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문자열 변경 (|url=http://news.naver.com → |url=https://news.naver.com)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대한민국의 행정구역강원도||분단 이전의 강원도|강원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도 정보
|이름 =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한자 = 江原特別自治
|지위 = [[특별자치도]]
|지도 = South Korea-Gangwon.svg
|도기휘장 = FlagEmblem of Gangwon StateProvince.svg
|휘장도기 = EmblemFlag of Gangwon StateProvince.svg
|면적 = 16,830873.151<ref name="gangwon1">{{웹 인용 |url= httpshttp://www.indexprovin.gogangwon.kr/unitygw/potalpor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28sub03_01|제목= 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자연환경|저자= 대한민국 국토교통부강원도청|날짜= 20232016-0304-2927|웹사이트= e-나라지표강원도청|확인날짜= 20232018-0602-1609}}</ref>
|인구 = 1,538,660
|인구 = 1,533,081<ref>{{웹 인용 |url= https://jumin.mois.go.kr/|제목= 주민등록 인구통계|저자=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날짜= 2023-06-01|웹사이트=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확인날짜= 2023-06-16}}</ref>
|인구밀도 = 91.18<ref>{{웹 인용 |url=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07|제목=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저자= 통계청|웹사이트= e-나라지표|확인날짜= 2018-02-09}}</ref>
|인구년도 = 2023
|인구년도 = 2021<ref name="pop">{{웹 인용 |제목=2022년 1월 주민등록 인구 |url=https://jumin.mois.go.kr/index.jsp |웹사이트=행정안전부}}</ref>
|인구밀도 = 91.18<ref>{{웹 인용 |url=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07|제목=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저자= 통계청|웹사이트= e-나라지표|확인날짜= 2018-02-09}}
</ref>
|밀도년도 =
|시 = 7
|군 = 11
|도지사 = [[김진태 (1964년)|김진태]]([[국민의힘]])
|GDP = [[2021년]] 어림값
|도청소재지 =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1<ref name="gangwon1"/>
|명목GDP = 50,659,583백만 원<ref name="gdp">{{웹 인용 |url=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C81&conn_path=I2/|제목=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저자= 대한민국 통계청|날짜= 2022-12-22|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확인날짜= 2023-06-16}}</ref>
|홈페이지 = http://www.provin.gangwon.kr/
|실질GDP = 46,476,220백만 원<ref name="gdp"/>
|1인당 GDP = 33,319천 원<ref>{{웹 인용 |url=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C86&conn_path=I2|제목=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저자= 대한민국 통계청|날짜= 2022-12-22|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확인날짜= 2023-06-16}}</ref>
|도지사 = [[김진태 (1964년)|김진태]]
|도지사 정당 = [[국민의힘]]
|행정부지사 = 김명선(제15대)
|경제부지사 = 정광열(제8대)
|도청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청|본청]]''': [[춘천시]] [[중앙로 (춘천시)|중앙로]] 1<ref>{{웹 인용 |url= https://state.gwd.go.kr/portal/introduce/guidance/roughMap|제목= 찾아오시는 길|저자= 강원특별자치도청|날짜= 2023-06-12|웹사이트= 도청안내|확인날짜= 2023-06-16}}</ref><br/>'''제2청사''': [[강릉시]] [[주문진읍]] 연주로 70<br/>'''[[강원특별자치도환동해본부|환동해본부]]''':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로 14
|도목 = [[잣나무]]
|도화 = [[철쭉]]
|도조 = [[두루미]]
|도수도어 = [[아시아흑곰|반달곰]]
|마스코트 = 범이&곰이
|표어 =
|마스코트 = 강원이, 특별이<ref>[https://state.gwd.go.kr/portal/introduce/symbol/character]</ref>
|지역번호 = 033
|ISO 3166-2 = KR-42
|홈페이지 = [https://state.gwd.go.kr/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llang|en|Gangwon State}})는 [[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 [[특별자치도]]이다.
 
'''강원도'''(江原道)는 [[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 [[대한민국의 도|도]]이다. 동쪽은 [[동해]], 서쪽은 [[경기도]], 남쪽은 [[충청북도]]·[[경상북도]]하고 접하며, 북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북한)의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강원도]]하고 경계를 이루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강릉시]], [[속초시]],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등 [[영동 지방]]과 서쪽으로 [[춘천시]], [[원주시]] 등 [[영서 지방]]으로 구분한다. [[강원도청]]은 [[춘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릉시]]에 강원도청의 [[출장소]]인 [[강원도환동해본부]]가 설치되어 있다. 행정 구역은 7[[시 (행정 구역)|시]] 11[[대한민국의 군|군]]이다.
 
지리적으로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강릉시|강릉]], [[속초시|속초]], [[동해시|동해]], [[삼척시|삼척]], [[태백시]] 등 [[영동 지방]]과 서쪽으로 [[춘천시|춘천]], [[원주시]] 등 [[영서 지방]]으로 구분한다.
 
[[강원특별자치도청|도청]] 소재지는 [[춘천시]]며, [[강릉시]]에 강원특별자치도청의 [[출장소]]인 [[강원특별자치도환동해본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내 최대 도시는 [[원주시]]다.
 
행정 구역은 7[[시 (행정 구역)|시]] 11[[대한민국의 군|군]]이다.
 
