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 (1931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http://news.naver.com → [https://news.naver.com)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출생일수정 시각 편집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황족 정보
| 이름 = 이구
| 원래 이름 = 李玖
| 그림 = =Yi Gu.jpg
| = 이구
| 시호 =
|시호 = 회은황태손 <small>(사시)</small>
| 작위 = 이왕세자
| 재위 = 1931년 12월 29일 ~ 1947년 5월 3일
|대관식 대관식 =
| 자녀 =
|자녀 = 이은숙(양녀), [[이원 (1962년)|이원]](양자)
|전임자 전임자 = [[의민태자|의민황태자 영왕]]
| 후임자 = <ref>(왕공족 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신적강하)</small></ref>
| 작위2 =
|작위2 = [[대한제국 황제|대한제국 황실 수장]]<br>(명목상)
| 재위2 = 1970년 5월 1일 ~ 2005년 7월 16일
| 전임자2 = [[의민태자|의민황태자]]
| 후임자2 =
|후임자2 = [[이원 (1962년)|황사손 이원]](정통)<br/>[[이해원 (1919년)|이해원]](비정통)
|출생일 출생일 = {{출생일|1931|12|29}}
|출생지 출생지 = 일본 제국 [[도쿄]]
|사망일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2005|7|16|1931|12|29}}
|사망지 사망지 = 일본 [[도쿄]]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세례자 요한]])
|아버지 아버지 = [[의민태자|의민황태자 영왕]]
|어머니 어머니 = [[이방자|자행황태자비]]
| 배우자 = 아리타 키누코(재혼)<br/>[[줄리아 멀록]](前, 1958년 결혼~1982년 이혼)
}}
'''이구'''(李玖, [[1931년]] [[12월 29일]] ~ [[2005년]] [[7월 16일]])는 [[대한민국]]의 건축가, 공학자, 교육자, 사업가이다. 아호(雅號)는 산남(山南)이고, 구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대한제국 황실]] 제3대 수장인 영친왕 [[의민태자|이은]]과 [[이방자]] 여사의 둘째 아들이다. [[일제강점기]]의 [[이왕가]]의 이왕세자(李王世子)이기도 했으며, 신적강하로 이왕세자직을 상실하고 [[일본]]에 체류하였다. 한때 [[미국]] 유학을 다녀오기도 했고, [[대한민국]]에 귀국,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에 출강하기도 했다. 생전에 [[건축사]]와 대학강사 등으로 활동했고,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 종묘제례 봉행위원회 총재로도 활동하였다.
31번째 줄:
== 생애 ==
=== 출생과 이왕세자 시절 ===
[[1931년]] [[12월 29일]] [[의민태자]]와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梨本宮守正)의 딸 [[이방자]]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이진이 일찍 죽어 그가 영친왕의 잠정상속자가 되었다. 국내에서의 그의 지위는 이왕(李王)이었던 아버지 [[영친왕]]의 이왕세자였다. 정확한 세자 책봉일은 알 수 없으나, 1933년에는 이미 왕세자 신분이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3040200209102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3-04-02&officeId=00020&pageNo=2&printNo=4417&publishType=00010 ]</ref>
 
그러나 [[1945년]]에 일제가 패망한 후, [[1947년]] [[신적강하]]가 일어나면서 [[영친왕]]이 평민으로 신분이 격하되자 이구 역시 이왕세자라는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
55번째 줄:
 
=== 이혼과 일본 출국 ===
종친들의 종용에 못 이겨 대를 잇지 못한다는 이유로 이혼을 강요당했으나, 그는 [[줄리아 멀록]]과의 결혼생활을 20여 년간 유지했다. 그러나 1977년 별거에 들어가고, [[1979년]] 이구는 홀로 일본으로 떠났다. [[1982년]] 이구는 부인이었던 [[줄리아 멀록]]과 이혼하게 되었는데, 이혼하게 된 원인은 자세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어머니 이방자는 줄리아가 외국인만 아니었다면 하며 안타까워했다.<ref>그러나 이방자 역시 일본계 여성으로 [[대한제국]]이나 [[대한민국]]의 입장에서는 외국인일 수 있었다.</ref> [[줄리아 멀록]]과의 결혼 생활을 유지하려 노력했으나, 주변의 거듭된 반대와 비판에 시달렸다. 줄리아는 실내장식품을 제조하여 판매하며 시어머니 이방자의 명휘원 사업을 돕고 열심히 시어머니를 부양하였으나, 일부 종친들의 마음을 돌리지는 못했다. 줄리아 멀록과의 이혼 이후 그는 일본에서 무당 아리타 키누코(有田絹子, Arita Kinuko, 한국식 이름: 이견자(李絹子))와 재혼하여 함께 살았다.
 
