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체(加髢) 혹은 다리, 다래는 일종의 가발로, 근대 이전 한국의 여성들이 사용하였다.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여성들과 기생들이 가체를 사용하였다. 서양의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여성들도 더 크고 무거운 가발이 더 아름답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상황이 심해지자 1788년 조선 정조는 왕명으로 가체의 사용을 금지하였다(가체 대신 족두리를 쓰라고 했다, 머리를꾸미고 싶으면.). 당시의 가체는 그 길이가 무려 1척(30.3 cm)에 이를 정도였다.[1]

가체는 얹은머리형태로 양반층만이 아니라 일반 서민층 부녀자에게도 크게 유행했으며 좋은 다래로 땋은 머리 를 틀어서 얹은 가체를 행사나 명절에 한번씩 사용하는 것을 큰 자랑이어서 일부 가정에는 재정적 부담이 과중해지는 결과가 일어나기도 했다.[2] 이에 따라 당시에는 부녀자의 가체를 통해 그 집안의 경제 사정을 가늠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그 가체의 무게 때문에 시집오는 처녀가 혼례 중에 혼절하기도 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또한 국가 주요 행사시에 왕의 가족들이 착용할 가체제작에 필요한 머리카락을 각종 공출을 통해 강제 수집하는 등[3] 백성의 불만을 초래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19세기 들어 양반 계급의 여성들은 족두리를 쓰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가체의 대용품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기생들은 계속해서 가체를 사용하였다. 여러 가지 장식을 포함한 가체의 무게는 보통 3~4kg정도이다.

가체를 한 머리형을 가체머리 혹은 얹은 머리라고 불렀으며 현대에 와서는 사극에 출현하는 배우들이 가체의 무게에 따른 고통을 토로하기도 한다.[4][5][6]

가체의 종류

편집

가체 사진

편집

민화에 나타난 가체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김지영, 《규방공예》, 컬처라인, 32쪽
  2. 대한모발학회, 《모난 사람이 되자》, 무한, 2008년, 257쪽
  3. 정철순, 《성격분장》, 광문사, 2009년, 212쪽
  4. '선덕여왕' 이요원 "20kg 가체, 가장 견디기 힘들어" 아이뉴스 2009-11-24
  5. 이윤지 “사극 촬영하다 가체 쓰고 대학 시험봤다" 뉴스엔 2009-10-24
  6. 하지원, "'황진이' 가체, '첫경험' 표시예요" 마이데일리 2006-09-2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