== 역사 ==
{{참고|강원도#역사|설명=1945년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 1946년 [[춘천시|춘천군 춘천읍]] 춘천읍을 [[춘천시|춘천부 (현재 춘천시)]]로 승격하고, [[춘천시|춘천군]]을 [[춘천시|춘성군]]으로 개칭하였다.<ref>[[:s:군정법령 제84호|군정법령 제84호]] 지방행정의변경 (1946년 5월 23일)</ref>
* 1955년 [[강릉시|강릉군]] 강릉읍 등을 [[강릉시]]로, [[원주군]] 원주읍 등을 [[원주시]]로 각각 승격하고,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원주군을 원성군으로 각각 개칭하였다.<ref>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1955년 8월 13일)</ref><ref>법률 제372호 원주시설치에관한법률 (1955년 8월 13일)</ref>
* 1962년 강원도 [[울진군]]을 [[경상북도]]로 이관하였다.<ref>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ref>
줄 54 ⟶ 34:
* 1981년 삼척군 장성읍, 황지읍을 [[태백시]]로 승격하였다.<ref>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ref>
* 1986년 삼척군 삼척읍을 [[삼척시]]로 승격하였다.<ref>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ref>
* 1989년 [[원주시|원성군]]을 원주군으로 개칭하였다.<ref>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ref>
* 1992년 [[춘천시|춘성군]]을 춘천군으로 개칭하였다.<ref>법률 제4417호 경기도고양시설치와강원도춘성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1년 12월 14일)</ref>
* 1995년 춘천시와 춘천군, 원주시와 원주군, 강릉시와 [[명주군]], 삼척시와 삼척군이 통합되어 도농 통합시인 춘천시·원주시·강릉시·삼척시가 되었다.<ref>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ref>
* [[2023년]] [[6월 9일]]: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식이 열렸다.<ref>[https://www.news1.kr/articles/5071364 위상 높아진 강원특별자치도, 내일 출범 기념식] 출처:뉴스1</ref>
* [[2023년]] [[6월 11일]]: 기존의 강원도에서 강원특별자치도로 개편되어 출범하였다.<ref name="law_je-18875-ho" />
 
== 지리 ==
=== 위치 ===
[[파일:Korea seorak.jpg|섬네일|왼쪽|강원특별자치도에서강원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산 중 하나인 설악산]]
강원특별자치도의강원도의 총면적은 20,569 [[제곱 킬로미터|km<sup>2</sup>]]이며 이 가운데 휴전선 이남이 82%인 16,873.51 [[제곱 킬로미터|km<sup>2</sup>]]로, 총 면적중 81.7%인 13,783.68 [[제곱 킬로미터|km<sup>2</sup>]]가 [[임야]]이며 농경지는 9.7%에 해당하는 1,625.22 [[제곱 킬로미터|km<sup>2</sup>]]이며, 기타는 8.6%인 1,457.49 [[제곱 킬로미터|km<sup>2</sup>]]로 구성되어 있다. 경지 면적은 밭 1,625.22 [[제곱 킬로미터|km<sup>2</sup>]], 기타 1,457.49 [[제곱 킬로미터|km<sup>2</sup>]]이며, 농가 호당 면적은 1.48 [[헥타르|ha]]이다.<ref name="gangwon1">{{웹 인용 |url= http://www.provin.gangwon.kr/gw/portal/sub03_01|제목= 자연환경|저자= 강원도청|날짜= 2016-04-27|웹사이트= 강원도청|확인날짜= 2018-02-09}}</ref>
 
강원특별자치도는강원도는 위도상으로 북위 37도 02분에서 38도 37분에 걸치고,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도 05분에서 129도 22분에 걸쳐있다.<ref name="gangwon1"/> 북위 38도선은 본도의 거의 중앙부를 통과하고 [[휴전선]]은 [[고성군 (강원도)|고성군]] 현내면 북위 38도 45분 근처에서 서남하하여 [[향로봉]], 문등리 및 김화읍의 북방을 연결하는 북위 38도 20분선 부근에서 145km에 걸쳐 그어져 있다.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동서의 길이는 약 150km, 남북은 약 243km에 달한다.<ref name="gangwon1"/> 서쪽은 [[황해북도]] [[신계군]]·[[금천군]], [[경기도]] 연천·포천·가평·양평 등 여러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군]]과 접해 있고 남쪽은 [[충청북도]] [[충주시]]·[[제천시]], [[단양군]] 및 [[경상북도]]의 [[영주시]], [[봉화군]]·[[울진군]]과 북쪽은 [[강원도함경남도]] [[안변군]]·[[덕원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함경남도)|강원도덕원군]]하고접한다 및 [[황해북도]]의 [[곡산군]]과 접하여 5도 3시 13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 지형 ===
[[파일:Korea-Sokcho-Squid boats on Cheongchoho Lake-01.jpg|섬네일|속초의 오징어잡이 배]]
강원특별자치도는강원도는 대다수의 지형이 산악이며, 그중 500m에서 1,000m1000m 사이의 중간 산야 지대가 43.4%로 전국에서 가장 비중이 높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는강원도는 한반도 중앙부의 동측에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과 영서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영동은 경사가 급하여 해안평야의 발달이 취약하고, 영서는 경사가 완만하여 [[남한강]], [[북한강]] 같은 대하천이 발달되어 있다.<ref name="gangwon1"/>
 
=== 기후 ===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지방은 [[북위 37도|북위 37°]][[북위 38도|38°]]사이의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름에 고온·다습하며, 겨울에는 한랭·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다. 또한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쳐 있기 때문에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의 기후 또한기후또한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ref name="gangwon1"/>
 
