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원 (2,0) 초등각 장론

이론물리학에서, 6차원 (2,0) 초등각 장론(六次元(2,0)超等角場論, 영어: 6-dimensional (2,0)-superconformal theory)은 M5-막 위에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6차원 초등각 장론이다. 이는 초대칭을 갖는다. 이 이론은 국소 라그랑지언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직접적으로 다루기 힘들다.

(2,0) 이론의 콤팩트화 편집

(2,0) 이론을 2차원 · 3차원 · 4차원 다양체에 콤팩트화하면, 다양한 형태의 S-이중성을 얻는다.

아지리스-자이베르그-가이오토 이중성 편집

아지리스-자이베르그-가이오토 이중성(영어: Argyres–Seiberg–Gaiotto duality) 또는 가이오토 이중성은 4차원   초등각 게이지 이론들에 대한 S-이중성이다. 이는 원래 필립 아지리스(영어: Philip Argyres)와 나탄 자이베르그가 발견한 이중성[1]을 다비데 실바노 아킬레 가이오토(이탈리아어: Davide Silvano Achille Gaiotto)가 일반화하였다.[2]

아지리스-자이베르그-가이오토 이중성이 적용되는 이론들은 M5-막을 구멍난(punctured) 리만 곡면에 감아서 정의된다. 즉, M5-막의 세계부피 이론인 6차원   초등각 장론을 구멍난 리만 곡면에 축소화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얻을 수 있는 이론들을 𝒮류 이론(영어: theories of class 𝒮)이라고 한다.[3]

가이오토의 이 논문에 대해서, 또다른 유명한 물리학자인 다치카와 유지(일본어: 立川 裕二 たちかわ ゆうじ[*])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지난 주 월요일에도 일기에 적었지만, 오늘 밤 나왔던 %의 논문은 아름답다. 내가 석사 시절부터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공부했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는 건지 몰라도, 적어도 4차원   초대칭 이론로서는 획기적인 발전이다. 이 정도 좋은 논문을 언젠가 쓰고 싶다.

先週月曜にも日記に書いたことの繰り返しになるが、今晩出た % の論文は美しい。僕が修士の頃から Seiberg-Witten 理論を勉強してきたからそう思うだけかも知れないけれども、少なくとも 4次元 N=2 超対称性理論としては画期的な発展だろう。これぐらい良い論文をいつか書きたいものだ。

 
[4]

알다이-가이오토-다치카와 대응성 편집

알다이-가이오토-다치카와 대응성(영어: Alday–Gaiotto–Tachikawa correspondence)은 4차원   초등각 게이지 이론의 네크라소프 분배 함수(영어: Nekrasov partition function, 미세한 5번째 콤팩트 차원 방향에 일종의 뒤틀린 경계 조건을 가한 분배 함수)와 2차원 리우빌 장론 사이의 대응성이다.[5] 루이스 페르난도 알다이(스페인어: Luis Fernando Alday), 다비데 실바노 아킬레 가이오토(이탈리아어: Davide Silvano Achille Gaiotto), 다치카와 유지(일본어: 立川 裕二 たちかわ ゆうじ[*])가 2009년에 발견하였다. 이는 아지리스-자이베르그-가이오토 이중성의 확장이며, 4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각종 S-이중성들을 2차원 리우빌 장론으로 설명한다. 이 역시 궁극적으로 6차원의 M5-막을 2차원 리만 곡면 위에 축소화하여 얻어진다. 이 경우, 4차원 쪽을 콤팩트 차원으로 간주한다면 2차원 리우빌 장론을 얻고, 반대로 2차원 쪽을 콤팩트 차원으로 간주한다면 4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을 얻는다.

4차원   초등각 게이지 이론 2차원 등각 장론
네크라소프 분배 함수의 순간자 성분   등각 블록(conformal block)
네크라소프 분배 함수의 1개 고리 성분   DOZZ 인자들의 곱
네크라소프 분배 함수의 진공 기댓값 모듈러스에 대한 적분 리만 구 위의 4점 상관 함수
네크라소프 매개 변수의 비   리우빌 매개 변수  
가이오토 이중성에 등장하는 구멍 뚫린 리만 곡면 국소 연산자가 삽입된 2차원 시공간
(일반화) S-이중성군 (  등) 리만 곡면의 사상류군(영어: mapping class group) ( )
초등각 지표 2차원 위상 양자장론[6]

디모프테-가이오토-구코프 이중성 편집

가이오토 이중성은 M5-막을 2차원 리만 곡면에 감아서 얻는다. 대신 M5-막을 3차원 다양체에 감아 3차원   게이지 이론들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같은 3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서로 다른 묘사들을 얻을 수 있다. 투도르 단 디모프테(루마니아어: Tudor Dan Dimofte)와 다비데 실바노 아킬레 가이오토(이탈리아어: Davide Silvano Achille Gaiotto),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구코프(러시아어: Серге́й Генна́дьевич Гу́ков)가 도입하였다.[7][8]

참고 문헌 편집

  1. Argyres, Philip C.; Nathan Seiberg (2007년 12월). “S-duality in N=2 supersymmetric gauge theorie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07 (12): 88. arXiv:0711.0054. Bibcode:2007JHEP...12..088A. doi:10.1088/1126-6708/2007/12/088. ISSN 1029-8479. 
  2. Gaiotto, Davide (2012년 8월). “N=2 dualitie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2 (8): 34. arXiv:0904.2715. Bibcode:2012JHEP...08..034G. doi:10.1007/JHEP08(2012)034. ISSN 1029-8479. 
  3. Gaiotto, Davide; Gregory W. Moore, Andrew Neitzke (2013년 2월 15일). “Wall-crossing, Hitchin systems, and the WKB approximation”.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234: 239–403. arXiv:0907.3987. Bibcode:2009arXiv0907.3987G. doi:10.1016/j.aim.2012.09.027. ISSN 0001-8708. 
  4. 立川裕二 (2009년 4월 19일). “Apr 19 23:53, Princeton”. 《diary》 (일본어). 2015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5. Alday, Luis F.; Davide Gaiotto, Yuji Tachikawa (2010년 2월 9일). “Liouville correlation functions from four-dimensional gauge theories” (영어). arXiv:0906.3219. Bibcode:2010LMaPh..91..167A. doi:10.1007/s11005-010-0369-5. 
  6. Gadde, Abhijit; Elli Pomoni, Leonardo Rastelli, Shlomo S. Razamat. “S-duality and 2d topological QFT” (영어). arXiv:0910.2225. 
  7. Dimofte, Tudor; Davide Gaiotto, Sergei Gukov. “Gauge theories labelled by three-manifolds”. arXiv:1108.4389. Bibcode:2011arXiv1108.4389D. 
  8. Cecotti, Sergio; Clay Cordova, Cumrun Vafa (2011년 10월 10일). “Braids, walls, and mirrors” (영어). Bibcode:2011arXiv1110.2115C. 

외부 링크 편집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