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원지방도 제37호선

(국지도 제37호선에서 넘어옴)

국가지원지방도 제37호선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인월면 서무리 인월 교차로에서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율리 장풍삼거리를 잇는 대한민국국가지원지방도이다.

국가지원지방도
37
지방도 제37호선
남원 ~ 거창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7호선
총연장 75.4km
기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인월면
주요
경유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경상남도 함양군
경상남도 거창군
종점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주요
교차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지방도 제742호선
지방도 제751호선
지방도 제1001호선

역사 편집

본래 1994년 국도 연장 및 신설 계획안에 포함되지 않은 구간이었으나 2001년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을 전면 개정하면서 새로 지정된 노선이다.

  • 2001년 8월 25일: 국가지원지방도 제37호선 남원 ~ 거창선으로 노선 지정[1]
  • 2003년 7월 24일 :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 거창군 북상면 월성리 3.98 km 구간 개통[2]
  • 2010년 7월 15일 : 강정모리 위험도로(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450m 구간 개량 개통[3]
  • 2012년 1월 26일 : 종점을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에서 마리면으로 변경[4]

주요 경유지 편집

전북특별자치도
경상남도

노선 편집

전라북도 편집

이름[5]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인월 교차로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황산로)
남원시 인월면 시점
(이름 없음) 인월장터로 12호선 광주대구고속도로
지리산 나들목과 간접 연결
취암교
지산초등학교(폐교)
아동교
아영면
아영사거리 지방도 제751호선
(흥부로)
아백로
의지교
율동삼거리 율동1길

경상남도 편집

이름[5]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오천2육교
오천교
함양군 백전면
대평삼거리 지방도 제1001호선
(함양남서로)
지방도 제1001호선과 중복
(이름 없음) 구산대안로
운산교 지방도 제742호선
(운산길)
백운초등학교(폐교)
백운교
(이름 없음) 백운로
원통재
(빼빼재)
서하면
서하초등학교 운정분교(폐교)
운곡교
송계교
서하면사무소
송계삼거리 국도 제26호선
(육십령로)
송계길
국도 제26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1001호선과 중복
(송계통로) 서상로 서상면 국도 제26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1001호선과 중복
상행선 서상 나들목 이용시 진출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도천교 국도 제26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1001호선과 중복
오산2교 대남로 국도 제26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1001호선과 중복
하행선 서상 나들목 이용시 진출
오산1교
중남교
국도 제26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1001호선과 중복
중남사거리 국도 제26호선
(육십령로)
서상로
동대1교
동대2교
동대3교
덕남초등학교(폐교)
영각교
영각사
지방도 제1001호선과 중복
남령
거창군 북상면
월성2교
월성1교
산수교
농산교
북상교
북상면사무소 지방도 제1001호선
(송계로)
수승대
황산교
위천면
(회전 교차로) 모동길
원학길
위천2교
(이름 없음) 송계로
원학길
거창남산농공단지 송계로
장풍삼거리 국도 제37호선
(빼재로)
마리면 종점

도로명 편집

미래 편집

2015년 12월 88올림픽고속도로함양군 백전면 구간이 이설되면 구 고속도로 일부로 노선 지정이 변경될 계획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대통령령 제17349호 공포,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2. 경상남도공고 제2003-334호, 2003년 8월 7일.
  3. 경상남도공고 제2010-501호, 2010년 7월 15일.
  4. 대통령령 제23560호,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5.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