com/article/3565856
|날짜=2009-04-10 |뉴스=중앙일보}}</ref>
 
=== 문재인 ===
*'''귀걸이 아빠''': [[문재인]] 아들 문준용이 귀걸이를 찬 이력서 사진을 제출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고용정보원|고용정보원]] 5급 일반직에 채용된 것에 대해, 문재인이 영향력을 행사해 문준용이 부정 채용된 것이 아닌지 [[문재인 아들 고용정보원 채용 특혜 의혹 및 논란]]이 제기되었다.<ref>{{뉴스 인용|title=새누리 "文 아들, 기한내 서류 미제출..부정취업"|url=http://www.yonhapnews.co.kr/vote2012/2012/10/23/2901190000AKR20121023142500001.HTML|work=연합뉴스|date=2012년 10월 23일}}</ref> 이에 사람들이 문재인을 미성년자 성범죄 살인범 '어금니 아빠' [[이영학]]에 빗대 '귀걸이 아빠'라고 부르며 풍자하였다.<ref>{{뉴스 인용 |title=[SNS는 지금] ‘특혜 논란’ 문 대통령 아들 문준용 평창 전시장 사진보니… |url=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1802120907013&sec_id=560101 |work=스포츠경향 |date=2018-02-12}}</ref><ref>{{뉴스 인용 |title=[단독]문준용 관련 '귀걸이 사건'...2030세대에 의해 재조명 |url=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5 |work=펜앤드마이크 |date=2018-02-07}}</ref>
*'''달창''': 인터넷에서 조직적으로 문재인을 옹호하고 그 반대자들을 공격하는 친위 댓글부대인 [[친문재인 댓글부대|친문 댓글부대]]가 스스로를 '달빛기사단'이라고 칭하는데,<ref name="monchosun">{{뉴스 인용 |title=《한겨레》와 민노총도 대통령 비난하면 ‘총공(총공격)’ 대상 “누가 감히 우리 이니(문재인)를…”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A&nNewsNumb=201710100026 |work=월간조선 |date=2017-10 |accessdate=2018-01-18}}</ref> 그것을 반대측에서 비꼬고 비하하는 멸칭인 '''달빛창녀단'''의 준말이다.<ref>{{뉴스 인용 |title=내가 초등학교 때 같은 반 있던 짝궁한테 협박받았는데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1475&Newsnumb=2017091475 |work=월간조선 |date=2017-09-18 |accessdate=2018-01-18}}</ref><ref>{{뉴스 인용 |제목=나경원 "달창, 달빛 창문인줄" 해명에…"문빠는 무슷 뜻?" 비아냥 이어져 |url=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9062069527 |날짜=2019-06-20 |뉴스=한국경제}}</ref>
*'''[[대깨문]]''': '대가리 깨져도 [[문재인]]'의 약자로,<ref name="20s">{{뉴스 인용 |제목=“20대가 투표 안 해서 나라가 이 모양이라고요?” |url=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112 |날짜=2017-02-22 |확인날짜=2021-04-29 |뉴스=시사저널}}</ref> [[대한민국]] 제19대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문재인에 대한 맹목적인 지지 및 그러한 사회적 현상을 일컫는 신조어이다.<ref>{{뉴스 인용 |제목=윤평중 “‘부드럽게’ 민주주의 침식, 文정권의 연성 파시즘” |url=https://shindonga.donga.com/3/all/13/2453587/1 |날짜=2021-02-24 |확인날짜=2021-04-29 |뉴스=신동아}}</ref> 최초에는 문재인 지지자들 사이에서 문재인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지를 한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여졌으나,<ref name="election">{{뉴스 인용 |제목=文 '안보관 총공세'에 "흔들림 없다, 진짜 안보로 정권교체"(종합) |url=https://www.yna.co.kr/view/AKR20170421175000001 |날짜=2017-04-21 |확인날짜=2021-04-29 |뉴스=연합뉴스}}</ref> 이런 맹목적인 지지에 반발하는 사람들에 의해 점차 부정적인 의미가 추가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文在寅 대통령을 지지하는 이들과 지지를 철회한 이들이 한데 모이다 “조국 사태를 겪으며 지지를 철회했습니다”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nNewsNumb=202103100031 |날짜=2021-03 |확인날짜=2021-04-29 |뉴스=월간조선}}</ref><ref>{{뉴스 인용 |제목=[커버스토리: 文 대통령의 위태로운 下山] 내세울 업적 없이 추락하는 지지율 |url=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32639 |날짜=2021-01-17 |확인날짜=2021-04-29 |뉴스=월간중앙}}</ref>
*'''문노스''': 문재인+[[타노스]]의 합성어로 나온 별명이다. 본래 마블 캐릭터인 타노스랑 문재인을 합성한 것의 시초는 아이러니하게도 [[굽시니스트]]의 본격 시사인 만화에서 문재인을 타노스로 표현한 것이 최초였다.<ref>{{뉴스 인용 |제목=본격 시사인 만화 - 이니피티 워 (스포 주의)|url=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42|날짜=2018-05-09|뉴스=뉴스IN}}</ref> 2019년 5월 14일에 [[나경원]]이 공식 석상에서 문노스 발언을 하면서 인지도가 상승하였으며 동시에 부정적 별명으로서 사용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일베냐 진보 만화냐..나경원 '문노스' 발언 출처 공방|url=https://v.daum.net/v/20190515194539753|날짜=2019-05-15|뉴스=채널A}}</ref>