강원특별자치도의 연평균기온은 영동 11.0&nbsp;°C, 영서 10.8&nbsp;°C로 최저 6.6에서 최고 13.1&nbsp;°C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의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은 철원에서 관측된 -29.2&nbsp;°C와 홍천에서 41.0&nbsp;°C를 기록하였다. 또한 연 강수량은 1,300~1,900mm로, 산간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강수량을 보이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의 다설지 중 하나이다.<ref name="climate">{{웹 인용 |url= http://www.weather.go.kr/weather/climate/average_regional01.jsp|제목= 국내기후자료 - 강원도 |저자= 기상청|확인날짜= 2018-02-09}}</ref> 또한 봄철의 영동지방에서는 건조한 국지강풍이 빈번히 발생한다.<ref name="climate"/>
 
=== 지질 ===
{{참고|영월군의 지질|정선군의 지질|평창군의 지질|삼척시의 지질|태백시의 지질|설악산#지질|조선 누층군#태백층군|평안 누층군}}
강원특별자치도는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의 [[한국의 지질|경기 육괴]]에 속하며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의 [[영월군|영월]], [[정선군|정선]], [[평창군|평창]], [[태백시|태백]], [[삼척시]] 등은 [[한국의 지질|옥천 습곡대]]에 속한다. 옥천 습곡대에 속하는 지역에는 [[고생대]]의 [[조선 누층군]]하고 [[평안 누층군]]이 분포해 [[석회암]]하고 [[무연탄]]이 산출된다.
 
[[설악산]]은 [[중생대]]의 [[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강초롱''' 등 희귀 식물하고 [[천연기념물]]인 [[사향노루]]가 살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강원도의 연평균기온은 영동 11.0&nbsp;°C, 영서 10.8&nbsp;°C로 최저 6.6에서 최고 13.1&nbsp;°C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의강원도의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은 철원에서 관측된 -29.2&nbsp;°C와 홍천에서 41.0&nbsp;°C를 기록하였다기록 하였다. 또한 연 강수량은 1,3001300~1,900mm로1900mm로, 산간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강수량을 보이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의 다설지 중다설지중 하나이다.<ref name="climate">{{웹 인용 |url= http://www.weather.go.kr/weather/climate/average_regional01.jsp|제목= 국내기후자료 - 강원도 |저자= 기상청|확인날짜= 2018-02-09}}</ref> 또한 봄철의 영동지방에서는 건조한 국지강풍이 빈번히 발생한다.<ref name="climate"/>
뿐만 아니라 설악산은 [[1965년]]에 천연기념물 제171호로, [[1970년]] [[3월 24일]]에 [[국립공원]]으로, [[1982년]]에는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사계절 내내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설악산은 특히 [[가을]] [[단풍]]이 아름답기로 유하다.
 
== 행정 구역 ==
{{본문|강원특별자치도의강원도의 행정 구역#대한민국 기준 행정 구역}}
강원특별자치도는강원도는 7개의 시와 1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군은 187개의 읍·면·동과 4,203개의4203 통·리, 21,951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ref name="행정">{{웹 인용 |url= http://www.provin.gangwon.kr/gw/portal/sub03_01_05|제목= 행정지역|저자= 강원도청|날짜= 2016-04-27|웹사이트= 강원도청|확인날짜= 2018-02-09}}</ref> 여기에서는 주민 미거주 5개면과 그에 속한 29개 리, 면장 미실시 1개면과 그에 속한 4개 리중 3개의 리를 제외하고 있다.<ref name="행정"/>
 
=== 자치 단체 ===
[[파일:Gangwon-map ko.png|500px|섬네일]]
{| class="wikitable sortable"
! 이름 !! 한자 !! 세대수 (2015)<ref>{{웹 인용|url=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211001&amp;inputYear=2015|제목=강원도 주민등록인구통계|출판사=통계청|확인날짜=2018-02-09}}</ref> !! 인구 (명, 2020)<ref>{{웹 인용|url=http://stat.gwd.go.kr/sub/sub01_03_01_01.asp|제목=인구수 (주민등록)|출판사=강원도|확인날짜=2018-02-09|archive-date=2018-02-0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09122154/http://stat.gwd.go.kr/sub/sub01_03_01_01.asp|url-status=dead}}</ref> !! 면적 ([[제곱 킬로미터|km<sup>2</sup>]])
줄 143 ⟶ 113:
| 1,646.36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 高城郡 || 15,324 ||26,798
| 664.34
|-
줄 149 ⟶ 119:
| 628.9
|-
!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 江原特別自治道 || 685,005 ||1,542,374
! 16,874.59
|}
 
=== 역대 도지사 ===
{{본문|강원특별자치도지사강원도지사}}
 
== 인구 ==
=== 연도별 인구 ===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1948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외)의 연도별 인구 추이
{| class="wikitable"
|-
줄 269 ⟶ 239:
== 문화 ==
=== 문화재와 역사 ===
기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강원도에도강원도에서도 여러 문화재들이 존재한다. 최소 강원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게살게 된 시기는 정확하게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소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756386.html | authors=노형석|title=구석기・신석기 선조들 먹고살던 동굴 정선서 발견| publisher=한겨례 | date=2016-08-12 | access-date=2018-02-10}}</ref>되고 있다.
 