[[1984년]] 이구는 사기 혐의로 피소되었다.<ref>"詐欺 혐의로 李玖씨 日서 被訴", 동아일보 1984년 6월 19일자 7면, 사회면</ref> [[1989년]] 어머니마저 잃고 여러 번 종약원과 종친들의 귀국 종용이 계속 있었으나 그는 거절했다. [[1996년]] 영구 귀국해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명예총재를 맡았지만, 실제로는 일본에서 시간을 보내는 일이 많았다.
66번째 줄:
|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5&aid=0000049579&
|출판사=SBS TV
|날짜=2005년 7월 19일}}</ref> 호텔 종업원이 수일 간 인기척이 없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방문을 열어보자 화장실에서 사망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객실 화장실에서 발견된 그의 시신에는 별다른 외상이 없었다 한다. 그러나 정확한 사망 일자와 사망 시각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일본 경찰 측에서 입수한 자료도 단편적이고, 그 단편적인 자료조차 공개하기를 꺼려하여 무수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공교롭게도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 자리는 [[1931년]]에 그가 태어난 출생지였지만 일본 패전 후 [[영친왕]]의 경제적 능력 결여로 매각하게 된 장소이기도 했다. 만년의 호텔에 머무르며 자신이 태어난 곳을 내려다보는 것을 하나의 낙으로 삼았다고 한다출생지이다.
 
이구의 [[시신]]은 [[2005년]] [[7월 20일]]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운구되었으며, [[2005년]] [[7월 21일]] [[성복제]]에서 입관 전 [[곤룡포]]를 입은 모습이 공개된 뒤, [[2005년]] [[7월 24일]] 대한민국 국무총리 및 문화재청장 등 각계 인사들과 시민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창덕궁]] [[희정당]]에서 [[영결식]]이 거행되었다.<ref>{{뉴스 인용
88번째 줄:
=== 왕세자 대우 ===
이구는 [[1945년]] 이후에나 부왕 [[영친왕]]의 사후에 직접적으로 한국의 왕위나 황제위를 요구한 적은 없다. 그러나 해방 직후 한동안 한국 사회는 그를 왕세자로 대우하였다.<ref>자유신문 1950년 3월 31일자 기사</ref> 자유신문 1950년 3월 31일자 기사에는 그를 왕세자로 칭한 바 있다. 그밖에 [[경향신문]]의 3월 31일자 기사 2면에도 "舊王世子李玖 外人商店店員"이라 하여 이구를 왕세자로 보았다.
 
=== 후계 논란 ===
이구는 생전에 자신의 후계자 문제를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구의 사망 이후 큰아버지 [[의친왕]](義親王)의 손자 [[이원 (황손)|이원]](李源)이 양자로 입적해 황실의 대통을 이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민법]]상 사후(死後) 입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가 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이구의 국내 호적에 1969년 입적한 양녀 이은숙(李恩淑, Eugenia Unsuk, [[1959년]] ~ )이 있으며, [[일본]] 호적에는 [[아리타 키누코]]라는 무당과 혼인신고 관계가 되어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상열 씨가 밝히는 옛 황실 6대 비화
|출판사=일요신문 제754호
|날짜=2006년 10월 29일}}</ref> 한편, [[2006년]]에는 이에 반발하여 [[황족회]]라는 단체가 의친왕의 차녀 [[이해원 (황손)|이해원]]을 30대 대한제국 황위 계승자로 옹립했으나, 이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다.
 
그러나 의친왕의 아들 이석은 이구의 양자로 이원이 지명된 데 의혹을 제기했다. 이석은 “영친왕보다는 의친왕의 자손에게 왕가의 적통성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밖에 그가 일본인의 후손 영친왕의 비(妃)인 이방자 여사가 일본 황족이었다는 점에서 정통성에 문제가 되기도 한다.<ref name="goso1">[https://news.joins.com/article/4415597 일제 탄압 시달린 대한제국 황실 후손들 적통문제 둘러싸고 갈등], 중앙일보, 2010.08.28</ref>
 
== 가족 관계 ==
* 부인: [[줄리아 멀록]](한국식 이름: 이주아,李珠亞)([[1923년]] - [[2017년]]), 이혼.
{{의민태자 가계도}}
 
* 부인: [[줄리아 멀록]](한국식 이름: 이주아,李珠亞)([[1923년]] - [[2017년]]), 이혼.
** 아들(양자): [[황사손]] [[이원 (황손)|이원]], [[의친왕]]의 손자로 의친왕 9남 [[이갑 (1938년)|이충길]](이갑)의 장남.
*** 양손자: 이권 ([[1998년]]~)
*** 양손자: 이영 ([[1999년]]~)
** 딸(양녀): 이은숙(李恩淑, Eugenia Unsuk, [[1959년]]~)
* 부인: 아리타 키누코(한국식 이름: 이견자,李絹子) [[일본인]]
* 외할아버지: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1874년]] - [[1951년]])
* 외할머니: [[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1882년]] - [[1976년]])
** 외숙부: 나시모토노미야 노리히코<ref>원래는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의 조카이자 이방자의 사촌으로, 삼촌 모리마사의 양자가 되었다.</ref>
*** 외사촌 동생: 나시모토노미야 다카오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