*'''문재앙''': 말 그대로 문재인의 성인 '문'과 '재앙(災殃)'의 합성어로, 나라의 재앙이란 뜻에서 [[문재인]]을 비하하는 말이다.<ref>{{뉴스 인용 |제목=홍준표 “문재앙보다는 홍발정이 더 낫다” |url=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828458&code=61111111 |날짜=2018-11-09 |뉴스=국민일보}}</ref><ref>{{뉴스 인용 |제목=진중권 "문재앙 쓰니 민주주의? X팔려서 고소 못하는 것 뿐" |url=https://news.joins.com/article/23890717 |날짜=2020-10-10 |뉴스=중앙일보}}</ref> 문재인을 부정적으로 언급하는 별명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단어 중 하나이다.<ref>{{뉴스 인용 |제목=한국당 "'文 언급' 뉴스 댓글 70% 부정적…조국은 78%" |url=http://www.segye.com/newsView/20190920506845 |날짜=2019-09-20}}</ref> 포털 사이트에서 '문재앙' 발언이 넘쳐나자,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고발한다고 경고하는 일도 있었다.<ref>{{뉴스 인용 |제목=秋 "‘문재앙’ 악성 댓글 방조하는 네이버는 공범...인신공격성 댓글 고발할 것" |url=https://www.sedaily.com/NewsView/1RUGOV1MOZ |날짜=2018-01-17 |뉴스=서울경제}}</ref>
*'''문죄앙''': 본문에 기재된 '문재앙'과 '문죄인'의 합성어이다.<ref>{{뉴스 인용 |제목='노무현 탓'이 '문재인 탓'으로... 노무현이 남긴 말 떠올라 |url=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35966 |날짜=2019-05-18 |뉴스=오마이뉴스}}</ref><ref>{{뉴스 인용 |제목=조국 추정 ID 과거 게시물, 인터넷서 '시끌'...모델 바바라 팔빈 상반신 누드 사진 등 업로드 |url=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27747 |날짜=2020-01-30 |뉴스=펜앤드마이크}}</ref>
*'''문죄인''': 문재인을 역사의 죄인이라고 칭하며 비하하는 말이다.<ref>{{뉴스 인용 |제목=安 지지자들 '충격', '눈물'…"5년 뒤 기다리겠다" |url=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07321 |날짜=2012-11-23 |뉴스=프레시안}}</ref> 문재인 정부 시절 한 현역 병장이 SNS에서 문재인을 '문죄인'으로 비하했다가, 소속 부대에서 [[상관모욕죄]]로 [[영창 (징계)|영창]] 징계를 받아서 해당 병장이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에 항고하는 일도 있었다.<ref>{{뉴스 인용 |제목="문죄인이 죄인" 댓글 달았다가… 영창 10일 갈뻔한 병장 |url=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20/2019042000189.html |날짜=2019-04-20 |뉴스=조선일보}}</ref>
*'''문세먼지''': 문재인은 대통령에 당선되기 이전에 "아이들 대신에 [[미세먼지]]를 마셔주고 싶다."라고 [[페이스북]]에 게시한 글이나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게 미세먼지의 책임이 있다며 당당하게 항의하겠다.", 대통령 후보 당시 미세먼지를 해결하겠다는 선거공약을 아직 이행하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나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정책등에 불만이 있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이를 본 사람들은 문세먼지, 먼지 앙(坱)이라는 별명을 쓰곤 한다. 2019년 2월 말 ~ 3월 현재 문재인을 비판/조롱할 때 자주 쓰이고 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나날히 심각해지는 미세먼지에 대한 정부의 미흡한 대책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현 정부가 네티즌들로부터 "문세먼지"라고 조롱받고 있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369709?sid=100|제목=황교안 “미세먼지 아닌 ‘문세먼지’… 나라에 대통령 있나”|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3-06}}</ref>
*'''문코리타''':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문재인 후보가 전통시장에서 선거유세를 펼치는 중에 한 시장 상인이 문재인에게 배추를 씌워주었다. 한 기자가 문재인이 배추를 쓰고 있는 그 모습을 사진으로 담기 위해 촬영하였고, 우스꽝스럽고 친근한 모습이 화자가 되어 당시 친문 성향이 강했던 커뮤니티 [[더쿠]]에서'해당 사진과 비슷하게 생긴 [[치코리타]]에 빗대어 문코리타라는 별명을 만들었다. 문코리타는 노무현 갤러리를 위시한 디시계열 사이트에서 문재인의 별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처음에는 노무현 합성 짤방에 비해서 혐오감이 훨씬 더했는지 디시에서도 혐오스럽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지만 이후에는 이런 초기 반응과는 반대로 문재인 정부에 대한 반감과 비례해 [[디시인사이드]] 내에서 문코리타를 쓰는 사람들이 많아졌지만, 원체 시각테러 요소가 강하다 보니 여전히 호불호가 갈린다.<ref>{{뉴스 인용 |제목=문 전 대통령 조롱 웹툰, 이틀 만에 재공개…'문코리타'가 뭐길래? |url=https://www.mbn.co.kr/news/society/4788923 |날짜=2022-06-22 |뉴스=MBN뉴스}}</ref>
