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후미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日本軽自動車検査協会(토론)의 편집을 Sjsws1078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번역 확장 필요|ja|岸田文雄|날짜=2021-12-20}}
{{출처 필요|날짜=2021-10-20}}
{{총리 정보
| 원어명 = {{ruby|岸田 文雄|きしだ ふみお}}
| 그림 = Fumio_Kishida_20211005.jpg
| 설명 = 내각 공보실에서 공표한 초상 <br /> (2021년 촬영)
| 국가 = 일본
| 명칭 = 내각총리대신
| 대수 = 100·101
| 취임일 = 2021년 10월 4일
| 전임 = 스가 요시히데
| 전임대수 = 99
| 국가2 = [[일본]]
| 명칭2 = [[일본의 방위대신|방위대신]]
| 대수2 = 16
| 취임일2 = 2017년 7월 28일
| 퇴임일2 = 2017년 8월 3일
| 대통령2 = [[아베 신조]]
| 대통령명칭2 = 내각총리대신
| 전임2 = 이나다 도모미
| 전임대수2 = 15
| 후임2 = 오노데라 이쓰노리
| 후임대수2 = 17·18
| 국가3 = [[일본]]
| 명칭3 = [[일본의 외무대신|외무대신]]
| 대수3 = 143·144
| 취임일3 = 2012년 12월 26일
| 퇴임일3 = 2017년 8월 3일
| 대통령3 = [[아베 신조]]
| 대통령명칭3 = 내각총리대신
| 전임3 = 겐바 고이치로
| 전임대수3 = 142
| 후임3 = 고노 다로
| 후임대수3 = 145·146
|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57|7|29}}
| 출생지 = 일본 [[도쿄도]] [[시부야구]]
| 직업 = 정치인
| 학력 = [[와세다 대학]] 법학부 졸업
| 정당 = [[자유민주당 (일본)|자유민주당]]
| 서명 = [[파일:Fumio Kishida signature.svg|150px]]
}}
{{일본어 표기
|title = {{PAGENAME}}
|alphabet-type = [[로마 문자|로마자]]
|alphabet = Kishida Fumio
|kana = きしだ ふみお
|kanji = 岸田 文雄
}}
'''기시다 후미오'''({{Llang|ja|岸田文雄}}, [[1957년]] [[7월 29일]]~)는 [[일본]]의 [[정치인 가문]]이자, [[정치인]]이다. 제100·101대 [[일본의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이자, 제27대 [[자유민주당 총재]]이다.<ref>{{Kotobank|岸田文雄}}</ref> [[일본의 외무대신|외무대신]]과 [[자유민주당 정조회]]장을 역임했으며, [[후쿠다 야스오 내각]]에서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을 지냈다. 지역구는 [[히로시마현 제1구]]이다.
 
== 초기 생애 ==
[[히로시마시]] [[미나미구 (히로시마시)|미나미구]]의 정치 집안 출신으로 부친은 [[중의원]] 의원, 일본 중소기업청 장관을 맡은 {{임시링크|기시다 후미타케|ja|岸田文武}}<ref name="kishida">{{웹 인용 |url=http://www.kishida.gr.jp/prof.html |제목=기시다 후미오 홈페이지 |확인날짜=2014-04-26 |archive-date=2018-08-08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808171856/https://kishida.gr.jp/profile/ }}</ref>이며, 조부는 전 중의원 의원 {{임시링크|기시다 마사키|ja|岸田正記}}이다. 참의원 의원, 전 [[일본의 경제산업대신|경제산업대신]] {{임시링크|미야자와 요이치|ja|宮澤洋一}}와는 고종사촌간이며 [[미야자와 기이치]] 전 총리는 요이치의 백부로서 기시다와는 먼 친척 관계이다.
 
[[와세다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여 1982년에 졸업 후 {{임시링크|일본장기신용은행|ja|日本長期信用銀行}}에서 일했다.
 
== 정치 ==
중의원의 차관으로서 기시다는 1993년 7월에 처음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중의원에서 7번이나 지냈으며, 히로시마 제1당과 [[제1차 고이즈미 내각]]({{임시링크|문부과학부대신|ja|文部科学副大臣}})을 대표하였다.
 
그는 2012년 9월까지 [[자유민주당 (일본)|자유민주당]]의 국회 정세 위원회의 의장이었다. 자유민주당에서 그는 은퇴한 베테랑 당원 {{임시링크|고가 마코토|ja|古賀誠}}에게 가깝다. 기시다는 그해 10월 고가 당파의 통치를 맡았다.
 
