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철학(Space Philosophy) 편집

공간철학(Space Philosophy)은 건축이 공간을 바라보는 관념적 오류가 있었다면 공간철학이라는 사유를 통해 건축의 의미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공간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간에 대한 이해의 틀이 필요하며 건축, 미학, 철학, 세계사를 통해 공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Space Philosophy must look at the essence by integrating Architecture, Philosophy, Aesthetics, and History.

건축, 철학, 세계사, 미학은 서로 다른 영역에서 학문적 성과를 이룩하여 왔다. 하지만 각각의 학문은 공간에 대한 인식에 있어 단편적 평가에 머물러왔다. 공간철학은 이러한 이분법적 학문체계를 거부하고 통섭적 시각에서 공간의 본질을 인식하는 것이다.

건축에 있어 공간을 다루는 문제는 형태와 기능의 문제를 넘어 본질적 문제에 까지 깊숙히 관계되어 왔다. 고대로 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물은 그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건축이 왜 시대성을 대표하는 건축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공간철학이라는 개념을 통해 건축을 바라보면 기존과는 다른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공간철학은 공간을 다루는 사람들에게 본질을 통해 공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천개의 눈'이다.

공간철학은 말로 규정지을 수 없는 또 다른 사유로 부터 시작된다. 이는 공간의 사유를 통해 공간이 가지고 있는 근원적 문제로 우리의 관심을 돌리자는 의미이다.

건축은 형태와 표현에 의해 이즘이 정해지지만 그것만으로 공간이 담고 있는 본질을 표현할 수 없다. 시대를 표현하는 많은 건축가들의 표현 속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수많은 사유의 체계가 내포되어 있다. 공간철학은 이러한 사유체계를 인식하기 위한 학문이다.

공간철학은 국민대학교 윤재은교수가 쓴 2007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학박사논문에서 제시된 이론이다. 그는 해체주의 건축의 공간철학적 의미체계(A Study on the Meaning System of Space Philosophy in De-constructivism Architecture)에서 공간철학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제시했다. 그가 제시하는 공간철학은 공간인식에 대한 본질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철학의 대상이 인간, 자연, 신, 우주 등 근원적 문제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면, 건축에 있어 철학의 대상은 공간에 대한 본질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따라서 건축에 있어 공간의 본질적 인식은 철학적 사유를 통해 접근하여야 할 첫 번째 대상인 것이다.

공간철학(Space Philosophy)의 접근 편집

첫째, 건축가의 마음가짐을 통한 접근 편집

건축가라고 해서 반드시 아방가르드적 사고를 가지고 건축행위를 하는 것은 아니다. 건축가는 일상적 건축가와 시대를 이끌어 가는 선구자적 건축가의 두 분류가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건축가는 시대를 이끌어가는 아방가르드적 사고체계를 가진 건축가를 말한다.

데카르트는 이성에 대한 사유 방법에서 합리적 이성을 통해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을 방법서설이라는 책을 통해 제시했다. 데카르트의 철학과 같이 건축가는 공간의 본질에 접근하기 위해 합리적 이성을 통한 통섭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둘째, 건축가의 철학적 사고에 의한 접근 편집

건축가의 사고가 관념적인가, 창조적인가에 따라 건축가의 접근 방법은 다르다. 관념적 건축가는 기존의 규칙을 따르지만 창조적 건축가는 자신의 의지를 따른다.

관념적 건축가는 시장의 우상처럼 남이 하는 말이나 생각을 믿고 따르지만, 창조적 건축가는 자신의 신념과 철학을 따르며 공간의 본질에 대해 연구한다. 만약 관념적 사고가 팽배해지면, 건축은 영원히 새로운 길로 나아갈 수 없다.

