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2001:4430:C23A:70CF:10D:357F:ADF1:DF16(토론)의 편집을 2001:288:2353:10:906B:491B:678E:C80F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353번째 줄:
 
== 경제 ==
1949년 이전, 상하이에는 많은 외국 [[은행]]과 회사가 있었다. 상하이는 당시 [[중국]]의 경제무역 중심이었다. 상하이는 [[중앙은행]], [[중국은행]], [[교통은행]], [[중국농업은행]], [[사대정부은행]] 뿐만 아니라 가장 많은 국가자본과 더불어 관료 자본 금융기관과 그 밖에 또 외국 화교 금융기구가 모여들고 있었다. 외탁부근에 각국의 힘 있는 은행들이 모여들어 영국 [[HSBC]], 독일 [[덕화은행]], 일본 [[횡빈정금은행]], 러시아 [[화아도승은행]], 프랑스 [[동방회리]], 미국 [[시티은행]], 벨기에 [[화비은행]] 등은 “동방화니가”를 구성했다. 여전히 많은 개인 자본 경영의 은행, 전장(개인이 운영했던 개인 금융기관)과 신탁회사(이하 약칭 사영행장공사)를 보유하고 있다. 1927년부터 1937년에 이르기까지 “황금시기”의 발전을 경험했다. [[중일 전쟁|항일전쟁]] 발발 전, 상하이의 사영행장공사는 이미 105개에 달했다. 그러나 항일 전쟁을 겪고 해방전쟁시기 1949년 5월 상하이 해방 시, 상하이사영금융업의 전체자금력은 실제로는 이미 대폭 약화되어 있었지만, 여전히 119개의 사영은행, 80개의 전장과 5개의 신탁공사가 있었다. 하지만 1952년 말, 상해사영금융기구의 수가 60여 개까지 급락하였다. 1956년 초, 정부는 회사공영정책을 실행하였고, 끝내 모두 통일된 회사공영 은행연합 총관리처로 합병되었다.
 
1949년 이후, 상하이의 자본가 일부분은 모두 이미 홍콩, 대만으로 빠져나가거나 해외의 다른 지만으로 빠져나갔다. 또 다른 일부분은 상하이에 남아 계속 경영되었다. 마지막으로 1956년 초, 모든 회사가 공동으로 경영되었다.
 
상하이는 중국대륙에서 경제가 가장 발달된 도시 중 하나이다. 2004년에는 1인당 GDP가 6661달러였으며 10년 연속 연평균 경제성장율 8%를 초과했다. 3차산업은 상하이 경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중 가장 중요한 산업으로는 금융업과 부동산업, 보험업 그리고 운수업 등을 포함한다. [[푸둥 신구]]에 위치한 [[루자쭈이]](陸家嘴)(금융무역구)는 상하이의 신흥 금융 중심이다. 중국 인민은행 총본부는 2005년 8월 상하이에 계열회사와 사무소를 설립했다.
 
상하이 공업발달은 국민정부시기와 계획경제 시기에 상하이의 공업 발전 수준이 이미 전국의 선두에 섰다. 개혁개방 초기, 중앙 정책 원인으로 말미암아, 중국 동남 지역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상하이의 공업은 한 차례 변연(가장자리)화 위기에 직면하였지만, 90년 중반 이래, 푸동 신해방구의 개발에 따라, 아울러 재정은 지불비중을 감소하는 등 많은 방면의 원인을 바꾸었다. 상하이의 공업은 또 다시 생존의 기회를 진작했다. 상하이 공업은 전국 총생산의 10분 1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산업으로는 경공업과 방직산업을 아울러 중공업, 야금, 석유화학, 기계, 전자공업을 위주로 그 밖에 자동차, 항공, 우주항공 등의 공업이 있다.
 