자유민주당에서 일본의 경제력 활성화를 위한 본부 의장에 임명되었다. [[아베 신조]]와 그의 내각원들의 대부분처럼, 기시다는 [[일본회의]] 의원조직 구성원이다.
 
=== 아베 내각 ===
기시다는 처음에 [[제1차 아베 신조 내각 (개조)|제1차 아베 신조 개조 내각]]에서, 후에 [[후쿠다 야스오 내각]]에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오키나와 개발청]]의 장관이었다.
 
그는 2008년 당시 후쿠다 내각의 [[소비자]] 정세와 [[식량]] 안전을 담당한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후쿠다 내각에서 과학 기술청의 담당대신이기도 하였다.
 
2012년 12월 26일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에서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어 2017년까지 연임했으나, 아베 총리와 연루된 의학대학스캔들과 관련하여 아베 총리에 관한 국민적인 여론이 악화됨에 따라 개각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 때에 그는 당에 복귀하겠다는 의사를 아베에게 밝혀 자유민주당에서 한국의 국회 교섭단체정책위의장 격인 정조회장을 맡게 되었다.
 
== 총리직 ==
2020년 6월 [[요미우리 신문]]에 의하면, [[아베 신조]] 총리의 지지율이 근래에 떨어졌고, 자민당내 아베의 라이벌인 [[이시바 시게루]]의 인기가 높아졌다고 한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차기 총리의 적임자는 아베 총리를 제외하고 이시바 시게루가 서열 1위, [[고이즈미 신지로]]가 서열 2위, [[고노 다로]]가 서열 3위, 기시다 후미오가 서열 4위다.<ref>{{웹 인용|url=https://www.ajunews.com/view/20200615165533031|제목=[포스트 아베] ②차기 日총리는 反아베?...'친한파' 이시바, 이번엔 아베 잡을까?|성=최지현|날짜=2020-06-16|확인날짜=2020-08-01}}</ref> 아베 최측근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건 기시다 후미오인데, [[니카이 도시히로]]와 기시다 후미오가 아베 총리의 후계자로서 1~2위를 다툰다.<ref>{{웹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200703075000073|제목='포스트 아베' 주자에 손 뻗는 日집권당 넘버투 니카이|성=이세원|날짜=2020-07-03|언어=ko|확인날짜=2020-08-01}}</ref>
 
2020년 총리 경쟁에서 [[스가 요시히데]]와 경쟁 후 패배해 [[스가 내각]]에서 입각하지 못했으나 2021년 10월 일본 총리직 임명이 예정된 2021년 9월 29일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1위 득표를 예상한 고노 다로를 꺾고 자민당 총재로 선출되었다. 개혁파로 여겨지던 고노 후보는 젊은 층의 지지 여론을 비롯하여 일본 국민의 지지도가 가장 높았지만, 기시다는 더 보수적 후보를 선호한 자민당 파벌 및 당원들에 의해 당 총재로 선출되었다고 평가된다.
 
2021년 10월 4일 13명의 신인을 포함하여 21명의 장관으로 구성된 [[제1차 기시다 내각]]은 출범 즉시 총선 실시 계획을 발표하고 같은 달 14일 의회를 해산하고 31일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9회 중의원 총선거]]를 치렀다. 선거 결과 자민당은 25석을 잃었으나 다수당 지위를 지켜 기시다는 총리직을 유지하였고, 동년 11월 10일 [[제2차 기시다 내각]]이 출범하였다. 외무장관직은 2019년부터 재임한 [[모테기 도시미쓰]]에서 [[하야시 요시마사]]로 교체되었고 모테기는 대신 자민당 간사장으로 취임하였다.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JP|개인}}
{{선거기록/JP/개인| 1993년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총선거]] | 40회 | [[중의원|중의원 의원]] | [[히로시마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127,721표 | 21.0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선거기록/JP/개인| 1996년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총선거]] | 41회 | [[중의원|중의원 의원]] | [[히로시마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64,709표 | 44.06 | 1위 | 당선 |  }}
{{선거기록/JP/개인| 2000년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총선거]] | 42회 | [[중의원|중의원 의원]] | [[히로시마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5,482표 | 55.14 | 1위 | 당선 |  }}
{{선거기록/JP/개인| 2003년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총선거]] | 43회 | [[중의원|중의원 의원]] | [[히로시마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4,292표 | 55.52 | 1위 | 당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