한반도의 중요 시기별 강원도의 대표적인 문화재를 꼽자면 통일신라 시대에시대때 주조된 [[상원사 동종]]과 더불어 남북국시대의남북극 시대때의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고려시대의고려시대때의 [[강릉 임영관 삼문]], 그리고 조선시대의조선시대때의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오죽헌]], [[경포대]] 같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문화재들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강원도의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월정사 (평창군)|월정사]]나 [[오세암]] 등의 유명한 사찰이나 혹은 암자가 많이 위치하고위치하여 있다.
 
[[동명성왕]]을 시조로 하는 [[횡성 고씨]](橫城 高氏)의 관향은관향이 [[횡성군]]이다에 있다.
 
=== 박물관 ===
강원도내의 문화재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중앙 정부차원에서는 2002년 [[국립춘천박물관]]을 설립<ref>{{뉴스 인용|url=http://news1.kr/articles/?3138513 | authors=김경석|title=춘천박물관, 개관 15주년 기념 전시관 재개관 개막| publisher= 뉴스1 | date=2017-10-30 | access-date=2018-02-10}}</ref>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정부 차원에서는 [[박수근미술관]]<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29/2018012900118.html | authors= 정성원|title='박수근 고향' 양구, 박수근을 입었다| publisher=조선일보 | date=2018-01-29 | access-date=2018-02-10}}</ref>, [[오죽헌시립박물관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오죽헌/시립박물관]], [[태백석탄박물관]] 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민간 차원에서는 강릉의 [[참소리 축음기 에디슨 박물관]]<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2/19/2010121900959.html|authors=최보식|title=[최보식이 만난 사람] 강릉 ‘참소리 축음기·에디슨 박물관’ 손성목 관장
|publisher=조선일보|date=2010-12-20|access-date=2018-02-10}}</ref>등 특별한 주제를 가진 박물관들이 존재하고 있다. 세계적인 거장 [[안도 다다오|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미술관인 [[뮤지엄산|뮤지엄 산]] 또한 강원도 원주에 위치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s://biz.chosun.com/distribution/living/2023/03/31/4IJJKBE365FHLCSPU4Y52FE4KA/|제목=직접 설계한 뮤지엄 산에서 개인전 여는 안도 타다오, 그가 말하는 청춘과 희망|성=연|이름=지연|날짜=2023-03-31|출판사=조선비즈}}</ref>
 
=== 축제 ===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각 시군단체에서 축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특히 강릉시에서는강원도 강릉에서는 [[유네스코]]가 세계인류구전 및 무형문화유산걸작 목록에 등재한 [[강릉 단오제]]<ref>
{{웹 인용 |url=http://heritage.unesco.or.kr/ichs/gangneung-danoje-festival |title=강릉단오제 |publisher=유네스코 한국위원회 |access-date=2018-02-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10180556/http://heritage.unesco.or.kr/ichs/gangneung-danoje-festival/ |보존날짜=2018-02-10 |url-status=dead }}
</ref>등 여러 축제들이 열리고 있다.
 
=== 음식 ===
강원지방의강원도 지방의 음식들은 산악지대나 고원지대가 많다보니, 감자, 메밀 등으로 만든 음식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ref name="hansik"/> 예를 들어서 강원도 전지역에서 먹는 나물밥, 그리고 산지인 [[정선군]]에서는 곤드레밥과 [[영월군]]에서는 메밀전병, [[화천군]]에서는 화천산천어영양돌솥밥, 화천삼나물밥이 유명하고, [[양구군]]에서는 양구 시레기가 유명하다.<ref name="food">{{웹 인용|url=http://www.provin.gangwon.kr/gw/portal/sub07_08_02|title=강원도 대표음식 30선|publisher=강원도청|access-date=2018-02-13}}</ref><ref name="food2">{{뉴스 인용|url=http://gangwon.news1.kr/news/articleView.html?idxno=9604|title=[영상]"강원도 대표 먹거리 30선"|publisher=뉴스1 강원|authors=신효재|date=2016-12-30|access-date=2018-02-10|archive-date=2018-02-14|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14014610/http://gangwon.news1.kr/news/articleView.html?idxno=9604|url-status=}}</ref> 또한 또한 해안지역에서는 생선요리와 젓갈류 등이 발전<ref name="hansik"/>하였는데, [[동해시]]에서는 동해생선찜, [[속초시]]에서는 속초 오징어 순대, [[삼척시]]에서는 삼척복어요리 등이 유명하다. 이런 강원도의 토속 음식들은 극히 소박하고 조리법이 간단하다.<ref name="hansik">{{웹 인용|url=http://archive.hansik.org/hansik/nkfood/item/nkfood_region_feature/266/26/|title=강원도 전통음식의 특징|publisher=한식아카이브|access-date=2018-02-10|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10180313/http://archive.hansik.org/hansik/nkfood/item/nkfood_region_feature/266/26/|보존날짜=2018-02-10|url-status=dead}}</ref>
 
=== 관광 ===
줄 304 ⟶ 274:
[[철원군 (남)|철원]] 화산지대를 통과하는 [[한탄강]]은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등의 천연기념물을 가지고 있다. 한탄강 지역은 [[한국전쟁]] 시절 당시 격전지였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래프팅 장소로 사랑받고 있다. 한탄강 인근에서 발견된 신증후성 출혈열 바이러스는 이 바이러스를 발견한 한탄강 유역에서 따와서 지어졌으며<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445475.html|authors=유기현|title=유행성출혈열 백신을 찾아낸 의학자, 이호왕|publisher=한겨례|date=2010-10-25|access-date=2018-02-10}}</ref> 현재 한타바이러스 속은 이 한탄바이러스에서 이름을 따와서 붙여진 속이다.
 
