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46번째 줄:
=== [[위키]] ===
집단 지성의 예로는 위키가 있다.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열람하고 확실하지 않거나 잘못된 정보는 누구나 수정 및 삭제 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 열람 사이트이다. 허위사실과 거짓이 난무하며, 관리자의 갑질까지 일삼아지고 있다. 유럽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에서는 위키 자체를 폐쇄시키는 경우도 많다.
 
=== [[구글]] ===
구글은 얻고자 하는 정보를 웹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검색어를 치면 그들의 인덱스 서버에서 수십억 개의 웹페이지를 살핀 뒤, 가장 연관성 높은 것을 찾는다. 검색된 사이트의 방문자 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는데 이때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는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높은 순위를 차지하여 검색결과에서 가장 먼저 나열된다.
 
=== [[크라우드소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