*'''문크 예거''': [[2020년]]에 [[디시인사이드]] 등에서부터 흥하기 시작한 신조어로, 문재인을 [[일본]] [[만화]] 《[[진격의 거인]]》의 캐릭터 [[지크 예거]]에 빗대 풍자하는 말이다.<ref name="yeager">{{뉴스 인용 |제목=K(ill)방역, 더불어만진당… 정치권 저격 ‘정치 드립’ 세계 |url=https://shindonga.donga.com/3/all/13/2351134/1 |날짜=2021-01-07 |뉴스=신동아}}</ref> 지크 예거는 《진격의 거인》에서 자신의 민족인 엘디아인이 절멸돼야 세계가 평화로워진다고 생각하는데, 문재인도 부동산 정책 실패 등으로 대한민국을 더 나쁜 환경으로 만들어 한국인의 [[절멸]]을 꾀하는 게 아니냐는 풍자적 의미를 담고 있다.<ref name="yeager"/>
*'''문빠''': 문재인을 찬양하는 집단을 가르키는 말
*'''쇼통령''': 정치를 잘못 배운 쇼(show)통령이라고 비꼬는 의미를 가진 부정적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949456&code=61111111&cp=nv|제목=‘레밍 발언’ 김학철 “조원진과 손잡을 것…文정부는 쇼통령”|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7-12-02}}</ref> 보여주기식 쇼를 하며 지지도를 회복한다는 식의 비난에서 자주 언급되는 별명이다.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역시 문재인 대통령이 가장 잘 하고 있는 정책을 말해달라는 질문에 쇼하는 것이 가장 잘하는 것이라며 비꼬았다. 쇼통령이라는 부정적 별명이 주로 사용되던 시점은 청와대의 일상을 보여주는 사진들이 자주 공개되었던 문재인 정권 초기였었다. 그러나 위의 문재앙이라는 별명이 라임에 맞아떨어지다 보니 문재앙의 사용이 빈번해졌고, 최근에는 보여주기식 소통이라는 의미는 다소 퇴색되어 북한과 관련된 행보를 펼칠 때에나 사용되고 있다
*'''원짜이인''': 문재인의 한자 이름을 중국식 발음({{zh|c=文在寅|p=Wén Zàiyín}})으로 읽은 것이다. [[중국몽]]을 꾸는 문재인이 [[친중]] 성향이라 사람들이 문재인을 아예 중국인 취급하여 비꼬기 위해 지은 별명이다. 비슷한 예로 [[이재명]]을 중국식으로 읽은 리짜이밍 등이 있다. 참고로 한자 寅은 [[중국어]]로 ren으로 읽히는 人, 仁 등과는 달리 중국어로도 yin으로 읽힌다. 그래서 원짜이런이 아니다. 하지만 인이라는 음을 가진 한자를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선 런으로 읽는다고 생각하는지 원짜이런으로도 많이 비꼬기도 한다
*'''개버린''': [[풍산개]] 파양통보 논란 이후 생긴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www.bbc.com/news/world-asia-63539618.amp|제목=South Korea's Moon Jae-in to give up dogs gifted by Kim Jong-un|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en|확인날짜=2022-11-07}}</ref> 키우던 개를 버린다는 비판이 쏟아지면서 두통약인 게보린에 빗대 개버린이라는 별명이 생겼다.<ref>{{웹 인용|url=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40747?sid=100|제목=‘반납’한 풍산개, ‘2023 문재인 달력’에는 나와…전여옥, “풍산개 달력팔이 시키고 개버린” 비난|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2-11-11}}</ref><ref>{{웹 인용|url=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765066?sid=100|제목=뿔난 전여옥 "文, 풍산개 달력팔이 시키고 개버린…참 비정해"|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2-11-09}}</ref>
*'''트루문 쇼''': 《[[트루먼 쇼]]》 + 문재인이므로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향해 "'잊혀진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으면서도, 퇴임 후 행보는 정반대였다"면서 "자기변명식 독후감 쓰기, 반려견 파양 논란 후 보여주기식 반려견 장례식, 민주당 인사들과의 릴레이 면담 등 본인의 일상 자체를 중계하다시피 했다. '트루문 쇼'를 방불케 한다"고 비판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segye.com/newsView/20230320514073?OutUrl=naver|제목=권성동, 文 작심 비판 “‘잊힌 대통령’ 되겠다 했으면서 퇴임 후 행보는 ‘트루문 쇼’”|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3-03-20}}</ref>
*'''훠훠훠''': 문재인이 평소 어색한 상황을 넘길 때 내는 웃음소리를 흉내내는 의성어로, 문재인을 풍자적으로 흉내내며 비꼴 때 많이 쓰인다.<ref>{{뉴스 인용 |제목='다주택 규제' 치킨으로 풍자한 靑 청원인, 이번엔 '김현미 파직 상소문' |url=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71719430001141 |날짜=2020-07-17 |뉴스=한국일보}}</ref> "훠훠훠. 어떻숩니꽈." "훠훠훠. 고뫕다. 얘두롸."와 같은 식으로, 발치로 인해 어색한 문재인의 발음을 흉내내며 비꼴 때도 쓰인다.<ref>{{뉴스 인용 |제목=“망해도 싸다” vs “징징대지 마”…음식점을 보는 ‘두가지 시선’ |url=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1224000940 |날짜=2020-12-26 |뉴스=헤럴드경제}}</ref><ref>{{뉴스 인용 |제목=발음 어색한 문대통령…靑 "최근 치과치료 받았다" |url=https://www.yna.co.kr/view/AKR20201110139700001 |날짜=2020-11-10 |뉴스=연합뉴스}}</ref>
 
