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9.5
청스고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3번째 줄:
[[파일:Head Karneades Glyptothek Munich.jpg|thumb]]
 
'''회의주의'''(懷疑主義, {{llang|en|skepticism}}) 또는 '''회의론'''(懷疑論)은 크게 철학적 회의주의와 종교적·과학적 회의주의로 나뉜다.나뉜20213박동현
 
회의주의는 인간이 이 세계에 관해서 확실한 [[지식]]([[진리]])을 갖는다는 가능성에 회의를 느끼는 이론 및 그러한 입장이다.<ref name="글로벌-회의론(회의주의)">[[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상/사 상 용 어/세계관/회의론·불가지론 등#회의론(회의주의)|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세계관 > 회의론·불가지론 등 > 회의론(회의주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고대]]에는 정치와 사상의 혼란 속에서 고대 회의주의 철학이 성립했다.<ref name="글로벌-회의론(회의주의)"/> [[근세]]에 와서는 [[중세]]적인 [[신]]의 권위에 대한 회의가 [[실증]]적인 자연 연구의 발전과 결부해서 성장하였고, 절대적 [[진리]]는 인식 불가능이라는 사상이 특히 [[데이비드 흄]] 등에 의해 주장되었다.<ref name="글로벌-회의론(회의주의)"/> 그러나 고대 회의주의가 회의를 수행한 결과 "[[에포케|판단중지]]"에 도달한 데 대하여 근세 [[데카르트]]의 경우에는 인간의 의식에 있어서 회의의 작용 그 자체의 [[확실성]]을 인정하고 거기에서 근세의 [[합리론]] 철학(合理論哲學)을 탄생시켰다.<ref name="글로벌-회의론(회의주의)"/> 회의는 소극적인 태도이지만 절대적 [[진리]]를 분별없이 받아들이지 않고 비판적이기 때문에 오히려 적극적인 의의를 가질 수도 있다.<ref name="글로벌-회의론(회의주의)"/>
 
== 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