== 문화 ==
=== 이름의 기원 ===
“상해”(上海)라는 한자 두 글자는 문자적으로 “위에”, “꼭대기”라는 의미와 “바다”라는 뜻을 가진다. 표준발음으로 상하이는 “샹하이”({{zh|c=上海|p=Shànghǎi}})이지만, 상하이 사람들의 발음으로 상하이는 “짱해”({{IPA|/zɑ̃'he/ }})이다. 어떻게 해석해야 하느냐에 대해서 논쟁이 있지만, 지역 관공 역사는 일관되게 “바다보다 더 높은”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또 다른 발음, 특히 사투리에서는 “바다 위로 가다”는 의미를 제시하기도 한다. 상하이의 좀 더 시적인 이름은 두 문자를 바꾸기도 한다. 즉, 하이샹(해상)이다. 서부에서는 상하이가 샹하이, 짱하이, 챵하이라고 불리지만 1990년대에 와서는 표준발음이 “샹하이”로 정해진 이후 서부에서도 이렇게 널리 불리게 되었다.
 
상하이는 “동쪽의 파리(Paris of the East)", "동양의 여왕(Queen of the Orient)", 심지어는 1920년과 30년대의 만연한 부정과 악, 마약, 그리고 매춘과 관련하여 "아시아의 매춘부”등 영어로 다양한 별명을 가지고 있다.
 
=== 건축 양식 ===
[[파일:Bridge at Nanxi Street over Puhuitang River, Qibao.jpg|섬네일|오른쪽|상하이에는 현대적인 건물뿐 아니라 전통적인 건물도 남아있다]]
 
상하이는 다양한 건축양식의 빌딩과 구조물들이 무척 많다. [[황푸강]]변에 위치한 [[와이탄]]에는 20세기 초 건축양식이 잘 나타나는데,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진 [[HSBC]] 빌딩에서부터 첨탑 형식의 [[싸쑨하우스]](현 화평반점)에 이르기까지 줄지어 있다.
 
재개발의 광풍 속에서도 유서깊은 이 도시는, 강남 양식의 전통적인 정원인 [[예원]]({{zh|s=豫園|h=위위안|p=yùyuán}})을 포함하여 여전히 전통적인 양식을 남겨두고 있다.
 
최근에는 독특하고 괴상하기조차 한 [[마천루]]들이 상하이에 생겨났다. 현대건축물의 특징적인 예로는 [[상하이 런민광창|인민광장]] 관구에 있는 [[상하이 박물관]]과 [[상하이 대극원]]을 들 수 있다.
 
중국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 중의 하나인 [[동방명주탑]]이 상하이에 자리하고 있다. 그 근처에 있는 [[상하이 세계금융센터]]는 중국 본토의 가장 높은 고층건물이며 세계에서는 세 번째 순위이다.
 
=== 종교 ===
세계 각지가 모였던 역사 때문에 상하이는 종교적인 건물과 시설들이 도시 각지에 흩어져 있다. 상하이에서의 [[도교]]는 몇몇의 사원을 가지고 있고 상하이도교협회에 의해 운영되는 가장 큰 사원은 상하이 심장부에 있는, 도시의 보호자로서 여겨지는 3명의 역사적 인물을 모시는 신전이다.
 
유교사원은 [[공자]]를 모시는 [[예원]] 근처의 문묘({{zh|s=文庙|p=Wénmiào|h=원먀오}})를 비롯하여 관우를 모시는 사원이 많다.
 
상하이의 [[불교]]는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롱화쓰]](용화사, {{zh|s=龍華寺|p=Lónghuásì}})은 상하이에서 가장 큰 사원이고 [[삼국시대]]에 창립되었다. 상하이 도심지에 위치한 [[징안쓰]] 또한 삼국시대에 처음 지어졌다. 다른 주요사원은 사원 안에 옥으로 조각된 큰 부다상의 이름을 딴 [[위포쓰|위포챤쓰]]({{zh|s=玉佛禪寺|p=yù fó shàn sì|h=옥보선사}})이다. 상하이에는 수세기동안 꽤 규모 있는 이슬람 인구들이 거주했다. 그들은 소다원 사원, 송쟝(송강, {{zh|c=松江|p=sōng jiāng}})사원 등 많은 이슬람 사원을 섬겨왔다.
 
