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박쥐(Myotis grisescens)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 미국 남동부 전역의 동굴에서 발견되는 흔한 종이었지만, 사람들의 서식지 교란으로 20세기 초와 중반 동안에 개체수가 심하게 감소했다. 앨라배마주 북서부의 조지타운 동굴에서만, 1969년 한 때 150,000여 마리의 박쥐가 10,000마리로 개체수가 감소했다.[2] 1976년 이후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이 연방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고, 멸종위기동식물보호법으로 보호하고 있다.[3] 회색박쥐 개체수는 멸종위기종 목록으로 지정될 때, 약 2백만 마리로 추산되었다. 1980년대 초까지 약 160만 마리로 감소했다. 보호 노력 덕분에 2002년 230만 마리로 추산되고 있다.[4]

회색박쥐
회색박쥐
회색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박쥐목
과: 애기박쥐과
속: 윗수염박쥐속
종: 회색박쥐
(M. grisescens)
학명
Myotis grisescens
(A. H. Howell, 1909)
회색박쥐의 분포

회색박쥐의 분포 지역(2009년)
보전상태


준위협(NT): 근미래에 위협에 처할 수 있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5]

윗수염박쥐속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구대륙 분류군

신대륙 분류군
신북구
분류군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애리조나윗수염박쥐

작은갈색박쥐, 술꼬리박쥐, 킨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구북구
분류군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

신열대구
분류군

털다리윗수염박쥐

붉은윗수염박쥐, 벨벳윗수염박쥐, 물가윗수염박쥐, 엘리겐트윗수염박쥐

고기잡이박쥐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칠레윗수염박쥐

은색작은박쥐, 산지윗수염박쥐, 검은윗수염박쥐, 노랑윗수염박쥐

각주 편집

  1. Arroyo-Cabrales, J. & Timm, R. (2008). Myotis grisescens. 《IUCN 적색 목록》 (IUCN) 2008: e.T14132A4403493. doi:10.2305/IUCN.UK.2008.RLTS.T14132A4403493.en. 2017년 12월 27일에 확인함. 
  2. Bagley, F.M.; Clark, D.R. Jr. & Johnson, W.W. (1987). “Northern Alabama Colonies of the Endangered Gray Bat Myotis grisescens: Organochlorine Contamination and Mortality”. 《Biological Conservation》 43 (3): 213–225. doi:10.1016/0006-3207(88)90114-0. 
  3. Sasse, D.B.; Clawson, R.L.; Harvey, M.J.; Hensley, S.L. (2007). “Status of Populations of the Endangered Gray Bat in the Western Portion of its Range”. 《Southeastern Naturalist》 6 (1): 165–172. doi:10.1656/1528-7092(2007)6[165:SOPOTE]2.0.CO;2. 
  4. Mitchell, W.A. & C.O. Martin (May 2002) Cave- and Crevice-Dwelling Bats on USACE Projects: Gray Bat (Myotis grisescens) Archived 2011년 8월 12일 - 웨이백 머신.
  5. Stadelmann, B., Lin, L.-K., Kunz, T.H. and Ruedi, M. 2007.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subscription required).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1):3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