또한 민통선이 존재하여 사람들이 들어갈 수 없는 철원평야에는철원평양에는 [[임진강]] 부분과 사실상 마찬가지로 멸종위기 동물인 [[두루미]]가 철새로 오는 것으로 유명하다.<ref>{{뉴스 인용|url=http://www.joongang.co.kr/article/22324094|authors=천권필|title=철원 평야…전세계 두루미 30% 찾는 '철새 낙원'된 이유는|publisher=중앙일보|date=2018-01-28|access-date=2018-02-10}}</ref>
 
이외에도 [[양구]]의 [[해안면]]의 해안분지는 암석의 풍화와 침식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한국전쟁 당시 종군기자가 '화채그릇'(Punch Bowl)을 닮았다고 해서 이명인 펀치볼로 유명한 분지이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11/0200000000AKR20151211039200805.HTML|authors=이진욱|title=<걷고 싶은 길> 최북단 숲길 양구 펀치볼 둘레길|publisher=연합뉴스|date=2015-12-11|access-date=2018-02-10}}</ref>
줄 315 ⟶ 285:
== 교통 ==
=== 도로 ===
일반 도로는 총 9,800km이며9800 km이며, 포장률은 75.1%이다.<ref>{{웹 인용|url= http://stat.gwd.go.kr/sub/sub01_03_05_02.asp|제목= 총도로연장|출판사= 강원도청|확인날짜= 2018-02-09|archive-date= 2018-02-09|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180209182252/http://stat.gwd.go.kr/sub/sub01_03_05_02.asp|url-status= dead}}</ref>
 
[[관동 지방]]에는 [[진부령]](인제 ∼ [[간성읍|간성]]), [[한계령]](인제 ∼ 양양), [[대관령]](원주 ∼ 강릉) 등의 예전부터 있었던 고갯길이 존재한다. 이런 고갯길뿐만 아니라,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중 일부인 [[국도 제7호선]]이 강원도를 통과하고 있다.
 
고속도로는 [[인천광역시]]를 기점으로 [[강릉시|강릉]]을 종점으로 하는 [[영동고속도로]]와,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광주시]]를 기점으로 [[원주시]]를 종점으로 하는 [[광주원주고속도로]], 그리고 경상도지역을 연결하는 [[중앙고속도로]]와 동해안 지역을 통하는 [[동해고속도로]], 그리고 서울과 양양을 연결하여 [[영동고속도로]]를 분산하는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존재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인제양양터널]]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제일 긴 도로 터널이다.
 
=== 버스 ===
철도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강원특별자치도는강원도는 대한민국의 다른 시외버스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강원도의 모든 시군에는 시외버스 터미널이 존재하며, 이를 이용하여 강원도 내 다른 지역이나 혹은 강원도 바깥으로 나갈수 있다.
{{참고|강원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
철도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강원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의 다른 시외버스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모든 시군에는 시외버스 터미널이 존재하며, 이를 이용하여 강원도 내 다른 지역이나 혹은 강원도 바깥으로 나갈수 있다.
 
=== 철도 ===
[[파일:Jungang Line Northern Direction with Jungang Expressway Wonju Bridge.JPG|섬네일|중앙 고속도로 원주 대교와 옛 중앙선 철도]]
강원특별자치도에강원도에 부설된 철도는 보통 광복 혹은 일제강점기 시절 태백 산간지방의 지하자원 개발을 목표로 하는 산업철도에 기반<ref>{{웹 인용 |ur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933|제목= 태백선|출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 2018-02-09}}</ref><ref>{{웹 인용|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320 |제목 = 영동선 | 출판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2018-02-09}}</ref>을 두고 있다.
 