=== 박근혜 ===
* '''그네''': '근혜'와 '그네'의 발음이 비슷해서 박근혜 전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말.<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262&aid=0000000608&sid1=001|제목=성명학으로 풀이한 대선주자 6인의 운세와 성격|성=이|이름=은영|날짜=2007-08-27|웹사이트=신동아|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ref>{{웹 인용|url=http://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544461.html|제목=‘그네 막걸리’ 모델은 박근혜?|성=구|이름=대선|날짜=2012-07-26|웹사이트=한겨레|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근혜어''': 만연체, 애매모호, 주술불일치로 의미를 알기 어려운 박근혜의 어법을 지칭하는 말.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5년 5월 12일 제19회 국무회의에서 "앞으로 어떤 어려움과 또 정치적 여건이 있더라도 경제 재도약을 위한 역량과 집중력이 분산되거나 추진이 지연되지 않도록 해주셔야 하겠다. 호랑이한테 물려가도 정신을 차리면 된다는 그런 말이 있듯이 우리의 집중을 자꾸 이렇게 분산시키려는 일들이 항상 있을 거다. 그게 무슨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고, 그런 가운데서도 우리의 핵심 목표는, 올해 달성해야 될 것은 '이것이다' 하는 것을 정신을 차리고 나가면 우리의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걸 해낼 수 있다는 마음을 가지셔야 될 거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을 때부터 유행했다.<ref>{{웹 인용|url=https://news.mt.co.kr/mtview.php?no=2017031114062677331|제목=이정미 '깔끔한 판결문' vs 박근혜 '모호한 화법' 대조적 - 머니투데이 뉴스|성=이|이름=재은|날짜=2017-03-11|웹사이트=머니투데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그런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지고 [[정호성]] 비서관과의 녹음파일이 공개되면서 박근혜의 어법이 [[최순실]]의 어법과 닮은 것이 화제를 모았다.<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70106/82216448/1|제목=[카드뉴스]못 알아듣겠다…박근혜-최순실, 화법도 쌍둥이?|성=김|이름=재형|성2=김|이름2=유정|날짜=2017-01-06|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길라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성광의료재단|차움의원]]을 이용했던 시절 [[시크릿 가든]]의 여주인공 '길라임'의 가명을 사용했다.<ref>{{웹 인용|url=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356792|제목=[단독] 박 대통령 가명 '길라임'…차움 VIP 시설 이용도|성=박|이름=병현|날짜=2016-11-16|웹사이트=JTBC 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네티즌들은 '길라임(吉裸恁)'의 이름이 '옷 벗는 것을 생각한다'라는 것을 보고 박근혜의 하야를 예언했다며 놀라워했다.<ref>{{웹 인용|url=http://www.nocutnews.co.kr/news/4686277|제목="박근혜=길라임?"…'시크릿가든' 예언드라마 급부상|성=김|이름=수정|날짜=2016-11-16|웹사이트=노컷뉴스|출판사=|확인날짜=2019-09-22}}</ref>
* '''나대블츠''': 박근혜의 수용자 배지에 적힌 구분 기호.<ref>{{웹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170523184500004|제목=박근혜 수용자 배지의 '나대블츠'?…공범 구분 위한 부호|성=최|이름=송아|날짜=2017-05-23|웹사이트=연합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댓통령''': 댓글과 대통령의 합성어이다.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국가정보원의 댓글 조작]]으로 당선되었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부르는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art_id=201308021748183&sec_id=540101|제목='저도의 추억' 박근혜 대통령 사진 패러디물|성=김|이름=진원|날짜=2013-08-02|웹사이트=스포츠경향|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ref>{{웹 인용|url=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189580|제목=10.26 촛불집회 “불의한 권력은 파멸한다”|성=이|이름=성휘|날짜=2013-10-27|웹사이트=폴리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레이디 가카''': [[박근혜]]를 [[박정희]]와 비교하며 지칭하는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3/13/2013031300866.html|제목=서울 중구청장, 박근혜 짝퉁 트위터에 '용비어천가'|성=|이름=|날짜=2013-03-13|웹사이트=조선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바쁜 벌꿀''': [[힐링캠프]]에 출연한 박근혜가 [[육영수]] 여사 선거 당시의 심경을 고백하면서 “바쁜 벌꿀은 슬퍼할 겨를이 없다”고 발언<ref>{{웹 인용|url=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20103000077|제목=박근혜 출연 ‘힐링캠프’…그 와중에 ‘자막 실수’|성=고|이름=승희|날짜=2012-01-03|웹사이트=헤럴드경제|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한 데서 유래되었다.
* '''수첩공주''': 박근혜가 [[자유한국당|한나라당]] 대표였던 시절 한나라당에 의해 법안 통과가 결렬되자 수첩을 들고 다니는 박근혜를 "박 대표가 [[최순실|누군가]] 적어준 수첩만 보고 읽는다"라고 비꼰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867031|제목=<박대표 "수첩들고 다니면 안되나">|성=정|이름=재용|날짜=2004-12-29|웹사이트=연합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얼음공주''': 박근혜가 이념성향과 원칙주의가 강하다는데서 유래된 말.<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1351734&sid1=001|제목=<與, 한 대표경선 향배에 촉각>|성=노|이름=효동|날짜=2006-07-09|웹사이트=연합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이 별명 때문에 대중들은 박근혜에 다가가기 어려워했다.<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4709078&sid1=001|제목=박근혜 비키니 사진 인터넷서 관심|성=김|이름=남권|날짜=2010-10-15|웹사이트=연합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유신공주''': 박근혜에 대해 [[열린우리당]] [[김현미 (정치인)|김현미]] 대표가 만든 말으로, "박 대표가 협상장에서 자기 수첩에서 1㎜도 나가지 않는 것은 내 뜻만 옳다는 전면적 부정의 자세"라며 "박정희 전 대통령의 혼령이 박 대표를 지배하고 있다"라고 비꼰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0865874&sid1=001|제목=여야 `회담무산' 책임공방..대치 심화-1|성=맹|이름=찬형|성2=김|이름2=병수|날짜=2004-12-28|웹사이트=연합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유체이탈 화법''': 박근혜 전 대통령이 발언할 때마다 책임을 회피하고,<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70103/82156135/2|제목=‘대통령 말’ 전문가 “朴대통령 어법, 괴상망측…‘대전은요’ 조작된 말”|성=정|이름=봉오|날짜=2017-01-03|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제3자인 것처럼 논평한다는데서 비판하는 말.<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40425/63037945/1|제목=지진 현장 누비고 피해자와 함께 운 원자바오 배워야|성=동|이름=정민|날짜=2014-04-25|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50416/70731840/1|제목=“과거부터 현재까지 문제 밝혀야”… 정국 정면돌파 의지|성=이|이름=재명|날짜=2015-04-16|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칠푼이''': [[김문수 (정치인)|김문수]]가 [[김영삼]] 전 대통령을 만났을 때 김영삼이 "박근혜는 칠푼이"라고 혹평한 말.<ref>{{웹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20712/47704786/1|제목=김문수 만난 YS “박근혜는 칠푼이”|성=이|이름=재명|날짜=2012-07-12|웹사이트=동아일보|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 '''쿼터갓''': 박정희 전 대통령을 반인반신으로 치켜세우는 세력들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부르는 말.<ref>{{웹 인용|url=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767875.html|제목=최순실의 공범은 우리 가까이에 있다|성=이|이름=승한|날짜=2016-10-28|웹사이트=한겨레|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이명박근혜'''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2007년 대선]], [[이명박]] 후보가 [[박근혜]] 전 후보 지지자들의 표심을 모으기 위해 쓰기 시작했다.<ref>{{웹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11280214591&code=910112|제목=대선후보들 톡톡 튀는 ‘기호 마케팅’|성=김|이름=종목|성2=김|이름2=재중|날짜=2007-11-28|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1-21}}</ref> 지금은 [[이명박 정부|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부|박근혜 정권]]이 다를 바 없다는 의미에서 이 둘을 묶어서 표현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02/2017050203070.html|제목=[태평로] '잃어버린 10년' 對 '이명박근혜' 대결이 되면|성=신|이름=정록|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1-21}}</ref>
 
