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목(Polypodiales)은 양치식물의 주요 계통으로, 현존하는 양치식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열대, 준열대, 온대 지역을 포함하여 전 세계의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이 분류군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포자낭은 줄기와 열개부(Stomium)에 의해 끊기는 수직으로 된 환대를 가지며, 포막(indusium)이 측면 또는 중앙에 달려있다.(또는 사라짐)[1]

고사리목
Polypodium californicum
Polypodium californicum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문: 양치식물문(본문 참조)
강: 고사리강/양치식물강(논란)
목: 고사리목
(Polypodiales)
Link 1833
  • 본문 참조

최신의 유전학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고사리목은 진화적으로 가장 발달한 중원형식물(양치식물) 목 중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약 1억년 전에 처음 나타나 다양하게 번성해왔으며, 뒤따라서 속씨식물의 분화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

하위 과

편집

고사리목은 다음과 같은 과를 포함하고 있다.[3]

  • 삭콜로마과 (Saccolomataceae) Doweld & Reveal 2008
  • 론키티스과 (Lonchitidaceae) C.Presl ex M.R.Schomb. 1848
  • 키스토디움과 (Cystodiaceae) J.R.Croft 1986
  • 비고사리과 (Lindsaeaceae) C.Presl ex M.R.Schomb. 1848
  • 봉의꼬리과 (Pteridaceae) E.D.M.Kirchn. 1831
    • 북바위고사리아과 (Cryptogrammoideae) S.Linds. 2009 (=) Cryptogrammaceae Pic. Serm. 1963
    • 물고사리아과 (Ceratopteridoideae) (J.Sm.) R.M.Tryon 1986 (=) Ceratopteridaceae Underw. 1900
    • 봉의꼬리아과 (Pteridoideae) C.Chr. ex Crabbe, Jermy & Mickel 1975
    • 개부싯깃고사리아과 (Cheilanthoideae) W.C.Shieh 1973 (=) Cheilanthaceae B.K.Nayar 1970
    • 일엽아재비아과 (Vittarioideae) (C.Presl) Crabbe, Jermy & Mickel 1975 (=) Adiantoideae (C.Presl) R.M.Tryon 1986
  • 잔고사리과 (Dennstaedtiaceae) Lotsy 1909

진정고사리군 II (Eupolypods II)

진정고사리군 I (Eupolypods I)

  • 금털고사리과 (Hypodematiaceae) Ching 1975
  • 면마과 또는 관중과 (Dryopteridaceae) Herter 1949
    • 면마아과 또는 관중아과 (Dryopteridoideae) B.K.Nayar 1970
    • Elaphoglossoideae (Pic.Serm.) Crabbe, Jermy & Mickel 1975 (=) Elaphoglossaceae Pic.Serm.
  • 덩굴고사리과 (Lomariopsidaceae) Alston 1956
  • 네프롤레피스과 (Nephrolepidaceae) Pic.Serm. 1975
  • 텍타리과 (Tectariaceae) Panigrahi 1986
  • 줄고사리과 (Oleandraceae) Ching ex Pic.Serm. 1965 (=) Olandraceae
  • 넉줄고사리과 (Davalliaceae) M.R.Schomb. 1848
  • 고란초과 (Polypodiaceae) J.Presl & C.Presl 1822
    • 주걱일엽아과 (Loxogrammoideae) H.Schneid. 2011
    • 드리나리아아과 (Drynarioideae) Crabbe, Jermy & Mickel 1975
    • 박쥐난아과 (Platycerioideae) B.K.Nayar 1970
    • 밤일엽아재비아과 (Microsoroideae) B.K.Nayar 1970
    • 고란초아과 (Polypodioideae) B.K.Nayar 1970

계통발생학적 관계

편집

2016년 고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고사리목

삭콜로마과

키스토디움과

론키티스과

비고사리과

봉의꼬리과

잔고사리과

꼬리고사리아목 (진정고사리군 II)

고란초아목 (진정고사리군 I)

폐기된 과

편집

아래는 고사리목에서 폐기된 과의 목록이다.

  • 드리나리아과 (Drynari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그람미티스과 (Grammitid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김노그람미티스과 (Gymnogrammitid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주걱일엽과 (Loxogramm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네프롤레피스과 (Nephrolepidaceae) - 현재는 덩굴고사리과로 분류하기도 함.
  • 박쥐난과 (Platyceri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좀고사리과 (Pleursoriopsid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일엽아재비과(Vittariaceae) - 현재 봉의꼬리과로 분류

각주

편집
  1. Alan R. Smith, Kathleen M. Pryer, Eric Schuettpelz, Petra Korall, Harald Schneider & Paul 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PDF). 《Taxon》 55 (3): 705–731. 
  2. Harald Schneider, Eric Schuettpelz, Kathleen M. Pryer, Raymond Cranfill, Susana Magallón, Richard Lupia (2004). “Ferns diversified in the shadow of angiosperms”. 《Nature》 428 (6982): 553–557. doi:10.1038/nature02361. PMID 15058303. 
  3. Maarten J. M. Christenhusz & Harald Schneider (2011). “Corrections to Phytotaxa 19: Linear sequence of lycophytes and ferns” (PDF). 《Phytotaxa》 28: 50–52. 
  4. PPG I (2016).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6): 563–603. doi:10.1111/jse.12229.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