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시안화 칼륨

화합물

페리시안화 칼륨(Potassium ferricyanide)은 화학식 K3[Fe(CN)6]을 갖는 화합물이다. 밝고 붉은 빛을 내는 염으로, 팔면체형 분자기하배위 화합물페리시안 화합물 이온을 함유하고 있다.[2] 물에 녹으면 약간의 녹색-황색의 형광을 보인다. 1822년 레오폴트 그멜린에 의해 발견되었다.[3][4]

페리시안화 칼륨
이름
IUPAC 이름
Potassium hexacyanoferrate(III)
별칭
Red prussiate of Potash,
Prussian red,
Potassium ferricyanid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33.916
EC 번호
  • 237-323-3
21683
RTECS 번호
  • LJ8225000
UNII
  • InChI=1S/6CN.Fe.3K/c6*1-2;;;;/q6*-1;+3;3*+1 아니오아니오
    Key: BYGOPQKDHGXNCD-UHFFFAOYSA-N 아니오아니오
  • InChI=1S/6CN.Fe.3K/c6*1-2;;;;/q6*-1;+3;3*+1
    Key: BYGOPQKDHGXNCD-UHFFFAOYAG
  • [K+].[K+].N#C[Fe-3](C#N)(C#N)(C#N)(C#N)C#N.[K+]
성질
K3[Fe(CN)6]
몰 질량 329.24 g/mol
겉보기 deep red crystals, sometimes small pellets, orange to dark red powder
밀도 1.89 g/cm3, solid
녹는점 300 °C (572 °F; 573 K)
끓는점 decomposes
330 g/L ("cold water")
464 g/L (20 °C)
775 g/L ("hot water")[1]
용해도 slightly soluble in alcohol
soluble in acid
soluble in water
+2290.0·10−6 cm3/mol
구조
monoclinic
octahedral at Fe
위험
물질 안전 보건 자료 MSDS
GHS 그림문자 GHS07: Harmful
신호어 경고
H302, H315, H319, H332, H335
P261, P264, P270, P271, P280, P301+312, P302+352, P304+312, P304+340, P305+351+338, P312, P321, P330, P332+313, P337+313, P362, P403+233, P405, P501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NFPA 704 four-colored diamondFlammability code 0: Will not burn. E.g. waterHealth code 1: Exposure would cause irritation but only minor residual injury. E.g. turpentineReactivity code 0: Normally stable, even under fire exposure conditions, and is not reactive with water. E.g. liquid nitrogenSpecial hazards (white): no code
0
1
0
인화점 Non-flammable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2970 mg/kg (mouse, oral)
관련 화합물
다른 음이온
Potassium ferrocyanide
다른 양이온
Prussian blue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Potassium ferricyanide milled
Potassium ferricyanide when milled has lighter color

준비 편집

2 K4[Fe(CN)6] + Cl2 → 2 K3[Fe(CN)6] + 2 KCl

안전 편집

낮은 독성을 보이지만 눈과 피부에 다소 자극을 준다. 그러나 산성이 매우 강한 상태에서는 아래 식에 따라 독성이 강한 사이안화 수소 기체로 발전한다:

6 H+ + [Fe(CN)6]3− → 6 HCN + Fe3+[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wong, H.-L. (2004). 〈Potassium Ferricyanide〉. Paquette, L. 《Encyclopedia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New York: J. Wiley & Sons. doi:10.1002/047084289X. hdl:10261/236866. ISBN 9780471936237. 
  2. Sharpe, A. G. (1976). 《The Chemistry of Cyano Complexes of the Transition Metals》. London: Academic Press. 
  3. Gmelin, Leopold (1822). “Ueber ein besonderes Cyaneisenkalium, and über eine neue Reihe von blausauren Eisensalzen” [On a particular potassium iron cyanate, and on a new series of iron salts of cyanic acid]. 《Journal für Chemie und Physik》 (독일어) 34: 325–346. 
  4. Ihde, A.J. (1984). 《The Development of Modern Chemistry》 2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153쪽. 
  5. “MSDS for potassium ferricyanide” (PDF). 2016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