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신도시는 2003년 노무현 정부에서 서울 집값의 급등을 막기 위해 건설한 12곳의 신도시이다. 12곳 중 10곳은 수도권, 2곳은 충청권에 속한다.

목록 편집

수도권 편집

충청권 편집

상세 편집

수도권 편집

[1] 판교신도시 동탄1신도시 동탄2신도시 한강신도시 운정신도시 광교신도시 양주신도시 위례신도시 고덕국제신도시 검단신도시
면적(km2) 8.9 9.0 24.0 11.7 16.6 11.3 11.2 6.8 13.4 11.2
수용인구(천명) 88 126 286 167 217 78 163 110 140 184
인구밀도(인/ha) 98 139 119 146 130 69 146 163 104 164
주택건설(천호) 29.3 41.5 116.5 61.3 88.2 31.3 63.4 44.8 57.2 74.7

2기 신도시들 중에서 동탄2신도시가 면적과 인구, 주택 수가 가장 많다. 인구밀도는 위례신도시가 가장 높으며, 광교신도시가 가장 낮다.

충청권 편집

[2] 아산신도시 도안신도시
면적(km2) 8.8 6.1
수용인구(천명) 86[3] 69
주택건설(천호) 33.3[4] 24.5

비판 편집

파주 운정, 화성 동탄, 김포 한강, 양주 옥정 · 회천 등 2기 신도시 대부분이 서울과 너무 멀 뿐만 아니라, 교통 인프라도 미흡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받는다.[5][6] 1기 신도시는 서울에서 반경 20km 이내 건설되었는데, 2기 신도시는 판교, 위례를 제외하고 서울에서 반경 30~40km 정도에 건설되었다. 그 중에서도 위례신도시는 광역교통대책이 10년째 실현되지 않고 있다. 또한 김포 한강신도시는 버스가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며,[7] 양주신도시 중 옥정지구는 지하철도 없고 서울 주요 업무지구로 향하는 광역버스조차 없다.[8][6]

또한 편의시설이나 체육시설 등이 부족해, 단순 베드타운이라는 불만이 입주민들 사이에서 나왔다.[9]

때문에 서울로 쏠리는 주거 수요를 분산하는 데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일부 신도시는 한때 '미분양의 무덤'으로 불리기도 하였다.[6][9]

예외적으로 판교신도시의 경우, 판교테크노밸리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공급에도 성공했고,[9] 서울로의 접근성도 뛰어나 타 신도시들에 비해 서울의 수요 분산에 효과적으로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6]

각주 편집

  1. “제2기 수도권신도시 건설안내”. 《국토교통부》. 2017년 9월 15일. 
  2. “제2기 지방신도시 건설안내”. 《국토교통부》. 2017년 2월 28일. 
  3. 존치아파트 2,880인 제외
  4. 존치아파트 1,200호 제외
  5. “[사설]3기 신도시, ‘베드타운’ 넘으려면 교통인프라 자급기능 갖춰야”. 2018년 12월 20일. 
  6. "신규택지 제1조건은 서울 접근성… 광역교통망도 동시에 구축해야". 2018년 9월 10일. 
  7. 김포 도시철도는 공기 지연으로 2019년 개통 예정이다.
  8.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선은 시공사 선정에 실패해 표류 중이다.
  9. “집 지으면 끝? 2기 신도시가 '미분양의 무덤' 된 이유”. 2018년 9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