* [[중앙선]]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의강원도의 남서부에 [[간선 철도]]인 [[중앙선]]이 지나며, 서울 ∼ 춘천 간에는 [[경춘선]]이 있다. 또한 산업철도로 출발하여 중앙선에서 분기하여 강릉까지 가는 [[영동선]]이 있으며, 동해에서 삼척까지 분기하는 [[삼척선]]이 존재한다. 또한 제천에서 분기한 [[태백선]]이 존재하며, [[중앙선]] · [[태백선]] · [[영동선]]의 일부가 [[강릉시]]까지 전철화 공사가 완공되었다. 이로 인해 [[경춘선]]이 간선철도 겸 [[수도권 전철 경춘선|수도권 전철의 한 부분]]이 되었다. 또한 2012년 6월 착공된 [[경강선]] 구간 중 현재 완공된 구간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22일부터 [[한국고속철도|KTX]] 열차가 운행 중<ref>{{뉴스 인용 |저자= 이은정|제목= 경강선 KTX 개통…서울-강릉 반나절 생활권 열렸다|url= http://bizn.donga.com/BestClick/3/all/20171222/87864684/1|뉴스= 동아일보|날짜= 2017-12-22|확인날짜= 2018-02-09}}</ref>이며, 2020년 3월 2일에는 경강선의 지선인 강릉삼각선을 신설하여 일부 강릉선 KTX가 [[강릉역]] 대신 강릉삼각선을 통해 정동진 및 동해까지 운행한다.
* [[경춘선]]({{한국 도시철도|KR4}})
* [[영동선]]
* [[태백선]]
* [[삼척선]]
* [[경강선]]([[강릉선 KTX]])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의 남서부에 [[간선 철도]]인 [[중앙선]]이 지나며, 서울 ∼ 춘천 간에는 [[경춘선]]이 있다. 또한 산업철도로 출발하여 중앙선에서 분기하여 강릉까지 가는 [[영동선]]이 있으며, 동해에서 삼척까지 분기하는 [[삼척선]]이 존재한다. 또한 제천에서 분기한 [[태백선]]이 존재하며, [[중앙선]] · [[태백선]] · [[영동선]]의 일부가 [[강릉시]]까지 전철화 공사가 완공되었다. [[경춘선]]이 간선철도 겸 [[수도권 전철 경춘선|수도권 전철의 한 부분]]이 되었다. 또한 2012년 6월 착공된 [[경강선]] 구간 중 현재 완공된 구간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22일부터 [[한국고속철도|KTX]] 열차가 운행 중<ref>{{뉴스 인용 |저자= 이은정|제목= 경강선 KTX 개통…서울-강릉 반나절 생활권 열렸다|url= http://bizn.donga.com/BestClick/3/all/20171222/87864684/1|뉴스= 동아일보|날짜= 2017-12-22|확인날짜= 2018-02-09}}</ref>이며, 2020년 3월 2일에는 경강선의 지선인 강릉삼각선을 신설하여 일부 강릉선 KTX가 강릉삼각선을 통해 정동진 및 동해까지 운행한다.
 
2017년 경강선에서 운행중인 KTX를 [[속초시]]까지 연장시키는 동서고속화철도사업 계획이 발표되었으며<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08/0200000000AKR20160708183200003.HTML|제목=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 예비타당성 통과…사업 확정(종합)|출판사=연합뉴스|날짜=2016-07-08|확인날짜=2018-02-09}}</ref>
, 2025년까지 공사를 완료할 계획을 갖고 있다.<ref>{{뉴스 인용|저자=유하룡|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4/2017071401313.html|제목=춘천~속초 동서고속철 노선·역사 첫 공개…5개역 신설, 2025년 완공|뉴스=조선일보|날짜=2017-07-14|확인날짜=2018-02-09|archive-date=2018-02-1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10002152/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4/2017071401313.html|url-status=dead}}</ref>
 
강원특별자치도를강원도를 지나가는 간선 철도 중에 [[경원선]]과 더불어 [[동해북부선]]은 [[한반도 군사 분계선|군사분계선]]으로 인해 도중에 끊겨져 있으며, 북한 지역에서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북단의 [[제진역]]까지 연결되어 있다.
 
=== 항공 ===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는강원도에는 여러 개의 군사 공항들과 민간 공항이 있으며, 그 중 2개의 공항이 여객을 수송한다. [[원주공항]]은 [[김해국제공항]]과 마찬가지로 군사기지를 공유하고 있으며<ref>{{뉴스 인용 |저자= 김귀근|제목= 공군 FA-50 편대, '확고한 영공방위 결의' 초계비행|url=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29/0200000000AKR20171229055900014.HTML|뉴스= 연합뉴스|날짜= 2018-01-01|확인날짜= 2018-02-09}}</ref>, 군 공항이 아닌 유일한 민간공항은 [[양양국제공항]]이 유일하다있다.
 
[[원주공항]]은 [[횡성군]] [[횡성읍]]에 있으며, 현재 국내공항<ref>{{웹 인용 |url= https://www.airport.co.kr/wonju/extra/flightSchedule/flightDomesticList/layOut.do?cid=2015120720272048993&menuId=967|제목= 원주공항 - 운영스케쥴|출판사= 한국공항공사|확인날짜= 2018-02-09}}</ref>으로 운용되고 있다. 양양국제공항도 현재 국내공항으로 이용<ref>{{웹 인용 |url= https://www.airport.co.kr/yangyang/extra/flightSchedule/flightDomesticList/layOut.do?cid=2015120721321992713&menuId=1417||제목= 양양국제공항 - 운영스케쥴|출판사= 한국공항공사|확인날짜= 2018-02-09}}</ref>되고 있다.
 
양양국제공항의 경우, 길이 2,500m, 폭 45m의 활주로 1본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항공기를 43,000건4만 3천건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연간 317만명의 여객<ref>(국내선 207만명, 국제선 110만명</ref>)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원주공항의 경우, 강원도 횡성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가장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다.
 
=== 해운 ===
동해와 접해있는 강원특별자치도는강원도는 여러 항구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묵호항의 경우 태백산맥에서 채굴한 시멘트와 석탄을 선적하고 있으며,<ref name="해경">{{웹 인용|url=http://www.mpss.go.kr/122/oceanSafeInfo/acdntMassOccrrncArea/0005/|제목=동해중부 사고다발지역안내|publisher=대한민국 해양경찰청|access-date=2018-02-0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09182406/http://www.mpss.go.kr/122/oceanSafeInfo/acdntMassOccrrncArea/0005/|보존날짜=2018-02-09|url-status=dead}}</ref>속초항의 경우 어항, 철광석 적출항, 관광항 등 여러 가지 기능이 결합된 무역항기능을 맡고 있다.<ref name="해경"/> 또한 최근 호산항에는 [[한국가스공사]]의 삼척 LNG 생산기지가 건설되고 있으며, 2014년 개항과 동시에 LNG 수송선이 접안하였다.<ref>{{뉴스 인용|authors=유형재|url=http://www.yonhapnews.co.kr/local/2014/02/03/0809000000AKR20140203115200062.HTML|title=삼척 호산항 6월 개항…LNG 선박 입·출항|publisher=연합뉴스|date=2014-02-03|access-date=2018-02-09}}</ref>
 
