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카인아마이드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는 항부정맥제

프로카인아마이드(Procainamide, PCA)는 각종 부정맥 치료에 쓰이는 항부정맥제의 일종이다. 심근세포나트륨 통로를 차단하는 나트륨 통로 차단제로, 본 윌리엄스 분류상 클래스 1a 약제에 들어간다. INa 전류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정류성 (rectifier) 칼륨 전류, 즉 IKr 전류 역시 억제한다.[1] 또한 프로카인아마이드는 심근세포의 바트라코톡신 (BTX) 활성화 나트륨 통로의 차단을 유도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2]

프로카인아마이드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4-amino-N-(2-diethylaminoethyl) benzamid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1-06-9
ATC 코드 C01BA02
PubChem 4913
드러그뱅크 DB01035
ChemSpider 4744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3H21N3O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85% (경구)
단백질 결합 15~20%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CYP2D6 매개)
생물학적 반감기 ~2.5~4.5시간
배출 Kidney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C(미국)
법적 상태
  • UK: POM (Prescription only)
투여 방법 정맥 주사, 근육 주사, 경구 투여

각주

편집
  1. Osadchii OE (August 2014). “Procainamide and lidocaine produce dissimilar changes in ventricular repolarization and arrhythmogenicity in guinea-pig”. 《Fundamental & Clinical Pharmacology》 28 (4): 382–393. doi:10.1111/fcp.12046. PMID 23952942. S2CID 5086017. 
  2. Zamponi GW, Sui X, Codding PW, French RJ (December 1993). “Dual actions of procainamide on batrachotoxin-activated sodium channels: open channel block and prevention of inactivation”. 《Biophysical Journal》 65 (6): 2324–2334. Bibcode:1993BpJ....65.2324Z. doi:10.1016/S0006-3495(93)81291-8. PMC 1225974. PMID 8312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