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하류(디노카리디다 Dinocaridida)[derivation 1]멸종절지동물을 닮은 해양 동물 화석이며 신더하네스를 제외하면 캄브리아기 초기에서 중기에 걸쳐 발견된다. 공하류는 아노말로카리스과오파비니아과로 나뉜다. 이 그룹의 이름은 그리스어 "deinos" 와 "caris"에서 온 것으로 "무서운 새우", ,혹은 무서운 게"라는 의미다. 겉보기에 갑각류와 비슷하고 이 그룹에 속한 동물들이 당시의 최상위 포식자라는 해석에서 나온 이름이다.

공하류는 좌우대칭인 몸을 가지고 있으며 광물질화되지 않은 큐티클층으로 덮여 있고 몸은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뉜다. 앞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부속지가 몸 아래쪽, 입 앞에 붙어있다. 몸통은 13 개 이상의 마디로 나뉘어 있는데, 각각은 아가미와 헤엄치는데 쓰이는 엽을 가지고 있다. 이 엽들은 위아래로 움직이며 마치 갑오징어목의 움직임처럼 몸을 앞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1]

공하류의 분류는 분명하지 않긴 하지만 줄기군 절지동물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연구에서 이들은 엽족동물문에 속하는 수수께끼 같은 형태의 동물들과 함께 묶이곤 한다.[2]

지리적으로 널리 분포했으며 캐나다, 중국과 러시아의 캄브리아기 지층,[3] 그리고 독일의 데본기 지층에서도 발견되었다.[4]

각주 편집

  1. 그리스어, "무서운 새우" – 때로는 디노카리다(Dinocarida)라고 쓰이기도 하지만 언어학적으로는 디노카리디다(Dinocaridida)가 정확하다 – Hou, Xianguang; Bergström, Jan; Jie, Yang (2006). “Distinguishing anomalocaridids from arthropods and priapulids”. 《Geological Journal》 41 (3–4): 259–269. doi:10.1002/gj.1050. 를 볼 것.

참고 문헌 편집

  1. Usami, Y. (2006). “Theoretical study on the body form and swimming pattern of Anomalocaris based on hydrodynamic simulation”.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238 (1): 11–17. doi:10.1016/j.jtbi.2005.05.008. PMID 16002096. 
  2. Budd, G. E. (1996). “The morphology of Opabinia regalis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arthropod stem-group”. 《Lethaia》 29: 1. doi:10.1111/j.1502-3931.1996.tb01831.x. 
  3. Ponomarenko, A. G. (2010). “First record of Dinocarida from Russia”. 《Paleontological Journal》 44 (5): 503–504. doi:10.1134/S0031030110050047. 
  4. Kühl, G.; Briggs, D. E. G.; Rust, J. (Feb 2009). “A Great-Appendage Arthropod with a Radial Mouth from the Lower Devonian Hunsrück Slate, Germany”. 《Science》 323 (5915): 771–3. Bibcode:2009Sci...323..771K. doi:10.1126/science.1166586. ISSN 0036-8075. PMID 19197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