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처방식 수업

정의

편집

- 개별처방식 수업(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은

미국 피츠버그 대학 학습연구개발 센터(LRDC)의 글레이저(R. Glaser) 등이

1962∼1964년에 걸쳐 개발한 교수-학습방법이다.

학급 내의 개별 학생들의 개인차에 맞는 적절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을 개별화하여 학습의 효과를 올려 보려는 수업체제이다.


특징

편집

① 학생 개인마다 주어진 수업목표를 달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다르다.

② 주어진 자료를 완전히 학습하기 전에는 새로운 자료를 학습할 수 없다.

③ 각 개인의 학습 진전상황을 알기 위하여 수시로 평가한다.

④ 학년제는 폐지되며 한 학급은 60~7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고, 교사는 2~3명에 조수가 2~4명이 따른다.

정치검사(placement test)

편집

개별학생들의 기본능력을 검사하여 각자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교재를 제공한다.

교육과정 정착검사(curriculum embeded test)

편집

정치검사에 의해서 주어졌던 학습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검사를 한다. 이 때 학습목표에 도달하지 못 했다면 원인을 파악하고 보충하여 학습과제를 부여한다.

사후검사(post test)

편집

성취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실시하며 85%의 성취수준을 나타내면 다음 학습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있다.

참고 문헌

편집
  1. 개별처방식 수업(IPI)[1]
  1. 개별처방식 수업의 특징[2]

각주

편집
  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2. 김준권,옥장흠,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이당, 2008, 8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