===박원순===
*'''박원숭''': 유래는 당연하겠지만 [[박원순]] + [[원숭이]]이므로, 박원순 전 서울특별시 시장을 비하하는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news.mt.co.kr/mtview.php?no=2011093010324843868&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제목=박원순 "박원숭이도 괜찮아"…원숭이 합성사진 공개|날짜=|웹사이트=|출판사=머니투데이|언어=ko|확인날짜=2011-09-30}}</ref><ref>{{웹 인용|url=https://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37370|제목=독고영재, “박원숭 시장… 문재인 집권시 자결 혹은 이민”|날짜=|웹사이트=|출판사=인터뷰365|언어=ko|확인날짜=2012-11-09}}</ref>
 
===박정희===
*'''반인반신''' 또는 '''데미갓''': [[박정희]] 전 대통령을 비하하는 말. [[남유진 (1953년)|남유진]] 전 구미시장이 2006년부터 수시로 박정희 전 대통령을 반인반신이라고 추켜세운 데<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1467399&sid1=001|제목=<박근혜 "선친 꿈 이루는게 여생의 전부">(종합)|성=김|이름=남권|날짜=2006-11-14|웹사이트=연합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ref>{{웹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091114056500053|제목=<박정희 前대통령 92회 생일 기념행사>|성=손|이름=대성|날짜=2009-11-14|웹사이트=연합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922072157/https://www.yna.co.kr/view/AKR20091114056500053|보존날짜=2019-09-22|url-status=dead}}</ref><ref>{{웹 인용|url=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5311?no=5311|제목=도 넘은 박정희 탄신제 "박정희는 반인반신" 찬양|성=남|이름=빛나라|날짜=2012-11-19|웹사이트=프레시안|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07-12}}</ref><ref>{{웹 인용|url=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755715&ref=L|제목=[인터넷 광장] 구미시장, 박정희 전 대통령 관련 발언 논란 外|성=|이름=|날짜=2013-11-15|웹사이트=KBS NEWS|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9-22}}</ref> 서 비롯된 말이다. 데미갓(demigod)은 반인반신을 영단어로 바꾼 것이다.
 
===박지원===
* '''박쥐원''': [[박지원 (1942년)|박지원]] + [[박쥐]]이므로, 박지원의 부정적 별명 중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말 그대로 박쥐처럼 여기 붙었다 저기 붙었다 해 '박쥐원'이라고 붙인 별명이다.<ref>{{뉴스 인용|url=http://tvdaily.co.kr/read.php3?aid=15784932161520576019|제목='이동욱은토크가' 박지원 의원 "'박쥐원'? 남의 아픈 곳 꼭 찌르냐" [종합]|날짜=2020-01-08|출판사=[[티브이데일리]]|확인날짜=2020-01-08}}</ref>
 
===안철수===
* '''간철수''' : [[안철수]]를 비꼬는 말, 안철수 대표가 정치 입문 당시 결정 및 의견을 확실하게 짓지 못하고 애매하게 표현하는 행위를 보고 '간을 본다.'하여 유래된 말이다. 이에 대해 2015년 안철수 의원은 "국정원이 오히려 제 간이 안 좋다고 공격하려는 의미까지 담아 만들었다는데 머리 잘 썼다."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29/0200000000AKR20151229078200001.HTML?input=1195m|제목=거침없는 '강철수'…친정 새 당명에 "안철수없당·불어터진당"|날짜=2015-12-29|출판사=[[연합뉴스]]|확인날짜=2016-10-08}}</ref>
 
===유승민===
* '''유배신''' : 유승민이 배신을 했다는 이유로 불리는 별명이자 여전히 벗지 못한 프레임이기도 하다. 유승민은 [[서청원]] 등을 비롯한 [[상도동계]] 및 [[친박]] 성향의 [[정치인]]들에게 극진히 성원까지 받은 [[경제학]] 교수 출신의 [[정치인]]이었으나,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는 발언을 한 이유로 강성 친박, 극우 세력들의 공격을 받아 원내대표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으며<ref>{{웹 인용|url=https://www.news1.kr/articles/?2612121|제목=박근혜-유승민 질곡의 10년 돌아보니…돌아올수 없는 강 건너|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6-03-23}}</ref>,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건 이후로 [[박근혜 탄핵]] 소추에 찬성표를 던지고 29명의 의원들과 함께 [[바른정당]]을 창설해 탈당하면서 친박, 강성 보수층에게서 배신자라고 제대로 낙인 또한 찍히게 되었다. 아무리 탄핵 직후에 얼마나 심했냐면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19대 대선]] 당시에 [[대구광역시]] [[서문시장]]에서 유세를 하러 갔을 때 환대도 받았지만, 배신자라는 야유도 크게 받을 정도였었다. 결국 배신자라는 프레임 때문에 유승민은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자신의 지역구인 대구를 버리고 차라리 불출마 선언 또한 해야 할 수 밖에 없었다.
 
