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월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5번째 줄:
 
== 개요 ==
단전호흡을 통해서 건강을 되찾는 수행 방법이며, 수련 단체는 단학 선원으로 시작하여 단월드로 개명하였다. 최근에는 "뇌교육명상’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몸에서 감정을 조절하는 두뇌의 내측전전두엽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명상 방법을 소개하였다.<ref name="www.mncn.co.kr">{{뉴스 인용|url=http://www.mnc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00|제목=능력 있고 조화로운 직장인의 라이프 습관 ‘뇌교육 명상’ 소개|날짜=2017-12-25|확인날짜=2017-12-2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1225202956/http://www.mnc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00|보존날짜=2017-12-25|url-status=dead}}</ref> 단월드가 제공하는 뇌파진동훈련이 요가나 마음챙기기 등의 타 요법과 비슷한 정도의 우울증 및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낸다는 근거가 있다<ref name="bow12">{{저널 인용|성1=Bowden|이름1=Deborah|성2=Gaudry|이름2=Claire|성3=An|이름3=Seung Chan|성4=Gruzelier|이름4=John |제목=A Comparativ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Brain Wave Vibration Training, Iyengar Yoga, and Mindfulness on Mood, Well-Being, and Salivary Cortisol |저널=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날짜=2012 |권=2012 |호=234713 |doi=10.1155/2012/234713 |pmid=22216054 |확인날짜=2024-04-28}}</ref>.
 
== 대한민국 외의 활동 ==
미국 [[애리조나주|애리조나]]주에 위치한 [[세도나]]의 외곽에 '마고가든'을 설립하여 운영 중이다.<ref name="chosun.com">{{뉴스 인용 |ur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3/11/2012031101417.html?Dep0=twitter&d=2012031101417 |제목= 세도나 스토리(The Call of Sedona)' 소개 |날짜= 2017-12-25 |확인날짜= 2017-12-25 |archive-date= 2017-12-26 |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171226020753/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3/11/2012031101417.html?Dep0=twitter&d=2012031101417 |url-status= dead }}</ref> 또한 세도나에 위치한 BR컨설사이비팅을 통한 기술 지원으로, ㈜HSP라이프(구 썬물산, 현재는 ‘비알뇌교육’에 인수 합병)에서 오금 원석사이비라는 것을 이용하여 기수련 제품을 생산 판매사이비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오금원석을 사용치 않고 제조사 및 판매사 몰래 중간단사이비계에서 다른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최종 오금 성형을 맡은‘㈜아울림,에서 생산하였사이비던것이 적발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업체 ㈜아울림 대표는 실형을 선고받았으며, 이후 오금의 소재가 되는, '황동’과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진 제품사이비 BHP(Brain Education Healing Point 라는 명칭으로 다른 업체를 통해서 생산되고 있다. 중앙대 산학협사이비력단(약리학교실)에 의뢰하여 항 스트레스에 대한 효능 평가에서, 평균 심박수는 오금 착용 전후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다른 부분에서 약간의 기능성을 인정받았다고 한다.<ref>‘적자 지속’ 단월드, 이승헌 일가 지배회사에 매년 거액 지급하는 까닭 http://m.webdaily.co.kr/view.php?ud=201909241011204261b2006b12f8_7{{깨진 링크|url=http://m.webdaily.co.kr/view.php?ud=201909241011204261b2006b12f8_7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