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차단회피 - Vandal Cleaner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43번째 줄:
* 영향력을 강하게 발휘할 수 있는 구성원들의 질이 떨어지면 집단 지성의 질도 크게 하락한다.
 
== 집단 지성의 부정적인 사례 ==
=== [[위키]] ===
집단 지성의 예로는 위키가 있다.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열람하고 확실하지 않거나 잘못된 정보는 누구나 수정 및 삭제 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 열람 사이트이다.
 
다양한 사람들의 종합적 지식이 한데 모아져 있어 거의 정확한 정보가 산출되도록 노력한다.
 
=== [[구글]] ===
구글은 얻고자 하는 정보를 웹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검색어를 치면 그들의 인덱스 서버에서 수십억 개의 웹페이지를 살핀 뒤, 가장 연관성 높은 것을 찾는다. 검색된 사이트의 방문자 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는데 이때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는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높은 순위를 차지하여 검색결과에서 가장 먼저 나열된다.
 
=== [[크라우드소싱]] ===
[[롱테일]] 경제 원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지식 비지니스에서 효율성 향상을 위해 크라우드소싱을 통해 집단 지성을 활용하고 있다. 크라우드소싱이란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내는 활동으로 지식의 수요와 공급을 인터넷을 통해 쉽게 연결시켜준다는데 의의가 있다. 최근 P&G 등의 글로벌 기업은 효율성이 떨어지는 R&D 부서를 줄이고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해나가고 있으며 이를 C&D(Connect & Development) 라고도 한다. 집단 지성과의 차이점은 크라우드소싱은 불특정 다수의 아이디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을 찾아내는 반면 집단 지성은 크라우드소싱을 통해 모은 아이디어를 협력을 통해 통폐합해 최고의 안을 찾아내는 것이다.
 
=== IBM. Innovation Jam ===
IBM이 특허 최다 보유 기업이자 끊임없는 혁신을 지속하는 원동력은 이노베이션 잼(Innovation Jam)에 있다.
IBM은 2001년부터 해마다 웹을 통한 대규모 토론의 장을 제공하고 있는데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조직 내외 약 9만 명 이상의 많은 사람들이 몇 가지 주제와 관련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온라인 상에 게재하고 24시간 내내, 수일 간 집중 토론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아이디어를 보완 및 수정하고 발전시키는데, 이 글로벌 온라인 컨퍼런스를 일컬어 이노베이션 잼이라 한다.
IBM은 2006년의 재밍으로 10가지 차세대 혁신 사업을 도출하였고 그 후 2년 동안 여기에 미화 1억 달러를 투자하였다.
 
=== 오픈 소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