===윤미향===
* '''돈미향''' : 돈 + [[윤미향]]이므로, [[전여옥]] 전 의원은 지난 5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검찰의 공소사실'에 따르면 증거 확실한 빼박 팩트이다. 윤미향은 할머님들 등쳐먹은 돈으로 빨대 꽂아 별짓을 다 했다"며 이같이 말했으며, "윤미향은 '돈미향'"이라고 비난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12682#home|제목=전여옥 “윤미향은 ‘돈미향’…할머님들에 빨대 꽂아 별짓 다해”
|날짜=|웹사이트=|출판사=중앙일보|언어=ko|확인날짜=2021-10-06}}</ref>
 
===윤석열===
* '''무속열''' : [[윤석열]]은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TV 토론회에 출연했을 때 손바닥에 王 자가 써져 있었고<ref>[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1/10/03/PAO65S2VLFFVTBUDUGMQ3RECYA 좋은 기운 받으라며 지지자가 3차례 써줬다? 윤석열 ‘王'자 논란]</ref> 항문침 전문가 이병환의 수행을 받았다는 의혹이 있다.<ref>[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1/10/06/5USZN2YNMFCJZMQRFF4NXODQYU 王자 논란 이어 ‘항문침’ 전문가가 수행?…尹측 “치졸한 정치공세”]</ref> 이런 무속·주술 논란을 풍자하는 별명이다.<ref>[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1/10/23/5BEDWCL7FJFKTDBQNSP7KG7CO4 “레드홍 vs 윤스톤 한판, 밥먹고 토론 가즈아~”...정치 놀이 빠진 MZ세대]</ref>
* '''윤도리''' : 윤석열은 대선 출마 기자회견에 나왔을 때 고개를 좌우로 도리도리 흔들었다.<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94128 與 "尹 불안해 보여" 野 "트집 잡을게 없나"…행동 어떻길래(영상)]</ref> 권성동 의원은 윤석열이 740번이나 고개를 도리도리 흔든 것은 윤석열의 말하는 스타일인데 대선 출마 선언 날에는 너무 긴장했던 것 같다고 했다.<ref>[https://www.news1.kr/articles/?4355497 윤석열 '도리도리' 740번…권성동 "습관, 긴장도 했고…차차 좋아질 것"]</ref> 윤도리는 윤석열의 도리도리 습관을 드러내는 별명이다.<ref>[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1/07/24/4EIOHHFNRJCNXOKAOSIZXNMFZI ‘사이다’냐 ‘바지사’냐, ‘엉덩이탐정’이냐 ‘윤짜장’이냐, ‘여니’냐 ‘엄중이’냐]</ref>
* '''윤십원''' : 윤석열은 장모 의혹에 대해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장모가 사기 당한 적은 있어도, 10원 한장 피해준적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ref>[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1/06/01/OYN2NPZR6REZDNBJEONWHPEZHQ 윤석열 “장모가 사기 당한 적은 있어도, 10원 한장 피해준적 없어”]</ref> 그래서 최민희 의원 등 많은 사람들이 윤석열을 윤십원이라고 비난했다.<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01441 윤석열 향해 "윤십원" "쇼윈도 부부"···거친 공격하는 최민희]</ref> 그리고 '석열'과 '십원'은 어감도 비슷하다.
* '''윤짜장''', '''윤춘장''' : 2019년 조국 법무부 장관 자택 압수 수색 때 조국 장관 가족의 권유로 압수 수색 팀과 함께 한식을 시켜 먹었는데 세상에는 압수 수색 팀이 조국 장관 가족에게 모욕을 주기 위해서 짜장면을 그들 앞에서 시켜 먹었다고 알려졌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5/2019092500311.html '짜장면 가짜뉴스'로 난리법석 친 여권·친문]</ref> 그런 가짜 뉴스에서 나온 별명이다.<ref>[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588100001&ctcd=C02 윤석열은 왜 경계인이 되었나...‘진영’사회를 깨다]</ref>
* '''윤쩍벌''' : 윤석열은 자신이 100kg이라고 말할 만큼 몸집이 크다.<ref>[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10/2020041090111.html (포커스 단독) '태풍의 눈' 윤석열 "몸무게 100㎏, 안 흔들려"]</ref> 그래서 행사에 참여할 때마다 다리를 쩍 벌리고 앉는 모습이 있어서 나온 별명이다.<ref>[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1/08/04/Y6LUHMEIVFDHBD5IYORXYJG2UU 윤석열 “반려견도 ‘쩍벌’… 매일 0.1㎝씩 줄일게요”]</ref>
* '''윤핵관''' : 익명으로 존재하는 윤석열의 핵심 관계자(측근)이다.<ref>[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1203/110578674/1 이준석 “당대표, 대통령 후보 부하 아니다… 날 모욕한 尹 핵심 관계자 인사조치 해야”]</ref>
* '''폰석열''' : 윤석열은 2022년 1월 국민의힘 전국 청년 간담회에 참석한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스피커폰으로 참석했고 청년들의 분노를 샀다.<ref>[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10516405649109 (단독) "윤석열 온다" 해놓고 스피커폰…욕설 터져나온 청년 화상회의]</ref> 그런 논란을 비난하는 별명이다.<ref>'''굥석열''': 윤석열의 성인 윤을 거꾸로 쓴 말이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105159351001 '청년' 방점 찍은 날…尹, 청년간담회서 '폰석열' 곤욕(종합)]</ref>
 
=== 이명박 ===
* '''이명박근혜'''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2007년 대선]], [[이명박]] 후보가 [[박근혜]] 전 후보 지지자들의 표심을 모으기 위해 쓰기 시작했다.<ref>{{웹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11280214591&code=910112|제목=대선후보들 톡톡 튀는 ‘기호 마케팅’|성=김|이름=종목|성2=김|이름2=재중|날짜=2007-11-28|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1-21}}</ref> 지금은 [[이명박 정부|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부|박근혜 정권]]이 다를 바 없다는 의미에서 이 둘을 묶어서 표현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02/2017050203070.html|제목=[태평로] '잃어버린 10년' 對 '이명박근혜' 대결이 되면|성=신|이름=정록|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1-21}}</ref>
*'''플랜 다스의 계''': [[다스#실소유주 논란|다스 실소유주 논란]]을 비판하고자 언론인 [[김어준]]이 창조한 말이다. 이후 이를 이름으로 하는 단체가 등장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9507.html|제목=플랜다스의 계 “다스 주식 안 산다”…안원구 “촛불정신 훼손”|날짜=2018-01-26|언어=ko|확인날짜=2022-02-24}}</ref>
 
