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반사

(각막 반사에서 넘어옴)

각막반사(corneal reflex)는 주변 자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 각막 자극(예: 만지거나 이물질에 의해)으로 인해 발생하는 눈꺼풀의 비자발적 깜박임이다. 자극은 직접적이고 합의된 반응(반대 눈의 반응)을 모두 이끌어내야 한다.[1] 반사는 0.1초의 빠른 속도로 일어난다. 이 반사의 목적은 이물질과 밝은 빛(후자는 광학 반사로 알려져 있음)으로부터 을 보호하는 것이다. 눈 깜박임 반사는 40~60dB 이상의 소리가 들릴 때도 발생한다.[2]

반사는 다음에 의해 매개된다.

  • 삼차신경(CN V) 안구분지(V1)의 비선상분지(Nasociliary Branch)는 각막(구심성 섬유)의 자극만을 감지한다.
  • 운동 반응(원심성 섬유)을 시작하는 얼굴신경(CN VII)의 측두 및 광대뼈 분지.
  • 중심()은 뇌줄기뇌교에 위치한다.

콘택트 렌즈 사용 시 이 반사 테스트의 감소나 폐지가 가능하다.

반면에, 광학 반사(optical reflex)는 더 느리며 뇌의 후두엽에 있는 시각 피질에 의해 매개된다. 9개월 미만의 유아에게는 반사가 없다.

각막 반사 검사는 특히 FOUR 점수와 같은 혼수상태를 평가할 때 일부 신경학적 검사의 일부이다. 삼차신경의 눈가지(V1)가 손상되면 해당 눈을 자극할 때 각막 반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한쪽 각막을 자극하면 일반적으로 합의된 반응이 나타나며 양쪽 눈꺼풀은 정상적으로 닫힌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ye, human". Encyclopædia Britannica fro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 Ultimate Reference Suite DVD, 2009
  2. Garde, M.M., & Cowey, A. (2000). "'Deaf hearing': Unacknowledged detection of auditory stimuli in a patient with cerebral deafness". Cortex 36(1), 7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