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로봇: 분류:경상남도 출신자 수정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김춘수'''(金春洙, [[1922년]] [[11월 25일]] ~ [[2004년]] [[11월 29일]])는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1922년]] [[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났다. [[21세기]]의 한국 시인들을 이끈 인물 중 하나이다.
 
[[1940년]] - [[1943년]]까지 [[니혼 대학교]]에서 공부를 했다. 이 때에 그는 일본 제국에게 대항해야 한다는 주장 때문에 퇴학당하교퇴학당하고 교도소에 7달동안 수감되었다. 석방된 후 귀국한 김춘수는 고등학교와 중학교 교사로 일했다. [[1946년]]에 시 <애가>를 발표하면서 공식적으로 시를 발표하기 시작했고, [[1965년]]에 [[경북대학교]] 학부에 가입했다. [[1978년]]에는 [[영남대학교]] 문학부 학장으로 지냈다.
광복 후 종래의 서정적인 바탕 위에 주지적인 시풍을 이루는 데 힘썼다. 1948년 대구에서 발행되던 동인지 <죽순(竹筍)>에 <온실(溫室)> 외 1편을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했다. 이어 첫번째 시집 <구름과 장미>를 발간하고 <산악(山嶽)> <사(蛇)> <기(旗)> <모나리자에게> <꽃> 등을 발표하여 시인으로서의 기반을 굳혔다. 그의 작품세계는 한마디로 사물(事物)의 사물성(事物性)을 집요하게 탐구하였다. 시에서의 언어의 특성을 다른 어떤 시인보다 날카롭게 응시하며 존재론적 세계를 이미지로 노래하였다. 시집으로 <구름과 장미> <늪> <기(旗)>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타령조 기타> <처용(處容)> <남천> <비에 젖은 달> 등이 있으며 시론집도 다수 있다. 1958년 한국시인협회상, 1959년 아시아자유문학상을 수상했다.<ref>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현대 문학/현대 후기 문학/전후 문학의 전개#김춘수|김춘수]]〉</ref>
광복 후 종래의 서정적인 바탕 위에 주지적인 시풍을 이루는 데 힘썼다. 한국 시인협회상, 자유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시집으로 <구름과 장미>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등이 있다.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제11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8번째 줄:
== 참고 자료 ==
* {{헌정회|1352|김춘수}}
== 주석 ==
 
<references/>
{{제11대 비례대표 민주정의당}}
{{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