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은 후한(後漢)에서 원대(元代)에 이르는 약 1천년 동안에 걸쳐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으로부터, 때로는 서역(西域)의 여러 지방에서 번역된 경전이나 논서(論書)를 중심으로, 혹은 중국 불교인의 손으로 이루어진 주석서나 연구서 및 위경류(僞經類)를 포함해서 편집한 것으로서 대소승의 경률론(經律論)이 모두 포함되어 있고 분량도 가장 많으며 불교 연구에 있어서 불가결의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인도불교와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을 한 중국불교 연구의 근본자료이기도 하다. 그것들은 남북조(南北朝) · (隋) · (唐)의 각 시대를 통해 모두 수집되어 여러 차례에 걸쳐 경전목록(經典目錄)이 작성되었으나 경률론의 삼장이 일괄적으로 개판(開版)된 것은 971년 송(宋)의 태조에 의해 이루어진 송판(宋版)의 제1회 《촉판대장경(蜀版大藏經)》이 최초이며, 그 후 중국 · 한국 · 일본 등지에서 20여 회에 걸쳐 개판이 이루어져 그때마다 증광(增廣)되었다. 한역대장경은 중국 · 한국 · 일본에서 불교 경전 또는 논서로 여겨지는 불교 문헌을 통칭한다.

판본 편집

송나라 대장경 편집

촉판대장경 편집

최초의 목판 대장경. 972∼983년(개보 4년~태평흥국 8년) 제작. 북송관판(北宋官版), 개보칙판(開寶勅板), 개보장(開寶藏), 촉본(蜀本)이라고도 함.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사용.

숭녕장 편집

1080~1103년 제작.

비로장 편집

1112~1151년 제작.

원각장 편집

사계장 편집

자복장. 송본(宋本).

거란대장경 편집

1031~1054년 제작. 요본(遼本).

조성금장 편집

1149~1173년 제작.

고려대장경 편집

초조대장경 편집

1011~1087년 제작.

속대장경 편집

1096년(숙종 1년) 완성.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사용.

팔만대장경 편집

1236년(고종 23년)~1251년(고종 38년) 제작. 완전하게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대장경.

원나라 대장경 편집

적사장 편집

보령장 편집

1277~1290년 제작.

홍법장 편집

1277~1294년 제작.

명나라 대장경 편집

홍무남장 편집

1372~1398년(홍무 5~31년) 제작. 1399~1402년 제작으로 보아 건문남장이라고 하기도 함.

영락남장 편집

1412~1417년(영락 10~15년) 제작.

영락북장 편집

1410~1440년(영락 8년~정통 5년) 제작.

가흥대장경 편집

1589~1677년 제작. 경산장(徑山藏).

청나라 대장경 편집

건륭대장경 편집

1735~1738년(청나라 옹정 13년~건륭 3년) 제작. 용장(龍藏), 청장(淸藏).

일본 에도시대 편집

천해장 편집

황벽장 편집

일본 근대 편집

대일본교정대장경축쇄장본 편집

대일본교정훈점대장경 편집

속칭 만자장경(卍字藏經).

대일본속장경 편집

속칭 만자속장(卍續藏經).

대일본불교전서 편집

다이쇼 신수 대장경 편집

한글대장경 편집

동국역경원에서 1964년부터 2000년까지 번역하고 2001년에 출간 완료한 고려대장경 한글 번역판.[1]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