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해부학

신체 표면에 대한 해부학 분야

표면해부학(表面解剖學, surface anatomy, superficial anatomy, visual anatomy)은 동물 몸 바깥쪽의 특징에 대해 연구하는 해부학의 분야이다.[1] 표면해부학이 다루는 대상은 해부를 하지 않고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해부학적 특징들이다. 내시경해부학, 영상해부학과 함께 육안해부학의 한 하위 분야에 속한다.[2] 기술과학(descriptive science)에 속한다.[3] 특히 사람의 표면해부학에서는 인체의 형태, 비례, 표면의 해부학적 랜드마크에 대해 다루는데, 표면의 랜드마크는 바깥에서 봤을 때는 보이지 않는 더 깊은 구조물들과 대응하는 인체 표면의 위치이다.

몸통의 여러 주요 기관들의 표면에서의 구조. 척추가슴우리를 주된 기준으로 이용하였다.

관상학, 골상학, 수상(손금 보기)과 같은 여러 유사과학이 표면해부학에 의존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eeley, Rod R.; Stephens, Trent D.; Tate, Philip (2002). 〈1〉. 《Anatomy & physiology》 6판. McGraw & Hill. 2쪽. ISBN 978-0-07-235113-2. 
  2. Standring, Susan (2008)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39th Edition. ISBN 978-0-443-07168-3. Human surface anatomy photos at pp. 947, 1406-1410 Figs. 56.3, 110.12, 110.13, 110.15, 110.22
  3. “Journal of Morphology and Anatomy Surface Anatomy”. 《Hilaris》. Hilaris. 2021년 6월 1일에 확인함. 

추가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