==== 승객 수송 ====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강원도에서는 국내선과 해외선 페리 항로가 존재하며, 또한 속초항에는 크루즈를 접안할 수 있기도 하다.<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11985.html|제목=속초에 국제 크루즈 터미널 준공|publisher=한겨례|date=2017-09-21|access-date=2018-02-09}}</ref>
 
다음은 2018년 2월 현재 강원도의 페리 항로이다.
 
===== 국내 항로 =====
* [[동해항]], [[묵호항]]<ref>{{웹 인용|url=http://www.sspvjd.co.kr/guide/route01.html|제목=노선정보|publisher=씨스포빌|access-date=2018-02-09}}</ref>, [[강릉항]]<ref>{{웹 인용|url=http://www.seaspovill.co.kr/index2.html|제목=운항정보|publisher=씨스포빌|access-date=2018-02-09|archive-date=2018-01-2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129231531/http://www.seaspovill.co.kr/index2.html|url-status=}}</ref> - [[울릉도]]
 
===== 국제 항로 =====
줄 367 ⟶ 331:
===== 축구 =====
{{참고|강원 FC}}
[[강원 FC]]는 2008년 4월 28일 [[김진선 (1946년)|김진선]] [[강원도지사]]가 [[K리그1|K리그]]의 15번째 구단으로 축구단 창단을 발표하고, 2008년 11월 5일 [[한국프로축구연맹]] 이사회에서 강원의 창단을 승인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프로축구연맹, 11일 이사회서 강원FC 창단 승인 |url=https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2349764 |출판사=연합뉴스 |저자=이동칠 |날짜=2008-11-05 }}</ref>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최순호]] 감독이 강원 FC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최순호 감독 , 강원FC 초대 사령탑 맡아 |url=http://news.jkn.co.kr/article/news/20081116/6347667.htm |출판사=재경일보 |날짜=2008-11-16 |확인날짜=2011-07-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118203116/http://news.jkn.co.kr/article/news/20081116/6347667.htm# |보존날짜=2012-01-18 |url-status=dead }}</ref> 2008년 11월 17일에 우선지명을 통해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출신의 선수 4명을 비롯하여 14명의 선수를 선발하였고, 11월 20일에 실시된 [[K리그 2009|2009 K리그]] 드래프트를 통해 9명의 선수를 더 선발하여 23명의 선수를 선발하였으며,<ref>{{뉴스 인용 |제목=숭실대 임경현, 전체 1순위로 부산아이파크行…약 31% 지명돼 |url=https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2388606 |출판사=뉴시스 |저자=박대로 |날짜=2008-11-20 }}</ref>[[2008년]] [[12월 18일]] 창단했다.<ref>{{뉴스 인용 |제목=K-리그 '신상' 강원FC, 공식명칭 및 엠블럼 발표 |url=https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39&aid=0001946433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허정윤 |날짜=2008-12-18 }}</ref>
 
===== 아이스하키 =====
{{참고|하이원 아이스하키단|대명 킬러웨일즈}}
[[하이원 아이스하키단]]은 [[강원랜드]]가 춘천에서 운영하는 프로 아이스하키 팀으로 2004년 9월 창단한 아이스하키 팀이다. 국내에 3개밖에 없는 실업 아이스하키단 중 하나이며<ref name="icehockey">{{뉴스 인용|authors=김지섭|url=http://www.hankookilbo.com/v/8a4b97405dd844fab7b8e0b40fc0c22cz|title=[어바웃, 이 종목] 퍽 쟁탈전, 퍽! 주먹도 꽂힌다|publisher=한국일보|date=2018-01-17|access-date=2018-02-0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09182450/http://www.hankookilbo.com/v/8a4b97405dd844fab7b8e0b40fc0c22cz#|보존날짜=2018-02-09|url-status=dead}}</ref>강원랜드측은 아이스하키, 스키 및 스키점프, 장애인스키등 비인기 종목을 육성하고 있으며, 강원도 스포츠 인재육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ref>{{뉴스 인용|authors=김성환|url=http://hankookilbo.com/v/7ce6aa193902742535f640eff746a494|title=[강원랜드] 하이원, 성적도 공익실천도 '넘버원!'|publisher=한국일보|date=2015-10-26|access-date=2018-02-0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09182534/http://hankookilbo.com/v/7ce6aa193902742535f640eff746a494|보존날짜=2018-02-09|url-status=dead}}</ref>
 
[[대명 킬러웨일즈]]는 [[대명그룹]]이 2016년 창단한 프로 아이스하키팀<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745005.html|authors= 김창금|publisher=한겨레|제목=아이스하키 제 3구단 '대명 킬러웨일즈' 출범|date=2016-05-23|access-date=2018-02-09}}</ref>으로, 국내에 3개밖에 없는 실업 아이스하키단 중 하나이다.<ref name="icehockey"/>
 
