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정원본(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貞元本)은 감지[1]에 금가루로 화엄경 34권을 쓴 것이다. 첫머리에는 원나라의 안새한이 부모를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고 쓰여 있다. 1984년 5월 3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52호로 지정되었다.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Transcription of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in Gold on Indigo Paper)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752호
(1984년 5월 30일 지정)
수량2권1첩
시대고려시대
소유성보문화재단
위치
주소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좌표북위 37° 28′ 52″ 동경 126° 55′ 2″ / 북위 37.48111° 동경 126.91722°  / 37.48111; 126.91722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은 당나라 반야(般若)가 번역한『화엄경』정원본 40권 가운데 권34에 해당하며, 보현보살이 선재동자에게 부처의 공덕을 얻기 위해 닦아야 할 10가지 계율을 설법한 보현행원품의 내용이 들어있다. 검푸른 종이에 금가루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썼으며,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고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4cm, 가로 11.5cm이다.

권의 첫머리에는 고려 충숙왕 복위 3년(1334)에 원나라의 안새한이 부모의 훌륭한 가르침을 기리기 위하여 만들었음을 알 수 있는 간행기록이 있다. 이어 설법한 내용을 요약하여 그린 변상도(變相圖)가 금색으로 세밀하게 그려져 있으며, 그 뒤에는 본문이 역시 금색으로 쓰여져 있다.

개인의 뜻에 의해 만든 것이기는 하나 그 품격이 정교하고, 고려시대 불경의 격식을 제대로 갖추고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각주 편집

  1. 검은빛이 도는 짙은 남색으로 물들인 종이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