=== 이재명 ===
* '''리짜이밍''' : [[이재명]]의 한자 이름을 중국식 발음({{zh|c=李在明|p=Lǐ Zàimíng}})으로 읽은 것이다. 이재명이 [[친중]] 성향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이재명을 비꼬기 위해 지은 별명이다. 원래 [[디시인사이드]]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만 사용되다가 2022년 2월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이 그동안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 우호적인 기조를 유지하다 대선을 앞두고 확산하는 [[반중]] 정서 때문에 갑자기 태도가 바뀌었다는 점도 집중하며 [[원희룡]]이 올린 [[페이스북]] 게시글에 이재명 후보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발음한 "리자이밍 후보 필참"이란 표현을 쓰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m.segye.com/view/20220209517300|제목=베이징 동계 올림픽으로 반중 정서 확산…‘중풍(中風)’ 대선 변수 급부상?|날짜=|웹사이트=|출판사=세계일보|언어=ko|확인날짜=2022-02-10}}</ref> 국민의힘 지도부에서 이재명-[[싱하이밍]] 회동 논란 을 계기로 결국 이 별명을 언급하기에 이르렀다.<ref>{{뉴스 인용|url=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86252?sid=100|제목=국민의힘 “이재명 별명 ‘리짜이밍’…국민 앞 석고대죄하라”|날짜=2023-06-12|출판사=[[중앙일보]]|확인날짜=2023-06-12}}</ref>
 
* '''매운맛 문재인, 문재인 매운맛''' : 이재명이 대통령이 된다면 전직 대통령인 [[문재인]]보다도 더욱 국가의 경제사정이 악화 (코스피 급락,외환보유고 악화 등) 할것이라는 이야기에서 나온 별명. 일각에서는 이재명은 추진력있고 일 잘하는 사람 아니냐는 얘기도 있는 반면,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대통령이 되어서는 절대 안 될 인물이라고 평도 존재한다. 이와 유사한 취지로 [[홍준표]]가 "문재인이 베네수엘라행 완행열차라면, 이재명은 베네수엘라행 급행열차다"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이재명의 대선 캠페인에서 등장한 음식점 총량제, 주 4일제 , 국토보유세 등 설익은 진보 정책들에 대해 "매운맛 버전의 문재인 정책"이라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112413420001107|제목=이재명, '탁구 정치' 에서 '야구 정치'로|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1-11-24}}</ref>
 
* '''전과 4범''' : "찢재명"과 더불어 이재명의 가장 대표적인 별명 중 하나로 형수 녹취록건이 널리 퍼지기 전에는 이쪽으로 더 유명했다. 이재명이 정계에 입문하기 전에 벌인 음주운전, 검사 사칭 가담<ref>{{웹 인용|url=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196302?sid=100|제목=이재명 보궐선거 공보물에, "'검사 사칭 도왔다' 판결" 빠져|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2-05-19}}</ref> 등 각종 전과 기록으로 인해 지어진 별명이다. 정치 기사에서도 드물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11708444533822|제목=안철수, 메타버스 퀴즈…"전과 4범도 자랑스러운 대통령 되나?"|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1-11-17}}</ref>
 
* '''한국판 차베스''', '''경기도 차베스''' : 한국판 차베스는 대규모 확장재정을 통한 복지 확대,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 등 [[좌파]]적인 경제정책관이 [[베네수엘라]]의 대통령 [[우고 차베스]]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이재명의 좌파적인 경제정책관에 대해 시장을 교란시키고, 나랏빚을 늘린다고 일부 학계에서 우려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12649001|제목="난 양파 또는 무파" 실용주의자 자처…'한국판 차베스' 비판도|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1-01-26}}</ref> [[김용판]] [[국민의힘]]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이재명을 차베스에 비유하며 이재명의 경제관을 비판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201019141700061|제목="이재명 지사와 차베스 비슷" vs "포퓰리스트로 규정 말라"|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0-19}}</ref> [[홍준표]]도 수원시 국민의힘 경기도당에서 열린 주요 당직자 간담회에서 이재명을 "경기도 차베스"라고 지칭한 적이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210907084500061?input=1195m|제목=홍준표 "경기도 차베스가 나라 거덜내려해" 이재명 맹비난|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1-09-07}}</ref>
 
* '''찢재명''' : 이재명의 부정적 별명 중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형수 욕설 사건에서 유래된 대표적인 별명으로, 친형 통화 녹음 중 "찢어 죽일 놈이지. 너 이 새끼야."라고 한 부분과 형수와의 통화 녹음 중 '왜 어머니를 때리고 XX찢는다고 하나? 당신 아들이 당신(형수)에게, 당신 오빠가 친정어머니에게 XX 찢는다고 하면 마음이 어떻겠냐?'고 말하며 "칼로 니 친정엄마 씨발년아! XXX 찢어서 (후략)라고 한 부분에서 유래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wikitree.co.kr/articles/759667|제목="찢재명!" 바로 앞에서 이 말을 들어버린 이재명 반응 (+영상)|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2-05-28}}</ref>
 
* '''코리안 싸이코''' : 이재명이 [[우크라이나]]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를 비하하는 발언을 하자, 이 발언이 레딧 등을 통해 해외에 알려지게 되면서 생긴 별명이다. 국민의힘 [[원희룡]] 정책본부장은 [[페이스북]]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자극해서 전쟁이 일어난 거라고요? 국제적 망신"이라며 "코리안 싸이코"라는 표현을 사용한 해외 네티즌의 반응을 공유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227/112062507/1|제목=李 “우크라 대통령이 러 자극” 발언, 해외 커뮤니티서 논란|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2-02-27}}</ref>
 
* '''표멜레온''' : 이재명이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 이미지를 내세웠지만 여러 차례 공약 번복 논란이 일었던 모습을 보고 "기본소득, 기본주택, 기본대출 소위 기본 시리즈에 이어 전국민 재난지원금과 국토보유세 신설까지, 순간순간 표가 된다 하면 '한다' 말하고, 표 안 되다 싶으면 '안 한다' 뒤집으면 그만"이라며 "주변 색에 따라 순간순간 몸통 색깔을 바꾸는 동물 [[카멜레온]]이 왔다가 울고 갈 변신이라고 야권에서 지어준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08_0001680386&cID=10301&pID=10300|제목=文정부 차별화 이재명에 野 "표멜레온" "비정" 맹폭|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1-12-08}}</ref>
 
