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55번째 줄:
}}
 
'''tvN'''은 [[CJ ENM]] 에서 운영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채널이다.
'''tvN'''은 [[CJ ENM]] 미디어콘텐츠부문에서 운영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채널인데 개국 당시 유명 MC들을 쓰지 않았으나 새로운 포맷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한 [[이경규]] [[신동엽 (희극인)|신동엽]] 등 유명 진행자들을 뒷날 기용했지만<ref>{{뉴스 인용
| 제목 = 케이블 예능 “안하면 안했지, 있던 공식대로는 절대 안한다”
| url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004425
| 출판사 = 텐아시아
| 저자 = 강명석
| 쪽 =
| 날짜 = 2010-07-29
| 확인날짜 = 2024-02-16
}}</ref> [[최양락]] [[김미화]] 등<ref>{{뉴스 인용
| 제목 = 최양락, "왕의 귀환? 난 그저 내 자리에 있었을 뿐인데···"(인터뷰①)
| url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2064909
| 출판사 = 이데일리
| 저자 = 장서윤
| 쪽 =
| 날짜 = 2009-01-25
| 확인날짜 = 2024-02-16
}}</ref><ref>{{뉴스 인용
| 제목 = 복귀하는 김제동, 김미화와 함께 해라
| url =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36
| 출판사 = 미디어스
| 저자 = 탁발
| 쪽 =
| 날짜 = 2010-07-08
| 확인날짜 = 2024-02-16
}}</ref> 예능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해 도태된 예전 진행자들, 사람냄새 물씬 나는 드라마에 특징이 있으나 내외적으로 슬럼프를 겪으면서<ref>{{뉴스 인용
| 제목 = [한국인터뷰] SBS 드라마 '은실이' 작가 이금림씨
| url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199907050086674416
| 출판사 = 한국일보
| 저자 = 배국남
| 쪽 =
| 날짜 = 1999-07-05
| 확인날짜 = 2024-02-16
}}</ref><ref>{{뉴스 인용
| 제목 = SBS ‘연인’ 조기종영 결정
| url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30902029002
| 출판사 = 서울신문
| 저자 =
| 쪽 =
| 날짜 = 2003-09-02
| 확인날짜 = 2024-02-16
}}</ref><ref>{{뉴스 인용
| 제목 = 복고풍 드라마 「동기간」(TV평)
| url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199607160095301094
| 출판사 = 한국일보
| 저자 = 김경희
| 쪽 =
| 날짜 = 1996-07-16
| 확인날짜 = 2024-02-16
}}</ref><ref>{{뉴스 인용
| 제목 = [김형구의 방송작가 클로즈업]일일연속극 준비중인 ‘아들과 딸’ 박진숙
| url = https://www.segye.com/newsView/20040204000185
| 출판사 = 세계일보
| 저자 = 김형구
| 쪽 =
| 날짜 = 2004-02-04
| 확인날짜 = 2024-02-16
}}</ref> 집필 활동이 전무해진 [[이금림]] [[박진숙]] 작가 등 과거 드라마 작가들은 기용하지 않고 있다.
 
== 역사 ==
[[2006년]] [[10월 9일]]에 개국하여, 기존 지상파에서 시도하지 못했던 다양한 콘셉트의 방송을 하고 있다.
[[2006년]] [[10월 9일]] 오후 7시, 케이블 TV와 위성 방송,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TU)에서 동시 개국하여 100% 자체 제작을 내세우며 지상파에서 시도하지 못했던 다양한 포맷으로 실험적인 방송을 하고 있다. [[2009년]]부터는 폭스 인터내셔널 채널스 (Fox International Channels)와 함께 필리핀, 홍콩, 대만을 가청 구역으로 하는 tvN Asia를 개국하여 Star TV 위성 (Asia Sat)을 통해 송출했으며 2015년 계약 종료로 단독 '''tvN (한국 채널)''' 방송 중이다.
 
[[2010년]] [[6월 28일]]부터 [[2013년]] [[4월 30일]]까지 수도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지상파DMB]] 사업자인 [[한국DMB]]의 채널을 임대하여 '''tvN Go'''를 송출·방송하였다.<ref>개국부터 [[2010년]]까지 별도 제작 없이 [[지상파 방송]] [[위탁]] 제작을 보냈다.</ref>[[2015년]] [[9월 10일]]에는 중장년층에게 특화된 제2채널 O tvN(현 [[tvN DRAMA]])이, [[2018년]] [[1월 26일]]에는 밀레니엄 세대를 대상으로 한 제3채널 XtvN(현 [[tvN SHOW]])이, [[2021년]] [[5월 1일]]에는 중장년층 세대를 대상으로 한 제4채널 [[tvN STORY]]가 잇따라 개국되었다. 2021년 [[9월 1일]]에는 O tvN이 tvN DRAMA로, XtvN이 tvN SHOW로 두 채널명이 변경되었다. 2022년 [[5월 20일]]에는 [[Olive (텔레비전 채널)|Olive]]가 25세 ~ 59세 청장년 세대 대상으로 한 제5채널이자 스포츠 전문 채널 [[tvN SPORTS]]로 변경되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중계권을 계약하여 주관 방송사가 되었으며,<ref>{{웹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200129105600005|제목 = tvN에서 축구 경기 본다…CJ ENM, 아시아축구연맹 중계권 계약|성 = 송은경|날짜 = 2020-01-29|언어 = ko|확인 날짜 = 2021-03-26}}</ref> [[스포츠]] 콘텐츠로 정식 확장되었다.<ref>'''[[tvN 스포츠|스포츠엔 tvN]]'''의 슬로건</ref><ref>2013년에는 스포츠 시범 중계한 바 있다.</ref>
 
== 슬로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