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장폐색증

거짓 장폐색증(-腸閉塞症,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또는 가성 장폐색증(假性腸閉塞症)은 음식을 통과시키는 창자의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됨에 따라 발병하는 임상적 증상이다. 장내 공간에 병변이 없는 장폐색 증상이라는 특징이 있다.[1]

거짓 장폐색증
진료과위장병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만성일 수도 있고[2] 급성에 해당할 수도 있다.[3]

병인

편집

원발성 만성 거짓 장폐색증(만성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위장관의 부드러운 근육(근질환)이나 신경계(신경질환)의 상해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4]

일부 병인의 경우 유전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다.[5] 특정한 형태의 경우 DXYS154와 관련되어 있다.[6]

이차성 만성 거짓 장폐색증은 수많은 기타 질병들의 결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가와사키병[7], 파킨슨병, 샤가스병, 히르슈슈프룽 병, 장저신경절증, 콜라겐혈관병, 미토콘드리아병, 내분비질환 및 특정 약물의 이용을 포함한다.[4]

진단

편집

치료가 가능한 이차적 병인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4]

원발성 거짓 장폐색증은 운동성 검사, 엑스레이, 위내용 배출 연구에 기반하여 진단한다.

치료

편집

이차적 만성 거짓 장폐색증은 기반이 되는 질병을 치료함으로써 관리된다.

만성 거짓 장폐색증의 경우 치유 방법은 없다. 영양분 제공과 수분 공급을 관리하고 통증 완화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tanghellini V, Cogliandro RF, De Giorgio R, 외. (May 2005). “Natural history of chronic idiopath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in adults: a single center study”.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3 (5): 449–58. doi:10.1016/S1542-3565(04)00675-5. PMID 15880314. 
  2. Sutton DH, Harrell SP, Wo JM (February 2006).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dult patients with chron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21 (1): 16–22. doi:10.1177/011542650602100116. PMID 16439766.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Saunders MD (October 2004). “Acute colonic pseudoobstruction”. 《Current Gastroenterology Reports》 6 (5): 410–6. doi:10.1007/s11894-004-0059-5. PMID 15341719. 
  4. Gabbard SL, Lacy BE (June 2013). “Chron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28 (3): 307–16. doi:10.1177/0884533613485904. PMID 23612903. 
  5. Guzé CD, Hyman PE, Payne VJ (January 1999). “Family studies of infantile visceral myopathy: a congenital myopathic pseudo-obstruction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82 (2): 114–22. doi:10.1002/(SICI)1096-8628(19990115)82:2<114::AID-AJMG3>3.0.CO;2-H. PMID 9934973. 
  6. Auricchio A, Brancolini V, Casari G, 외. (April 1996). “The locus for a novel syndromic form of neuronal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maps to Xq28”.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58 (4): 743–8. PMC 1914695. PMID 8644737. 
  7. Akikusa JD, Laxer RM, Friedman JN (May 2004).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in Kawasaki disease”. 《Pediatrics》 113 (5): e504–6. doi:10.1542/peds.113.5.e504. PMID 15121996.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