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세린

화합물

호모세린(영어: homoserine)은 화학식이 HO2CCH(NH2)CH2CH2OH인 α-아미노산이다. 아이소트레오닌(영어: isothreonine)이라고도 한다. L-호모세린은 DNA에 의해 암호화되는 일반적인 아미노산 중 하나가 아니다. 호모세린은 골격에 추가적인 –CH2– 단위가 삽입되어 있어서 단백질생성성 아미노산세린과 다르다. 호모세린 또는 그 락톤 형태는 메티오닌의 분해에 의한 펩타이드사이아노젠 브로마이드 절단의 산물이다.

L-호모세린
Skeletal formula
Ball-and-stick model of the zwitterion
이름
IUPAC 이름
(S)-2-amino-4-hydroxybutanoic acid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10.538
EC 번호
  • 211-590-6
UNII
  • InChI=1S/C4H9NO3/c5-3(1-2-6)4(7)8/h3,6H,1-2,5H2,(H,7,8) 예
    Key: UKAUYVFTDYCKQA-UHFFFAOYSA-N 예
  • InChI=1/C4H9NO3/c5-3(1-2-6)4(7)8/h3,6H,1-2,5H2,(H,7,8)
    Key: UKAUYVFTDYCKQA-UHFFFAOYAZ
  • O=C(O)C(N)CCO
성질
C4H9NO3
몰 질량 119.12 g/mol
녹는점 203 °C (분해된다)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호모세린은 세 가지 필수 아미노산메티오닌, 트레오닌(호모세린의 이성질체), 아이소류신생합성 과정에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1] 이것의 완전한 생합성 경로에는 해당과정, 시트르산 회로 및 아스파르트산 대사 경로가 포함된다. 호모세린은 아스파르트산 세미알데하이드의 중간생성물을 통해 아스파르트산의 두 번의 환원에 의해 형성된다.[2] 구체적으로 호모세린 탈수소효소는 NADPH와 결합하여 L-아스파르트산 4-세미알데하이드를 L-호모세린으로 상호전환시키는 가역적인 반응을 촉매한다. 그런 다음 두 개의 다른 효소인 호모세린 키네이스호모세린 O-석시닐트랜스퍼레이스는 호모세린을 기질로 사용하여 각각 포스포호모세린 및 O-석시닐 호모세린을 생성한다.[3]

활용 편집

상업적으로 호모세린은 아이소뷰탄올1,4-뷰테인다이올 합성의 전구체 역할을 할 수 있다.[4] 정제된 호모세린은 효소 구조 연구에 사용된다.[5] 또한 호모세린은 펩타이드 합성 및 프로테오글리칸 당펩타이드 합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세균 세포주는 호모세린을 다량으로 만들 수 있다.[3][4]

생합성 편집

호모세린은 β-포스포아스파르트산으로부터 생성되는 아스파르트산-4-세미알데하이드를 통해 아스파르트산에서 생성된다. 호모세린 탈수소효소의 작용에 의해 세미알데하이드는 호모세린으로 전환된다.[7]

 
호모세린의 생합성 경로

L-호모세린은 호모세린 키네이스의 기질로, 포스포호모세린(호모세린-인산)을 생성한 다음, 트레오닌 생성효소에 의해 L-트레오닌을 생성한다.

호모세린은 호모세린 O-석시닐트랜스퍼레이스에 의해 L-메티오닌의 전구체인 O-석시닐 호모세린으로 전환된다.[8]

호모세린은 아스파르트산 키네이스와 글루탐산 탈수소효소를 다른 자리 입체적으로 저해한다.[3] 글루탐산 탈수소효소는 시트르산 회로를 통해 글루탐산을 α-케토글루타르산으로, α-케토글루타르산을 옥살아세트산으로 가역적으로 전환시킨다. 트레오닌은 아스파르트산 키네이스와 호모세린 탈수소효소의 또 다른 다른 자리 입체성 저해제로 작용하지만, 호모세린 키네이스의 경쟁적 저해제이다.[8]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Tanaka M, Kishi T, Kinoshita S (September 1961). “Studies on the Synthesis of l -Amino Acids: Part III. A Synthesis of l -Homoserine from l -Aspartic Acid”.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영어) 25 (9): 678–679. doi:10.1080/00021369.1961.10857862. ISSN 0002-1369. 
  2. Berg, J. M.; Stryer, L. et al. (2002), Biochemistry. W.H. Freeman. ISBN 0-7167-4684-0
  3. Liu P, Zhang B, Yao ZH, Liu ZQ, Zheng YG (October 2020). Zhou NY, 편집. “Multiplex Design of the Metabolic Network for Production of l-Homoserine in Escherichia coli”.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86 (20). doi:10.1128/AEM.01477-20. PMC 7531971. PMID 32801175. 
  4. Huang JF, Zhang B, Shen ZY, Liu ZQ, Zheng YG (July 2018). “Metabolic engineering of E. coli for the production of O-succinyl-l-homoserine with high yield”. 《3 Biotech》 8 (7): 310. doi:10.1007/s13205-018-1332-x. PMC 6037649. PMID 30002999. 
  5. Akai S, Ikushiro H, Sawai T, Yano T, Kamiya N, Miyahara I (February 2019). “The crystal structure of homoserine dehydrogenase complexed with l-homoserine and NADPH in a closed form”. 《Journal of Biochemistry》 165 (2): 185–195. doi:10.1093/jb/mvy094. PMID 30423116. 
  6. Yang W, Ramadan S, Yang B, Yoshida K, Huang X (December 2016). “Homoserine as an Aspartic Acid Precursor for Synthesis of Proteoglycan Glycopeptide Containing Aspartic Acid and a Sulfated Glycan Chain”.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81 (23): 12052–12059. doi:10.1021/acs.joc.6b02441. PMC 5215661. PMID 27809505. 
  7. . doi:10.1021/ar000057q.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8. Petit C, Kim Y, Lee SK, Brown J, Larsen E, Ronning DR, 외. (January 2018). “Reduction of Feedback Inhibition in Homoserine Kinase (ThrB)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Enhances l-Threonine Biosynthesis”. 《ACS Omega》 3 (1): 1178–1186. doi:10.1021/acsomega.7b01597. PMC 6045374. PMID 30023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