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링 점수/설명문서

사용법

편집

이 틀은 컬링 경기의 점수를 등록하는데 쓰인다. 편의를 위해 점수가 없는 틀을 제공한다.

{{컬링 점수
| sheet = 
| team1 = {{Hammer}}
||||||||||| |
| team2 = 
||||||||||| |
}}
  • sheet: 경기 이름. 보통 경기가 진행되는 레인(lane) 이름이 쓰인다.
  • teamX: 팀X의 이름과 함께 스킵의 성 또는 이름을 괄호안에 쓴다. 국가대항전인 경우에는 팀이름으로 국가명을 사용할 수 있다. 첫번째 엔드에서 해머를 가진 팀에 틀 {{Hammer}}를 표시한다.
    • 아래줄에는 팀별로 각 엔드마다 득점한 점수를 기입한다.
    • 10엔드 전에 경기가 끝난 경우에는 경기가 진행되지 않은 10엔드까지 X로 표시한다. 11엔드가 실제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빈칸으로 둔다. 마지막 열에는 총점을 기입한다.

예제

편집

2014년 세계 여자 컬링 선수권 대회 타이브레이커

시트 A 1 2 3 4 5 6 7 8 9 10 총점
스웨덴의 기 스웨덴 (시그프리드손) Hammer (Last Stone First End) 1 0 1 0 1 0 1 0 1 0 5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지수) 0 1 0 1 0 3 0 1 0 1 7
{{컬링 점수
| sheet = A
| team1 = {{SWE}} (시그프리드손) {{Hammer}}
|1|0|1|0|1|0|1|0|1|0| |5
| team2 = {{KOR}} (김지수)
|0|1|0|1|0|3|0|1|0|1| |7
}}

다음은 10엔드 이전에 경기가 끝는 경우이다. 2014년 세계 여자 컬링 선수권 대회 17차전

시트 C 1 2 3 4 5 6 7 8 9 10 총점
스코틀랜드의 기 스코틀랜드 (바르) Hammer (Last Stone First End) 1 0 0 1 1 0 1 1 0 X 5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지수) 0 3 1 0 0 3 0 0 3 X 10
{{컬링 점수
| sheet = C
| team1 = {{SCO}} (바르) {{Hammer}}
|1|0|0|1|1|0|1|1|0|X| |5
| team2 = {{KOR}} (김지수)
|0|3|1|0|0|3|0|0|3|X| |10
}}

다음은 11엔드까지 경기가 진행된 경우이다. 2014 세계 여자 컬링 선수권 대회 3-4위전

1 2 3 4 5 6 7 8 9 10 11 총점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지수) Hammer (Last Stone First End) 0 0 0 1 0 0 2 0 3 0 0 6
러시아의 기 러시아 (시도로바) 1 0 1 0 0 1 0 1 0 2 1 7
{{컬링 점수
| sheet = 
| team1 = {{KOR}} (김지수) {{Hammer}}
|0|0|0|1|0|0|2|0|3|0|0 |6
| team2 = {{RUS}} (시도로바)
|1|0|1|0|0|1|0|1|0|2|1 |7
}}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