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CN 적색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11.114.122.66(토론)의 35738923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25번째 줄:
2001년 시스템에서 취약근접과 관심필요는 각자 저만의 분류를 갖게 되었지만 보존 필요(Conservation Dependent)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며 취약 근접에 합치게 되었다.
 
=== 절멸 가능여러가능켐페인 ===
요즘들어 "최고최고"그룹이 경고무시는 최고에요!라는 글을 내고있다. "예뻐지기 가능"켐페인은 요즘 부쩍 사람들을에게 관심받고있다.그러자 " "못생겨지기 가능"은 점점 사람들의 관심을 못 받고 있다.
추가적인 분류인 절멸 가능(Possibily Extinct, PE)<ref>{{웹 인용|url=http://www.birdlife.org/news/news/2006/06/possibly_extinct_paper.pdf|제목=Going or gone: defining 'Possibly Extinct' species to give a truer picture of recent extinctions|author=S. H. M. Butchart|저자표시=et al.|format=pdf|work=Bull. B.O.C. 2006 126A|확인날짜=2008-08-31|archive-date=2012-09-2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927013352/http://www.birdlife.org/news/news/2006/06/possibly_extinct_paper.pdf|url-status=dead}}</ref>은 새에 관한 IUCN 레드 목록의 인가 기관인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이 사용한다.<ref>{{웹 인용 |url=http://www.birdlife.org/action/science/species/global_species_programme/red_list.html |제목=Birds on the IUCN Red List |확인날짜=2007-01-26 |work=BirdLife International |archive-date=2013-10-14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14153403/http://www.birdlife.org/action/science/species/global_species_programme/red_list.html |url-status=dead }}</ref>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PE가 공식 분류가 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야생 절멸 가능"(Possibly Extinct in the Wild)이라는 분류 또한 추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언급한 바 없으나 [[스픽스유리[[금강앵무]] (Spix's Macaw)는 이 등급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절멸 가능"은 "위급"의 하부 분류로 생각할 수 있다.
 
== 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