[[파일:Cathedral in Xujiahui.jpg|섬네일|오른쪽|200px|쉬자후이 천주교당(서가후 천주교당, <small>{{zh|s=徐家汇天主教堂|p=Xújiāhuì Tiānzhǔjiāotáng|h=쉬자후이 톈주자오탕}}</small>)]]
 
상하이는 또한 [[기독교]]의 주요성지이다. 다양한 종파가 속한 [[교회]] 또한 상하이에서 창건되었고 주요 집회가 이루어지고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들 사이에 셩이나주에주지아오쭤탕({{zh|t=聖依納爵主教座堂}}) 대성당이 가장 크고 쉬쌴 대성당은 성지순례를 가는 교회이다. 다른 주목할 만한 교회는 동찌아두 대성당이다. [[동방 정교회]] 교회와 다양한 유대교 회당이 있다. 유대교 정통파 형식의 회당 건물은 상하이의 역사를 증명해준다.
 
== 인구 ==
{{Historical populations
|type=China
|percentages = pagr
|1954<ref name="census">{{웹 인용|url=http://www.stats-sh.gov.cn/tjnj/nje11.htm?d1=2011tjnje/E0226.htm |title=Basic Statistics on National Population Census |publisher=Shanghai Bureau of Statistics |access-date=25 April 201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501203925/http://www.stats-sh.gov.cn/tjnj/nje11.htm?d1=2011tjnje%2FE0226.htm |archive-date=1 May 2013 |url-status=dead }}</ref>|6204400
|1964<ref name="census"/>|10816500
|1982<ref name="census"/>|11859700
|1990<ref name="census"/>|13341900
|2000<ref name="census"/>|16407700
|2010<ref name="census"/>|23019200
|2015<ref name="SHSTAT2018:2.1">{{웹 인용
|url = http://tjj.sh.gov.cn/tjnj/nje18.htm?d1=2018tjnje/E0201.htm
|title = 2.1 TOTAL HOUSEHOLDS,POPULATION,DENSITY OF REGISTERED POPULATION AND LIFE EXPECTANCY (1978~2017)
|publisher = Shanghai Municipal Statistics Bureau
|access-date = 1 September 2019
|archive-date = 2019-10-29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91029030835/http://tjj.sh.gov.cn/tjnj/nje18.htm?d1=2018tjnje%2FE0201.htm
|url-status = dead
}}</ref>|24152700
|2016<ref name="SHSTAT2018:2.1" />|24197000
|2017<ref name="SHSTAT2018:2.1" />|24183300
|2018<ref name="SHECO2018">{{웹 인용|script-title = zh:2018年上海市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trans-title = Statistical Communiqué of Shanghai on the 2018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website = tjj.sh.gov.cn |publisher = Shanghai Municipal Statistics Bureau |date = 1 March 2019 |language = zh |access-date = 1 September 2019 |url = http://tjj.sh.gov.cn/html/sjfb/201903/1003219.html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90502183918/http://www.stats-sh.gov.cn/html/sjfb/201903/1003219.html |archive-date = 2 May 2019 |url-status = dead }}</ref>|24237800
|2019<ref name="SHECO2019">{{웹 인용|script-title = zh:2019年上海市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trans-title = Statistical Communiqué of Shanghai on the 2019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website = tjj.sh.gov.cn |publisher = Shanghai Municipal Statistics Bureau |date = 9 March 2020 |language = zh |access-date = 24 March 2020 |url = http://tjj.sh.gov.cn/html/sjfb/202003/1004509.html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200324022952/http://tjj.sh.gov.cn/html/sjfb/202003/1004509.html |archive-date = 24 March 2020 |url-status = dead }}</ref>|24281400
|footnote = Population size may be affected by changes to administrative divisions.
|align=none
}}
 
== 스포츠 ==
상하이에서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중국 프로축구 [[중국 슈퍼리그|슈퍼리그]]에서 활약하는 [[상하이 뤼디 선화]], [[상하이 선신]] 등이 있다.
 