===이준석===
 
* '''준석대''' : 이준석 + 엄석대로, [[국민의힘]] 장예찬 청년 최고위원 후보는 2023년 3월 6일 이준석 전 대표가 최근 당 상황을 두고 [[이문열]]의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오는 학급 반장 '엄석대'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 "저는 '준석대(이준석+엄석대)'다 이렇게 표현하고 싶다"고 말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3/03/06/TP4QTDO7RRBVVBNRP2GTQECQG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제목=장예찬 “이준석, 10년간 치외법권처럼 행동...윤석대 아닌 준석대”|날짜=|웹사이트=|출판사=[[조선일보]]|언어=ko|확인날짜=2023-03-06}}</ref>
 
* '''준스톤''' : 이준석의 '석'은 본디 錫(주석 석)으로, 준틴으로 불려야하겠지만, 이를 石(돌 석)으로 생각하여 '석'을 영단어 'stone(스톤)'으로 치환하여 생긴 별명으로 2021년 기준 가장 널리 쓰이는 별명이다.
 
===전두환===
*'''29만원''' : 비자금 조성 관련 재판을 받던 도중에 판사가 "통장 잔고가 29만 1천원이다."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05260.html|제목="전두환 “전 재산 29만원” 어떻게 나왔을까"|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겨례신문]]|언어=ko|확인날짜=2019-08-10}}</ref>
 
===정청래===
* '''멍청래''' : 멍청함 + [[정청래]]이므로, 정청래의 부정적 별명 중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말 그대로 멍청해서 '멍청래'라고 붙인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www.dailian.co.kr/news/view/520784/?sc=naver|제목="멍청래, 또 일단 던져보자?' 정청래 헛발질 비난 폭주|날짜=|웹사이트=|출판사=[[데일리안]]|언어=ko|확인날짜=2015-08-11}}</ref>
 
===조국===
* '''조국스럽다''' : [[조국 (법학자)|조국]]이 가진 특성(언행불일치, [[내로남불]], 위선적 면모 등등)을 일컫는데 쓰인다. 2019년 9월 4일 [[자유한국당]] 연석회의에서 [[심재철 (정치인)|심재철]] 의원이 '거짓말하다'라는 표현으로 '조국스럽다'라는 말이 생겨날 것이라고 썼다. 이틀 지난 6일에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백승주 (1961년)|백승주]] 의원이 '조국스럽다'라는 단어를 차라리 국어사전에도 넣어야 한다고 비꼬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441246?sid=100|제목=한국당 "조국, 마지막까지 추한 모습…이제라도 사퇴하라"|날짜=|웹사이트=|출판사=뉴시스|언어=ko|확인날짜=2019-09-06}}</ref> [[중앙일보]]는 사설제목에 '조국스럽다'를 넣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2935353?sid=110|제목=[이정재의 시시각각] 조국스럽다|날짜=|웹사이트=|출판사=중앙일보|언어=ko|확인날짜=2019-09-06}}</ref>
 
* '''조로남불''' : 조국 + [[내로남불]]로, 조국이 내로남불을 한다고 비난하는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20/2019082001654.html|제목="조로남불" "정의를 입에 담지 마라" …2030 '조국 딸 특혜 논란'에 허탈·분노|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8-20}}</ref>
 
* '''조순실''' : 조국 + [[최순실]]로, 조국 딸(조민)을 [[정유라 (승마 선수)|정유라]]한테 비유하면서 생긴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07|제목=조국의 눈물나는 자녀 '용 만들기'...장학금-논문 등재-병역기피 나서며 "조순실이냐" 비판까지|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8-20}}</ref><ref>{{웹 인용|url=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631278|제목=靑국민청원 게시판도 조국 의혹으로 시끌 “최순실 데자뷔 ‘조순실’ 소름끼친다”|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9-08-20}}</ref>
 
=== 진중권 ===
* '''진석사''' : [[진중권]]의 최종학력이 석사인 것에서 비롯된 별명으로 [[클리앙]], [[루리웹]], [[에펨코리아]] 등 [[좌우]] 가리지 않고 두루두루 사용한다. [[김건희]] 팬클럽 건사랑의 회장인 [[강신업]] 변호사도 진중권에게 "이봐요 '''진 석사''', 그만좀하소 '''직업 관종'''"이라며 맹폭 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206160047|제목=‘건희사랑’ 강신업, 진중권에 “진 석사, 직업 관종”|날짜=2022-06-16|출판사=[[쿠키뉴스]]|확인날짜=2022-06-16}}</ref>
 
=== 추미애 ===
* '''盧미애''' : 지나친 수사지휘권 행사, 정권 수사 방해, 검찰 인사권 남용, 무리한 검찰총장 직무정지 및 징계 청구 등 추미애의 행보를 비판하는 별명이다.<ref>{{웹 인용|url=https://www.news1.kr/articles/?4135490|제목=한변 "尹 직무배제 추미애 '무법부장관' 형사고발"…구속수사 촉구|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2-01}}</ref>
 
* '''법無부장관''', '''무법부장관''' : 지나친 수사지휘권 행사, 정권 수사 방해, 검찰 인사권 남용, 무리한 검찰총장 직무정지 및 징계 청구 등 추미애의 법무부장관으로서의 행보를 비판하는 별명이다. 참고로 전임 장관인 [[조국 (교수)|조국]] 또한 같은 별명을 가지고 있다. 사람에 따라서는 조국을 초대 법無부장관/무법부장관, 추미애를 제2대 법無부장관/무법부장관 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변에서 추미애를 고발할 때 비판으로 사용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news1.kr/articles/?4135490|제목=한변 "尹 직무배제 추미애 '무법부장관' 형사고발"…구속수사 촉구|날짜=|웹사이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2-01}}</ref>
 
== 참고 서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