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항국제여객터미널

광양항국제여객터미널(光陽港國際旅客 - , 영어: Gwangyang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은 전라남도 광양시에 있는 여객선 터미널이다. 2011년에 광양시와 일본 시모노세키시, 기타큐슈시의 모지항을 연결하는 여객선의 운항과 함께 개항하였다가 운휴중이다.

광양항국제여객터미널

위치

편집

전라남도 광양시 중동 중마일반부두에 위치하고있다.

역사

편집

구상

편집
  • 광양~시모노세키 국제카페리 취항´ 대비 착공[1]
  • 2010년 11월 19일 여수지방해양항만청이 광양항 중마일반부두에 광양~시모노세키간 국제카페리 취항을 위한 여객터미널 신축을 허가했다.
  • 홍콩의 광주 소재 기업이 최근 대규모 투자유치를 확정해 광양 - 시모노세키 항 카페리 개설을 추진, 호남권 농수산물 수출 및 중화권의 대일본 수출 전진기지로 활용할 계획이 있는듯하다.
  • 2018년 11월을 목표로 2007년된 진수된, 카페리 2만톤급을 들여와서 광양 - 시모노세키 노선의 재개설을 추진하고있다.

개설

편집
  • 2011년 ,광양항~일본 시모노세키항 운영선사인 광양훼리㈜가 운항을 개시하였다.[2]
  • 2016년, 광양라인㈜ 이 광양항~ 일본 시모노세키항 재개설을 추진하고있다.[3]
  • 2018년, 광양라인이 광양항- 일본 시모노세키항 재개설을 추진중에 있는듯하다.[4]

운항노선

편집
여객선 목적지 선사
미정 시모노세키 (18년 취항예정)

여론

편집
  • 국제항로 재취항 해야한다는 여론이 다시 제기되고 있으나 전남도의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5]
  • 한편 전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 이용재(새정치·광양1)의원은 “전남은 서해와 남해를 끼고 있는 유일한 지자체이지만, 바다 활용은 미비하다”며 “관광과 농수산물 수출 활성화, 투자유치 기반마련을 위해 목포-중국, 광양-일본 간 정기 카페리 여객선을 운항시켜야 한다”“광양항의 물류비가 부산항의 절반 수준에 지나지 않아 화물 경쟁력이 충분하고, 광양-일본 시모노세키, 목포-상해 간 노선이 인천보다 12시간 이상 단축되는 등 유리한 조건에 있다”며 “기초단체의 힘만으로는 선사 유치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전남도가 국제정기여객선사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6]
  • 광양 - 시모노세키 항로를 재개한다는 움직임과 보조금 지원이 전제로 되면 안된다는 광양시와 전라남도청이 문제를 제기하고있다.[7] ,[8]
  • 광양-일본 카페리 운항 과제는?-R - 유튜브
  • 전남도가 지난 2012년이후 중단된 광양- 시모노세키 노선 운항 재개를 추진하고있다.[9]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