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민

고영민(高永民, 1984년 2월 8일 ~ )은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내야수, 외야수이자, 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1루주루코치이다.
| |||||||||||||||||||||||||||
![]()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4년 2월 8일 | (39세)||||||||||||||||||||||||||
출신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담양군 | ||||||||||||||||||||||||||
신장 | 182 cm | ||||||||||||||||||||||||||
체중 | 73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2루수, 1루수, 중견수, 지명타자 | ||||||||||||||||||||||||||
프로 입단 연도 | 2002년 | ||||||||||||||||||||||||||
드래프트 순위 | 2002년 2차 1라운드(두산 베어스) | ||||||||||||||||||||||||||
첫 출장 | KBO / 2002년 5월 4일 문학 대 SK전 | ||||||||||||||||||||||||||
마지막 경기 | KBO / 2016년 9월 2일 잠실 대 kt전 | ||||||||||||||||||||||||||
획득 타이틀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올림픽 | 2008년 | ||||||||||||||||||||||||||
WBC | 2009년 | ||||||||||||||||||||||||||
메달 기록
|
선수 시절 편집
아마추어 시절 편집
서울 성남고등학교 시절 박경수와 이루었던 키스톤 콤비가 강해 두산 베어스의 지명은 2003년 그의 성남고 1년 후배인 내야수 박경수의 지명을 위한 사전 포석이었다. 그러나 박경수는 2003년 계약금 3억 8,000만원을 제시한 두산 베어스가 아닌 4억 3,000만원을 제시한 LG 트윈스에 입단하였다.
두산 베어스 시절 편집
2007년부터 두각을 드러내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우승에 기여하는 등 좋은 활약을 보였으나, 이후에는 점점 하락세를 걸었다. 2012년 8월에 2군으로 내려가 시즌 아웃이 되어 포스트시즌 엔트리에서 제외됐다. 2013년에 FA 대상이 되었으나 계속된 성적 부진으로 인해 취소됐고, 2014년에 FA 자격을 취득했다.
2015년 한국시리즈 편집
10월 31일, 1~4차전에서 당시 같은 팀이었던 오재일, 로메로가 안 좋은 모습을 보였고, 5차전에서 선발 출장해 2타점 적시타와 정인욱의 와일드 피치 때 홈으로 파고드는 과감한 주루 플레이로 추가 득점을 올리며 팀이 14년 만에 우승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야구선수 은퇴 후 편집
2016년 시즌 후 보류 선수 명단에서 제외됐다.[1] 이후 현역 연장 의지를 드러냈으나 실패하고 kt 위즈의 코치직 제안을 수락하며 은퇴했다.[2]
별명 편집
- 그의 성과 가제트를 합친 '고제트'라고 불린다.
- 포지션이 2루수인데 우익수처럼 수비해서 '2익수'라고 불린다.
