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입체기하학

구조적 입체기하학(構造的立體幾何學, 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이전 명칭: computational binary solid geometry)은 솔리드 모델링에 쓰이는 기법의 하나이다. 구조적 입체 기하학은 모델러가 복잡한 표현이나 오브젝트를 만들 수 있게 하며, 이는 단순한 오브젝트를 병합하기 위해 불린 연산자를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1] 종종 CSG는 시각적으로 복잡하게 보이는 모델이나 표현을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영리하게 병합된 것 또는 분리된 오브젝트들 정도이다.[2]

CSG 오브젝트들은 바이너리 트리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안에서 리브(leave)는 프리미티브를, 노드(node)는 연산자를 나타낸다. 이 그림에서 노드는 교차를 위해 로, 조합을 위해 로, 차이를 위해 로 명명되어 있다.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CAD에서 CSG는 절차적 모델링에 종종 사용된다. CSG는 폴리곤 메시에도 수행할 수 있으며 절차성/파라메트릭성을 따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CSG의 작업

편집
 
조합(Union)
2개의 오브젝트를 하나로 합친다
 
차이(Difference)
한 오브젝트를 다른 오브젝트에서 제외시킨다
 
교차(Intersection)
오브젝트 두 개에서 공통이되는 부분

CSG를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편집

제네릭 모델링 언어 및 소프트웨어

편집

광선 추적 및 입자 전이

편집

게이밍

편집

기타

편집

각주

편집
  1. Foley, James D. (1996), 〈12.7 Constructive Solid Geometry〉, 《Computer Graphics: Principles and Practice》, Addison-Wesley Professional, 557–558쪽, ISBN 9780201848403 .
  2. Bloomenthal, Jules; Bajaj, Chandrajit (1997), 〈5.2.5 Intersection with CSG Trees〉, 《Introduction to Implicit Surfaces》, Morgan Kaufmann, 178–180쪽, ISBN 97815586023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