===== 농구 =====
{{참고|원주 DB 프로미}}
농구단은 [[원주 DB 프로미]]가 유일하다. [[원주 DB 프로미]]는 [[원주시]]가 연고지인 대한민국의 농구 팀으로 2005년 10월 [[DB그룹|동부그룹(現 DB그룹)]]이 TG삼보컴퓨터로부터 원주 TG삼보 엑서스 농구단을 인수하고 [[DB손해보험|동부화재(現 DB손해보험)]]를 모기업으로 하여 창단하였다. 지역 기업인 [[대한석탄공사]]와 협정을손을 체결한 뒤잡고 사회공헌 활동도 진행중에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711200100178910012991&ServiceDate=20171120|title = 김주성, 원주시에 연탄 1만1000장 기증...직접 배달도|authorauthors=김용|publisher=스포츠조선|date=2017-11-20|access-datedata=2018-02-09}}</ref>
 
==== 강원특별자치도의강원도의 스포츠 클럽들 ====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는강원도에는 다음과 같은 스포츠 클럽들이 존재하고 있다.
[[파일:Gangneung Stadium2.jpg|섬네일|강원 FC의 홈구장인 강릉종합운동장]]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줄 381 ⟶ 351:
|리그명 || 팀명 || 창단연도 || 홈 경기장
|-
|[[K리그1]] || [[강원 FC]] || 2008년 || [[강릉종합경기장강릉종합운동장]]<br />[[춘천송암스포츠타운]]
|-
|[[K3리그]] || [[강릉시민축구단강릉시청 축구단|강릉시청]] || 1999년 || [[강릉종합경기장강릉종합운동장]]<br />[[정선종합운동장]]
|-
|[[K4리그]] || [[춘천시민축구단]] || 2010년 || [[춘천종합운동장]]
줄 390 ⟶ 360:
|-
|[[한국프로농구|KBL]] || [[원주 DB 프로미]] || 1996년 || [[원주종합체육관]]
|-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 [[하이원 아이스하키단|하이원]] || 2004년 || [[의암실내빙상장]]
|}
 
줄 396 ⟶ 367:
====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
{{참고|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1999년 1월 30일부터 2월 6일까지 강원도 내의 [[평창군]], [[강릉시]], [[춘천시]]에서 인근에서 [[동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었다. 이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은 종합 2위의 실적을 올렸다.
 
==== 2018년 평창 동계동계올림픽과 올림픽과 동계 패럴림픽동계패럴림픽 ====
{{참고|2018년 동계 올림픽|2018년 동계 패럴림픽}}
2018년 2월 9일 ~ 2월 25일까지 [[평창군]] 등에서 [[2018년 동계 올림픽|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1988년 서울 하계올림픽 이후 대한민국에서 30년 만에 열린 올림픽이다. 또한 2018년 3월 9일부터 2018년 3월 18일까지 [[2018년 동계 패럴림픽]]이 열렸다. [[평창군]]에서 개막식 및 폐막식과 대부분의 설상 경기가 진행되며, 모든 빙상 종목은 [[강릉시]]에서 개최되었다. [[정선군]]에서는 알파인 스키 활강 경기가 개최되었다.
 
====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
{{참고|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2024년 1월 19일 ~ 2월 1일까지 강원특별자치도 내의 [[강릉시]], [[정선군]], [[평창군]], [[횡성군]]에서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 자매 도시 ==
{| class="wikitable sortable"
|-
! 지역 & 국가 !! align="center"| 도시
|-
| align="center"|{{국기나라|러시아}} || align="center"|[[파일:Flag of Primorsky Krai.svg|25px]]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
| align="center"|{{국기나라|몽골}} || align="center"|[[파일:Tov aymag flag.svg|25px]] [[투브주]]
|-
| align="center"|{{국기나라|미국}} || align="center"|[[파일:Flag of Colorado.svg|25px]] [[콜로라도주]]
줄 430 ⟶ 397:
== 같이 보기 ==
* [[강원도]]
**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강원도청]]
* [[강원특별자치도청]]
* [[강원도의회]]
* [[강원특별자치도의회]]
* [[특별자치도]]
 
== 각주 ==
{{각주|30em| refs =}}
{{글로벌세계대백과|제목=강원도}}
 
<!--2023년 6월 11일 확인. 법률 제18875호 강원특별자치도설치등에관한특별법-->
<ref name="law_je-18875-ho">[https://www.law.go.kr/법령/강원특별자치도설치등에관한특별법/(18875,20220610)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 약칭: 강원특별법 )] [시행 2023. 6. 11.] [법률 제18875호, 2022. 6. 10., 제정]. 제6조(강원특별자치도의 설치) ② 강원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은 종전의 강원도의 관할구역으로 한다."</ref>
 
}}
 
== 참고 문헌 ==
{{글로벌세계대백과|제목=강원도}}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언어링크|ko|en|ja|zh}} [httpshttp://statewww.gwd.go.kr/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청 (공식)]
* [http://council.gangwon.kr/ 강원특별자치도의회강원도의회 홈페이지]
* {{트위터|happygangwon}}
* {{인스타그램|gangwon_official}}
 
{{동계 청소년 올림픽 개최 도시}}
{{대한민국}}
{{강원도 (남)}}
{{한국의 지역}}
 
{{전거 통제}}
[[분류: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남)| ]]
[[분류:2023년1395년 설치]]
[[분류:1395년 폐지]]
[[분류:1895년 폐지]]
[[분류:1896년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