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회
경성회(慶聖會, 1657년 ~ 1728년)는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가(仲嘉)이다. 호조참판 경섬(慶暹)의 증손자이며, 판결사(判決事) 경최(慶㝡)의 아들이다.
생애
편집1711년(숙종(肅宗) 37년)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병과(丙科) 8위로 급제하였다.[1]
1716년(숙종 42년) 사헌부 장령(掌令)으로서 상소(上疏)하기를, 관동(關東)의 전정(田政)을 바로잡고 황장 금표(黃腸禁標) 안에 들어가 경작하는 폐단을 엄단하고 조곡(糶穀)을 남겨 저축하여 불시의 수요에 대비하기를 청하고, 또 인재를 소통(疏通)하고 박만정(朴萬鼎)·강현(姜鋧)·이이만(李頤晩) 등을 거두어 서용(敍用)하기를 청하고, 강세윤(姜世胤)을 신구(伸救)하니, 임금이 우악(優渥)하게 비답(批答)하고 받아들였다.[2]
이후 길주목사(吉州牧使)로 지내고, 1726년(영조 2년)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3] 승지(承旨)에 이르렀다.[4] 승지로서 조선 단종의 충신 사육신 박팽년, 성삼문의 후손들을 국가에서 돌볼 것을 국왕에게 주청하기도 했다.[5]
1727년 12월 사헌부에서 "홍성보(洪性輔)·경성회(慶聖會)는 경화(京華)의 세족(世族)으로서 몸가짐이 추잡하고 마음씀이 간사하며 부귀(富貴)를 탐내어 시세(時勢)에 따라 반복(反覆)했다."며 삭직을 청하기도 했다.[6]
각주
편집- ↑ 경성회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숙종실록 57권, 숙종 42년 윤3월 3일 계해 1번째기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영조실록 9권, 영조 2년 4월 7일 기사 1번째기사”. 2018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7일에 확인함.
- ↑ “영조실록 10권, 영조 2년 8월 12일 신미 2번째기사”. 2018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7일에 확인함.
- ↑ “영조실록 11권, 영조 3년 4월 21일 정미 3번째기사”. 2018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7일에 확인함.
- ↑ 영조실록 14권, 영조 3년 12월 21일 임인 3번째기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