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1번째 줄:
{{위키데이터 .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225&index_id=cp02250014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중국에서 예로부터 쓰여 온 악기로 한국에도 오래전부터 쓰여 왔는데, 언제부터 쓰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한 기록이 없다. [[중국]]의 나팔(喇八)의 영향을 받았다고도 하며, 《[[악학궤범]]》에는 대각(大角)이란 이름으로 쓰여있다. 군대의 행진곡인 대취타, 신호용, 농악 등에 사용되었다.
{{다른 뜻 설명|[[부처]]의 머리카락을 나발(螺髮)이라고도 한다.}}
[[파일:Korea-Nabal-01.jpg|섬네일|230px|나발을 연주하는 사람]]
'''나발'''(喇叭)은 놋쇠로 만든 [[한국]] 전통 [[관악기]]로, 금부악기이다. 나발은 지공이 없어서 단음의 배음에배음에 해당하는 간단한 몇 가지 소리가 나기도 하지만, 보통 낮은 음 하나만을 길게 뻗어낸다.<ref name=":0">{{웹 인용|url=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225&index_id=cp02250014&content_id=cp022500140001&search_left_menu=2|제목=나발 - 문화콘텐츠닷컴|확인날짜=2021-05-10}}</ref>
 
== 유래 및 역사 ==
중국에서 예로부터 쓰여 온 악기로 한국에도 오래전부터 쓰여 왔는데, 언제부터 쓰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한 기록이 없다. [[중국]]의 나팔(喇八)의 영향을 받았다고도 하며, 《[[악학궤범]]》에는 대각(大角)이란 이름으로 쓰여있다. 군대의 행진곡인 대취타, 신호용, 농악 등에 사용되었다.
 
== 특징 및 연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