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군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群山自由貿易地域管理院)은 자유무역지역의 관리·운영 및 수출산업 지원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속기관이다. 2005년 10월 25일 발족하였으며, 전라북도 군산시 자유로 482에 위치하고 있다. 원장은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군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설립일 2005년 10월 25일
전신 익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소재지 전라북도 군산시 자유로 482
직원 수 17명
상급기관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웹사이트 http://www.motie.go.kr/ftz/gunsan/

설치 근거 및 직무

편집

설치 근거

편집

직무

편집
  • 군산자유무역지역의 관리·운영 등에 관한 사항
  • 수출산업 지원에 관한 사항

연혁

편집

자유무역지역

편집
1960년대
  • 1964년 9월 14일: 「수출산업공업단지 개발조성법」 제정 공포(수출전용단지로 보세구역이며 30%범위내 내수판매 가능)
  • 1969년 2월 5일: 이리지방공업단지 조성 공고(1,426천m2)
  • 1969년 7월 1일: 이리지방공업단지 조성 공고(1,426천m2)
  • 1969년 10월 1일: 이리지방공업단지 공사착공
1970년대
  • 1970년 1월 1일: 「수출자유지역설치법」 제정
  • 1970년 3월 24일: 건설부 이리지방공업단지 조성 실시계획 인가
  • 1972년 1월 28일: 이리지방공업단지 분양개시
  • 1973년 1월 15일: 공업단지관리의 일원화를 위하여 공업단지관리청 발족
  • 1973년 5월 5일: 건설부 이리지방공업단지를 공업단지 장려지구로 지정(장려지구내에서는 조세감면 부여)
  • 1973년 10월 8일: 지방공업단지 일부를 수출자유지역으로 지정(수출자유지역 922천m2, 지방공업단지 1,426→504천m2)
  • 1973년 10월 17일: 이리수출자유지역 공사 착공
  • 1974년 12월 31일: 이리수출자유지역 및 지방공업단지 조성 완료(총 1,426m2)
  • 1975년 2월 5일: 이리수출자유지역관리소 개소
  • 1975년 8월 29일: 귀금속 제1단지에 귀금속 보석가공수출업체 집단화
  • 1975년 12월 31일: 「공업단지관리법」 제정 공포
  • 1976년 1월 26일: 수출자유지역 일부(689천m2)와 지방공단(504천m2)를 합쳐 수출산업공단지정(수출자유지역 922→233천m2,수출산업공업단지 1,193천m2)
  • 1976년 11월 29일: 수출산업공업단지 일부(118천m2)를 수출자유지역으로 전환(수출자유지역 233→351천m2,수출산업공업단지 1,193→1,075천m2)
  • 1976년 12월 31일: 「공업단지관리법」 개정으로 '수출산업공업단지 개발조성법' 폐지
  • 1979년 9월 12일: 수출자유지역 일부(32천m2)를 수출산업공업단지로 전환후 귀금속 제2단지 조성(수출자유지역 351→319천m2,수출산업공업단지 1,075→1,107천m2)
1980년대
  • 1982년 9월 12일: 수출산업공업단지를 국가공업단지로 변경
  • 1987년 4월 16일: 귀금속 제2단지 분양
  • 1989년 11월: 수출자유지역 일부(9천m2)를 산업단지로 전환. 자유지역 철책이설(7,491m2)에 따른 도로면적 및 기 분양된 공단주유소 면적(1,269m2)을 산업단지로 편입(수출자유지역 319→310천m2, 산업단지 1,107→1,116천m2)
1990년대
  • 1990년 1월 13일: 「공업배치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 시행(공업배치법, 공업단지관리법 폐지)
  • 1992년 7월 16일: 이리국가공업단지 관리기본계획 제정(상공부고시92-23)
  • 1995년 7월 13일: 익산수출자유지역관리소로 명칭변경(이리시와 익산군을 익산시로 통합)
  • 1995년 12월 29일: 「공업배치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 개정으로 공업단지를 산업단지로 변경
  • 1996년 4월 6일: 익산국가산업단지 관리기본계획 개정(통상부고시96-39). 귀금속 보석 가공공정에 필요한 제조업종 3개 추가
  • 1999년 1월: 전라북도 군산자유무역지역 지정요청
  • 1999년 8월: '수출자유지역의 제도개편 및 신규지정방안'산업연구원 연구용역 결과 군장국가산업단지를 최적지로 평가
  • 1999년 12월: '한국개발연구원 군장수출자유지역 조성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입지적 타당성 및 경제성 인정
2000년대
  • 2000년 1월: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등에 관한 법률 공포
  • 2000년 10월: 군산자유무역지역 지정 및 기공식 개최
  • 2001년 7월: 군산자유무역지역 부지 준설매립 완료
  • 2001년 12월: 조달청과 건축공사 일괄대행관리 약정체결
  • 2002년 3월: 부지조성 및 기반공사(도로,상하수도 등) 착수
  • 2002년 10월: 실시설계 완료
  • 2002년 12월: 건축공사(청사동, 업무지원동, 물류창고, 표준공장) 착공
  • 2003년 12월: 부지조성 및 기반공사 완료
  • 2005년 9월: 건축공사 완료
  • 2005년 10월 24일: 군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으로 이전
  • 2010년 12월 31일: 익산자유무역지역 지정 해제(지식경제부고시 제 2010-227호)

자유무역지역관리원

편집
  • 1974년 12월 31일: 공업진흥청 소속으로 이리수출자유지역관리소 설치.
  • 1978년 7월 26일: 상공부 소속으로 변경.
  • 1993년 3월 6일: 상공자원부 소속으로 변경.
  • 1994년 12월 23일: 통상산업부 소속으로 변경.
  • 1995년 7월 13일: 익산수출자유지역관리소로 개편.
  • 1998년 2월 28일: 산업자원부 소속으로 변경.
  • 2000년 9월 9일: 익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으로 개편.
  • 2005년 10월 25일: 군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으로 개편.
  • 2008년 2월 29일: 지식경제부 소속으로 변경.
  • 2013년 3월 23일: 산업통상자원부 소속으로 변경.

조직

편집

원장

편집
  • 관리과[2]
  • 수출산업과[3]
  • 비상계획과[4]

각주

편집
  1.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자유무역지역을 관리·운영하고 수출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행정기구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
  2.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 또는 시설사무관으로 보한다.
  3. 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 또는 시설사무관으로 보한다.
  4. 전문경력관 가군으로 보한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