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중

고려의 문신

고영중(高瑩中, 1133년[1] ~ 1208년)은 고려의 문신이다. 본관은 옥구(沃溝), 자는 여회(如晦)이다.

생애 편집

어려서부터 문장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국자시(國子試)에서 시(詩)로 시험을 치러서 장원으로 합격[2]했으며, 1164년(의종 18) 문과에도 급제했다.

이후 황주목사(黃州牧使)·장서기(掌書記), 국학학정(國學學正),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차례로 역임했다.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이 난을 일으킨 후 조정에서 금에 고주사(告奏使)를 파견[3]하게 되었는데, 이 때 서경군에 의해 북쪽 길이 막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서기관(書記官)으로서 위험을 무릅쓰고 이를 수행했고, 돌아온 후 공을 인정받고 포상을 받아 대관서령(大官署令)·직사관(直史館)으로 승진했다.

이후 다시 당후관(堂後官), 감찰어사(監察御史),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 병부낭중(兵部郞中), 이부낭중(吏部郞中)·국자사업(國子司業), 중서사인(中書舍人)·지제고(知制誥)·국학직강(國學直講),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차례로 역임했다.

1199년(신종 2) 예빈경(禮賓卿)에 임명되었고[4], 이듬해 국자시를 주관하여 진화(陳澕)·노원규(魯元規) 등 102명을 선발했다.[5]

1202년(신종 5) 여러 차례 표문(表文)을 올려 은퇴하기를 청한 끝에 예빈경·동궁시강학사(東宮侍講學士)·지제고로서 치사(致仕)[6]했다.

이후 최당(崔讜)이 조직한 해동기로회(海東耆老會)에 참여했으며[7], 1208년(희종 4) 집에서 세상을 떠났다.[4]

가족 편집

출처는 본인의 묘지명이다.

  • 아버지 - 고돈겸(高惇謙) : 병부상서(兵部尙書)
  • 어머니 - 군기주부(軍器主簿) 박현인(朴玄仁)의 딸
    • 부인 - 검교태자사사(檢校太子司事) 이양서(李陽舒)의 딸
      • 장남 - 고간(高僴)
      • 차남 - 홍조(洪照) : 승려, 고영중보다 먼저 요절
      • 3남 - 고일(高佾)
      • 4남 - 고주(高做)
      • 5남 - 고정(高侹) : 예빈경(禮賓卿)
      • 6남 - 고천(高倩)
      • 첫째 사위 - 최입기(崔立基) : 고공낭중(考功郞中)
      • 둘째 사위 - 김선용(金璿瑢)

각주 편집

  1. 『졸고천백』에 실린 『해동후기로회 서문』에 의하면 1206년 당시 백광신(白光臣)과 함께 74세였다.
  2. 1161년(의종 15) 국자시에서 장원으로 합격한 고극중(高克中)이 고영중과 동일 인물일지도 모른다.
  3. 『고려사』 「명종세가」에 1175년(명종 5) 고주사로 차비서승(借秘書丞) 박소(朴紹)를 금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때의 일이 아닐까 한다.
  4. 『고영중 묘지명』
  5. 『고려사』 「선거지」
  6.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나는 일
  7. 『고려사』 「최유청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