국가대표 경력 편집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편집
타율 0.208, 장타율 0.269, 출루율 0.333, 6득점, 5타점, 1도루, 1실책
2009년 WBC 편집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멕시코 | 0 | 2 | 0 | 0 | 0 | 0 | 0 | 0 | 0 | 2 | 9 | 1 | |||||||||||||
---|---|---|---|---|---|---|---|---|---|---|---|---|---|---|---|---|---|---|---|---|---|---|---|---|---|
대한민국 | 0 | 2 | 0 | 1 | 1 | 0 | 4 | 0 | X | 8 | 12 | 1 | |||||||||||||
승리 투수: 정현욱 패전 투수: 올리버 페레스 홈런: 한국 – 이범호 (2회 1사, 올리버 페레스를 상대로 1점 홈런), 김태균 (4회 무사, 올리버 페레스를 상대로 1점 홈런), 고영민 (5회 2사, 올리버 페레스를 상대로 1점 홈런)[3] |
출신 학교 편집
통산 기록 편집
연도 | 팀 | 타율 | 경기수 | 타수 | 안타 | 단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도루실패 | 도루성공률[4] | 4사구 | 삼진 | 병살타 | 희생타 | 장타율 | 비고 |
---|---|---|---|---|---|---|---|---|---|---|---|---|---|---|---|---|---|---|---|---|
2002 | 두산 | 0.100 | 16 | 10 | 1 | 1 | 0 | 0 | 0 | 1 | 1 | 1 | 1 | 50% | 0 | 1 | 0 | 0 | 0.100 | |
2003 | 0.231 | 32 | 13 | 3 | 3 | 0 | 0 | 0 | 0 | 2 | 1 | 0 | 100% | 0 | 3 | 0 | 0 | 0.231 | ||
2005 | 0.118 | 16 | 17 | 2 | 2 | 0 | 0 | 0 | 0 | 2 | 0 | 0 | - | 1 | 9 | 0 | 0 | 0.118 | ||
2006 | 0.270 | 116 | 315 | 85 | 63 | 15 | 5 | 2 | 29 | 38 | 14 | 10 | 58.3% | 36 | 59 | 6 | 8 | 0.368 | 3루타 3위 | |
2007 | 0.268 | 126 | 444 | 119 | 77 | 29 | 1 | 12 | 66 | 89 | 36 | 10 | 78.3% | 78 | 105 | 9 | 14 | 0.419 | 득점 1위, 2루수 부문 골든글러브 | |
2008 | 0.267 | 126 | 427 | 114 | 87 | 15 | 3 | 9 | 70 | 84 | 39 | 9 | 81.3% | 88 | 109 | 10 | 13 | 0.379 | 4사구 1위, 삼진 1위, 볼넷 2위, 2년 연속 30도루 | |
2009 | 0.235 | 85 | 281 | 66 | 46 | 11 | 3 | 6 | 29 | 59 | 12 | 4 | 75% | 46 | 76 | 3 | 4 | 0.359 | ||
2010 | 0.205 | 100 | 293 | 60 | 43 | 10 | 1 | 6 | 35 | 53 | 11 | 3 | 78.6% | 48 | 67 | 4 | 3 | 0.307 | ||
2011 | 0.210 | 93 | 176 | 37 | 28 | 5 | 1 | 3 | 16 | 31 | 6 | 6 | 50% | 25 | 50 | 4 | 2 | 0.301 | ||
2012 | 0.265 | 58 | 151 | 40 | 26 | 10 | 1 | 3 | 26 | 33 | 7 | 1 | 87.5% | 16 | 28 | 5 | 5 | 0.404 | 8월 시즌아웃 | |
2013 | 0.286 | 10 | 14 | 4 | 2 | 1 | 0 | 1 | 1 | 3 | 1 | 0 | 100% | 3 | 5 | 1 | 0 | 0.571 | ||
2014 | 0.287 | 52 | 94 | 27 | 24 | 2 | 0 | 1 | 7 | 18 | 1 | 1 | 50% | 11 | 18 | 3 | 2 | 0.340 | ||
2015 | 0.328 | 41 | 67 | 22 | 18 | 1 | 0 | 3 | 11 | 13 | 4 | 2 | 66.7% | 9 | 22 | 4 | 1 | 0.478 | ||
2016 | 0.250 | 8 | 4 | 1 | 1 | 0 | 0 | 0 | 1 | 1 | 0 | 0 | - | 1 | 0 | 0 | 0 | 0.500 | ||
통산 | 14시즌 | 0.252 | 879 | 2306 | 581 | 420 | 100 | 15 | 46 | 291 | 427 | 133 | 47 | 73.9% | 361 | 553 | 49 | 22 | 0.368 |
굵은 글씨는 리그 1위 기록
각주 편집
- ↑ 두산, ‘베이징 영웅’ 고영민 전력 외 통보 - 스포츠동아
- ↑ 고영민, 결국 은퇴…kt 코치로 새 출발 - 스포츠동아
- ↑ WBC 공식 홈페이지 2009년 3월 16일 경기 박스스코어
- ↑ 도루성공률은 소수둘째 자리에서 반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