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위성(環境衛星, 지구관측, 기술, 항행, 교육, 기상(학), 재해재난 경보, 통신 등으로 나눌 수도 있다. 환경적 측면에서 위성을 바라보면 지표면을 사진으로 관측하는 위성, 식생등 지면정보를 다루는 위성도 환경위성으로 기상을 관측하는 위성도 지표면의 온도 등 환경을 관측하기 때문에 환경위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문 위키백과에서는 지구 관측 위성([./Https://en.wikipedia.org/wiki/Geostationary%20Operational%20Environmental%20Satellite) 중 환경 감시(Environmental Satellite) 위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기상위성을 환경위성으로 생각한다면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닌것으로 생각된다. 미국 해양대기청(영어: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 NESDIS(NationasesfsfrjsiEnvironmental Satellite, Data, and Information Service) 같은 기관이 있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미국의 기상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GOES(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1][./Https://en.wikipedia.org/wiki/Geostationary%20Operational%20Environmental%20Satellite] 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환경 위성의 종류 편집

정지궤도 환경위성 편집

적도 상공 약 36,000km 고도에 위치하여 지구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위성으로 지구에서 볼 때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름에 정지가 들어가지만 끊임없이 지구와 같이 움직이며 위치가 변동한다. 위성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위성의 자세를 제어하여 지구에서 바라보면 항상 같은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원하는 지역 (예를 유럽지역, 아시아, 아메리카 등 일정 지역)을 관측할 수 있다. 높은 고도에 떠있는 만큼 넓은 지역을 관측할 수 있으나 공간 해상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현재 정지궤도의 대기관측센서의 환경위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2020년 발사하는 환경위성인 천리안-2B호(GK-2B)에 GEMS(Geostationary Environmental Monitoring Satellite)가 2021년 이후에 미국의 TEMPO(Trospheric Emissions Monitoring of Pollution) 및 유럽연합의 Sentinel-4 센서가 발사될 예정이며 시간단위로 동북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을 각각 관측할 예정이다.

극궤도 환경위성 편집

고도 800~1500km 상공에서 북극과 남극을 주기적으로 통과하는 위성이다. 극궤도 위성은 남-북 방향으로 공전하고 지구는 서→동 방향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지구 표면 전체를 관측할 수 있다. 태양동기궤도 환경위성 극궤도를 통과하여 일정한 주기로 지구를 관측하는데 일정시간에 같은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같은 시간 때로 지표면을 관측할 수 있다. OMI(Ozone Monitoring Instrument) 센서의 경우는 우리나라 통과 시간이 대략 13시 30분이다. 다양한 시간대에 관측하기 위해서 여러대의 위성을 발사하여 관측하기도 한다.

비 태양동기궤도 환경위성 편집

보통 500~600 km로 떠있으며 미국의 ISS 우주정거장도 비태양동기궤도 위성이다. 지구와 가까운 만큼 공간해상도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