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차단회피 - Vandal Cleaner
태그: 일괄 되돌리기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편집 요약 없음
63번째 줄:
}}
[[파일:김구필체(AMJ).jpg|섬네일|100픽셀|독립운동가 김구의 필체]]
'''김구'''(金九, [[1876년]] [[8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 강점기]] [[독립 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가]], [[정치인]]으로 [[자 (이름)|자]]는 '''연하'''(蓮下), [[호 (이름)|호]]는 '''백범'''(白凡), '''연상'''(蓮上)이다. 백범이라는 호는 미천한 백성을 상징하는 백정의 ‘백(白)’과 보통 사람이라는 범부의 ‘범(凡)’ 자를 따서 지었다.<ref>김구는 자신의 호인 백범의 유래에 대해서 "독립국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장 천하다는 백정과 무식한 범부까지 전부가 적어도 나만한 애국심은 가진 사람이 되게 하자는 원(願)을 표한 것"이라고 풀이하였다.</ref><ref>{{웹 인용 |url=http://www.kimkoo.or.kr/02diary/sub.asp?pagecode=m02s01t05 |제목=백범 김구선생 기념사업회 |확인날짜=2010-02-09 |archive-date=2012-02-08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208145922/http://www.kimkoo.or.kr/02diary/sub.asp?pagecode=m02s01t05 |url-status=dead }}</ref> 처음 이름은 '''창암'''(昌巖)이었으며 19세 때 이름을 창수(昌洙)로 바꾸었다가, 36세(1912년)에 거북 ''''구''''(龜)였던 이름을 아홉 ''''구''''(九)로 바꾸었다. 그 밖에 환속 이후의 이름인 '''두래'''(斗來), 피난 시기에 사용한 가명인 '''장진'''(張震), '''장진구'''(張震球)도 있었다.
 
항일 의열단체 [[한인애국단]]을 이끌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역임하였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양반가의 후손<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8&aid=0000005224 백범 발자국 따라 걸으면 큰길 되지요]</ref>으로 태어나 과거에 응시했으나 낙방, 이후 [[동학농민혁명]]에 참가했고, 한때 불교 승려로 활동했다. 젊어서 [[동학]]교도였고, [[불교]]에 귀의해서 법명 원종(圓宗)을 얻은 승려였으며<ref>김삼웅《백범김구평전》시대의창,132쪽</ref>, 28세 때 부친 탈상 후 기독교에 입문하였다.<ref>경교장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 비운의 역사 현장 아!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003) p.514</ref><ref>{{서적 인용|제목=청소년을 위한 백범일지|성=김구지음, 신경림 풀어씀|이름=|날짜=|판=|출판사=나남|쪽=245|장=}}</ref> 양산학교, 보강학교 등에서 교육자로 교편을 잡기도 했고, 해서교육총회 학무총감으로도 활동했다. 교육·계몽 운동 중 [[일본 제국]] 경찰에 연행되어 수감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