셋째, 창조와 모방에 대한 사유적 접근 편집

사유는 의식의 폭을 넓히는 무형의 행위로서 건축이 공간 의미로 확장되면 사유의 폭이 넓어진다. 사유의 폭은 공간 의미를 새롭게 하고 창조와 모방에 대한 본질적 문제를 고민하게 한다. 따라서 공간철학은 사유의 폭을 넓혀 창조와 모방의 대립을 통해 본질에 다가선다.

근대 건축가 루이스 설리반의 말처럼 형태가 기능을 따르던 시대는 모더니즘의 시기에서 막을 내렸다.이제 형태는 기능을 넘어 사유를 따른다. 따라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ever Follows Function)'는 설리반의 시대적 명제는 '형태는 철학을 따른다(Form ever Follows Philosophy)'는 명제로 바뀌었다.

넷째, 아름다움의 본질적 실체에 대한 접근 편집

플라톤은 모방론에서 “예술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려고 하였지만 아름다운 것들의 모방”만을 보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예술에 대한 본질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아름다운 것들에 의해 포장되지 않고 본질적 아름다움을 가져야 한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본질적 아름다움으로 아름다운 것들의 속성에 속하지 않는다. 플라톤은 이러한 본질을 선의 이데아라고 하였다.

  • 선의 이데아: 플라톤(Platon)는 모든 진리와 지식의 근원이 되는 최고의 이데아를 선의 이데아라고 했다. 그는 감각적 세계는 영원한 이데아의 불완전한 모상에 불과하며, 이데아야말로 존재와 변화의 원인이기 때문에 진리와 본질은 이데아의 세계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인간의 감각으로는 이데아의 세계에 접근이 불가능하며, 오직 이성을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다


선의 이데아를 통해 건축의 본질을 찾는 것은 건축가의 사유를 지배하는 공간철학에서 시작된다. 근대건축에 나타난 수많은 이즘들이 일시적 현상으로 끝나는 것은 건축에 담겨있는 공간철학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도시의 형성과 문화를 이끌어온 건축의 본질을 아름다운 것들의 굴레에서만 찾으려 해서는 안 된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기 때문에 사유의 틀인 공간철학을 통해 아름다움의 본질을 찾아야 한다.

다섯째, 건축 공간 개념의 확장적 접근 편집

공간에 대한 접근은 유형의 건축물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형이하학(Physics Science)적 방법에서 벗어나 무형의 공간개념으로 의식을 확장해야 한다. 건축은 단순히 물질적 형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쓰임새의 공간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 공간의 개념을 확장하여 진정한 쓰임새의 공간을 연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축의 본질은 물질로서의 양태가 아니라 쓰임새로서의 공간이다. 인간의 육체가 정신 없이 존재할 수 없듯이, 건축 또한 공간의 쓰임새 없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건축에서의 공간철학은 양태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비물질적 정신을 바라보아야 한다.

공간철학에 대한 학술적 연구 편집

  1. A Study on the “Space Philosophy” in the Theory of De-constructivism Architecture, Yoon, Jae Eun, AIDIA JOURNAL:VOL.3 (2004-03
  2.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Space Philosophy” Shown in the Architecture of Frank O. Gehry, Yoon, Jae Eun, Cha Young Ho, AIDIA JOURNAL:VOL.4 (2004-10)
  3. A Study on the Michel Foucault’s ‘Space Philosophy’ in History of de loa folie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 Architecture, Yoo, Jae Eun, Lee, Young Soo, AIDIA JOURNAL:VOL.4 (2004-10)
  4. The Spac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Differance’ as appeared in Deconstructionist Architecture, Design Principles & Practices, Common Geound, 2014 Vancouver International Symposium Poster Presentation
  5. Space Philosophy in Frank O. Gehry’s Architecture, Design Principles & Practices, Common Geound, 2014 Vancouver International Symposium Poster Presentation
  6. 공간철학 개념으로 본 물질과 비물질의 공간적 차이에 관한 연구,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9.11.12
  7. 공간철학의 사유체계에 관한 연구,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9.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