== 교통 ==
{{본문|상하이시의 교통}}
=== 대중교통 ===
[[파일:Donghai Bridge.jpg|섬네일|왼쪽|[[둥하이 대교]](東海大橋)]]
상하이의 택시는 넘쳐나고 시장의 경쟁은 보통수준의 거주자들을 위해 택시 요금을 알맞은 가격으로 내리도록 의도했다.
 
1990년대 이전 자전거는 상하이에서 가장 보기 쉬운 교통수단이었지만 시정부가 많은 도시의 주요도로에 자전거를 금지하면서 혼잡이 완화되었다. 하지만 많은 도로는 이미 자전거 이동도로를 가지고 있고 교차로는 안전한 도로주행을 제공케 하는 교통 협력가들에 의해 검토되고 있다. 더욱이 중국의 대부분의 검토자들은 자전거주행에 찬성하는 사람들이고 그것들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또 시 정부는 향후 몇 년 만에 180km에 달하는 자전거주행도로를 추가하겠다고 약속했다.
 
수입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상하이의 개인 자동차 소유주는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자동차의 수는 제한되어있지만 사용가능한 자동차번호판은 경매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 철도 ===
[[파일:Shanghai Metro Network en.png|섬네일|상하이 지하철]]
 
==== 자기부상열차 ====
상하이 당국과 상해 고속철도 개발 회사의 협력으로 독일 [[트란스 라피드]]는 2002년 푸동(浦東)의 상하이 롱양 지하철역에서 [[푸동 국제공항]]을 잇는 고속철도 가 구상되었고 2003년에 시행되었다. 30km의 여행이 최대 431&nbsp;km/h의 속도로 최대 7분 21초만에 도착한다.
==== 철도 ====
상하이에 있는 두 개의 철도교차점은 [[난징]]을 지나는 [[징후 철도]]와 상하이-[[항저우]](杭州) 철도이다. 상하이에는 주요 철도역이 두 군데 있는데 각각 [[상하이역|상하이 철도역]]과 [[상하이 남역|상하이 철도남역]]이다. 고속철도는 2007년에 건설예정인 항주를 지나고 북경으로 가는 초고속 철도 또한 작업 중이다.
 
==== 지하철 ====
{{본문|상하이 지하철}}
[[상하이 지하철]]은 [[상하이 지하철 1호선|1호선]], [[상하이 지하철 2호선|2호선]], [[상하이 지하철 3호선|3호선]], [[상하이 지하철 4호선|4호선]], [[상하이 지하철 5호선|5호선]], [[상하이 지하철 6호선|6호선]], [[상하이 지하철 8호선|8호선]], [[상하이 지하철 9호선|9호선]], [[상하이 지하철 10호선|10호선]], [[상하이 지하철 11호선|11호선]], [[상하이 지하철 12호선|12호선]], [[상하이 지하철 13호선|13호선]], [[상하이 지하철 14호선|14호선]], [[상하이 지하철 15호선|15호선]] [[상하이 지하철 16호선|16호선]], [[상하이 지하철 17호선|17호산]], [[상하이 지하철 18호선|18호선]], [[상하이 지하철 푸장선|푸장선]] 과 [[상하이 지하철 기부상선|기부상선]] 이 개통되어 운행 중이다.
 
==== 고속도로 ====
[[베이징]]과 상하이 주변지역의 6개 이상의 고속도로가 도시를 연결하고 상하이에는 도시 중심과 18개 도시의 고속도로에 6개의 통행료무임인 고속도로가 있다. 상하이 도시중심의 [[충밍섬|충밍다오]](崇明縣)을 잇는 고속도로를 건설한 야심찬 계획을 가지고 있다. 상하이의 터널과 다리는 [[푸시]]와 [[푸동]]을 잇는 데 사용된다.
 
=== 공항 ===
상하이는 두개의 공항을 갖는데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上海虹橋國際機場)과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上海浦東國際機場)이다.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은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과 [[홍콩 국제공항]]을 이어 세 번째로 중국에서 가장 사람의 왕래가 잦은 공항이다. 2006년 [[베이징시|베이징]]의 1260만명에 비해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은 1715만명의 국제고객이 왕래해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보다 더 많은 여행객들이 이용했다.
 
=== 항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