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동 (대구)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행정동
고산동(孤山洞)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행정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의 통칭이다.
고산1동 孤山1洞 | |
---|---|
Gosan 1(il)-dong | |
![]() | |
면적 | 8.79 km2 |
인구 | 30,970 명(2022년 3월) |
인구 밀도 | 3,520 명/km2 |
세대 | 11,058가구 |
법정동 | 신매동, 욱수동 |
통·리·반 | 39통 302반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260-2 (신매동) |
웹사이트 | 고산1동 행정복지센터 |
고산2동 孤山2洞 | |
---|---|
Gosan 2(i)-dong | |
면적 | 24.39 km2 |
인구 | 28,650 명(2022년 3월) |
인구 밀도 | 1,175 명/km2 |
세대 | 9,761가구 |
법정동 | 시지동, 노변동, 삼덕동, 연호동, 이천동, 고모동, 가천동, 대흥동 |
통·리·반 | 38통 257반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091 (시지동) |
웹사이트 | 고산2동 행정복지센터 |
고산3동 孤山3洞 | |
---|---|
Gosan 3(sam)-dong | |
면적 | 5.01 km2 |
인구 | 33,026 명(2022년 3월) |
인구 밀도 | 6,590 명/km2 |
세대 | 11,327가구 |
법정동 | 매호동, 성동, 사월동, 신매동 |
통·리·반 | 39통 277반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로 152 (매호동) |
웹사이트 | 고산3동 행정복지센터 |
연혁편집
- 1914년의 행정구역[1]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경산군 서면 가천동(佳川洞) 고산면 가천동 경산군 서면 고모동(顧母洞), 팔현동(八峴洞) 고산면 고모동 경산군 서면 내곶동(內串洞) 고산면 내환동 경산군 서면 노변동(蘆邊洞) 고산면 노변동 경산군 서면 서호동, 우매동(牛梅洞) 고산면 매호동 경산군 서면 사월동(沙月洞) 고산면 사월동 경산군 서면 외곶동(外串洞), 덕천동(德川洞), 대덕동(大德洞) 고산면 삼덕동 경산군 서면 성동(城洞) 고산면 성동 경산군 서면 시지동(時至洞), 송정동(松亭洞) 고산면 시지동 경산군 서면 내매동(內梅洞), 신기동(新基洞) 고산면 신매동 경산군 서면 연호동(蓮湖洞), 상련동 고산면 연호동 경산군 서면 욱수동(旭水洞), 봉암동(鳳岩洞) 고산면 욱수동 경산군 서면 이천동(梨川洞) 고산면 이천동
교육편집
문화편집
- 대구스타디움
- 홈플러스 대구스타디움점 (대흥동)
- 대구시립미술관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교통편집
기본 시설편집
- 고산성당
- 대구고산우체국
- 고산농협
- 수성경찰서 고산지구대
- 고산1동 치안센터
- 고산2동 치안센터
- 고산1동 주민센터 (신매동)
- 고산2동 주민센터 (시지동)
- 고산3동 주민센터 (매호동)
아파트편집
- 시지2동
공룡발자국 화석편집
고산동을 지나는 하천인 욱수천에는, 사진과 같이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존재한다. 생성 연대는 약 1억년 전 백악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