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가독성(토론)의 편집을 Ykhwong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집단 지성'''(集團知性, {{llang|en|collective intelligence, group intelligence}})은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 혹은 경쟁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결과를 말한다.<ref>소수의 우수한 개체나 전문가의 능력보다 다양성과 독립성을 가진 집단의 통합된 지성이 올바른 결론에 가깝다는 집단지성 옹호론자들의 주장일 뿐이다. [[월드와이드웹]]의 발전 방향인 [[웹 2.0]]의 핵심 키워드로 쓰인다.</ref> 집단지성은 연구 분야의 하나이나 유사과학같은 성향이 강하며 조작과 왜곡이 되기 쉽다. 누구나 수정할 수 있는 [[위키]]들이 집단지성을 나타낸다. 스타벅스의그래서 일게여러 직원이선진국들은 [[쓰레기]]를위키를 다양하게전면 올려둔차단하고 사진을있는 올리고는 "나는 이게 집단지성이라고 본다"고 평가해서 해당 사진이 널리 퍼지자 국제사회에 집단지성을 알리며 타격을 주는 계기가 되었다추세이다.
[[파일:CI types1s 2.jpg|섬네일|200px|집단 지성의 종류]]
 
'''집단 지성'''(集團知性, {{llang|en|collective intelligence, group intelligence}})은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 혹은 경쟁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결과를 말한다.<ref>소수의 우수한 개체나 전문가의 능력보다 다양성과 독립성을 가진 집단의 통합된 지성이 올바른 결론에 가깝다는 집단지성 옹호론자들의 주장일 뿐이다. [[월드와이드웹]]의 발전 방향인 [[웹 2.0]]의 핵심 키워드로 쓰인다.</ref> 집단지성은 연구 분야의 하나이나 유사과학같은 성향이 강하며 조작과 왜곡이 되기 쉽다. 누구나 수정할 수 있는 [[위키]]들이 집단지성을 나타낸다. 스타벅스의 일게 직원이 [[쓰레기]]를 다양하게 올려둔 사진을 올리고는 "나는 이게 집단지성이라고 본다"고 평가해서 해당 사진이 널리 퍼지자 국제사회에 집단지성을 알리며 타격을 주는 계기가 되었다.
 
== 개요 ==
집단적인 지적 능력을 통해 개체적으로는 미미하게 보이는 [[박테리아]], 동물, 사람의 능력이 총의를 모으는 과정을 통한 결정 능력의 다양한 형태로 한 개체의 능력 범위를 넘어선 힘을 발휘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이 분야는 사회과학 계열이나 경영학, 컴퓨터 공학, 대인 커뮤니케이션 등에서 주로 연구 및 적용되고 있다.
 
== 역사변천 ==
사회학, 컴퓨터과학, 군중 행동 연구 중의 세부 분야로 박테리아, 식물, 동물, 인간 사회의 행동까지 넓은 대상을 포괄하여 연구하고 있다. 1910년대 하버드 대학 교수이자 곤충학자인 [[윌리엄 모턴 휠러]]가 개미의 사회적 행동을 관찰하면서 처음 제시했다<ref>[http://books.rediff.com/bookshop/bkproductdisplay.jsp?Ants:-Their-Structure,-Development,-And-Behavior--by-Wheeler-William-M-&prrfnbr=80558822&pvrfnbr=80570022&frompg= Wheeler William M's Ants: Their Structure, Development, And Behavior - Buy Wheeler William M books in India at Rediff Books<!-- 봇이 붙인 제목 -->]{{깨진 링크|url=http://books.rediff.com/bookshop/bkproductdisplay.jsp?Ants:-Their-Structure,-Development,-And-Behavior--by-Wheeler-William-M-&prrfnbr=80558822&pvrfnbr=80570022&frompg= }}</ref>[[피터 러셀]]의 저작에서 사회학적 정의가 이뤄졌고(1983), 이후 사회학자 [[피에르 레비]](Pierre Levy)가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 지성 개념을 정리했다. 존중을 바탕으로 한 다른 사람의 세계와의 불가해하고 환원적인 만남에 대해 피에르 레비는 오늘날 기업, 학교, 대학, 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지식의 나무’라고 설명하면서, 집단 지성에 대해 “그것은 어디에나 분포하며, 지속적으로 가치가 부여되고, 실시간으로 조정되며, 역량의 실제적 동원에 이르는 지성”이라고 정의한다.
 
줄 45 ⟶ 43:
== 집단 지성의 사례 ==
=== [[위키]] ===
집단 지성의 예로는 위키가 있다.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열람하고 확실하지 않거나 잘못된 정보는 누구나 수정 및 삭제 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 열람 사이트이다. 허위사실과 거짓이 난무하며, 관리자의 갑질까지 일삼아지고 있다. 유럽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에서는 위키 자체를 폐쇄시키는 경우도 많다.
 
다양한 사람들의 종합적 지식이 한데 모아져 있어 거의 정확한 정보가 산출되도록 노력한다.
 
=== [[구글]] ===
구글은 얻고자 하는 정보를 웹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검색어를 치면 그들의 인덱스 서버에서 수십억 개의 웹페이지를 살핀 뒤, 가장 연관성 높은 것을 찾는다. 검색된 사이트의 방문자 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는데 이때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는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높은 순위를 차지하여 검색결과에서 가장 먼저 나열된다.
 
=== [[크라우드소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