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뚜라미붙이목

귀뚜라미붙이목(Grylloblattodea)은 2000년대 들어 귀뚜라미붙이아목으로 취급되곤 하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귀뚜라미붙이목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아강: 유시아강
하강: 신시하강
목: 귀뚜라미붙이목
(Grylloblattodea)
아목
  • 본문 참조

무시귀뚜라미붙이목(Notoptera)은 Arillo and Engel (2006)에 의해 귀뚜라미붙이목(Grylloblattodea)과 대벌레붙이목(Mantophasmatodea)를 하나로 묶어 목 수준으로 보면서 오래 전에 사용되었던 명칭을 되살린 목명이다. 실제로 이러한 주장은 나름의 설득력을 갖추고 있어서 근간에 두 개의 목은 아목 수준으로 바뀌어 무시귀뚜라미붙이목 안으로 편재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명칭은 Grylloblattodea를 귀뚜라미붙이목으로 부르는 만큼 Notoptera에 적합하면서 두 아목의 명칭과 혼동되지 않도록 겹치지 않는 명칭이 제시되어야 하며, 그런 의미에서 두 아목이 모두 날개가 없다는 특징을 근거로 하여 무시귀뚜라미붙이목으로 명명한 바 있다(Kim et al., 2018).

귀뚜라미붙이목 내지 귀뚜라미붙이아목은 몸이 가늘고 길며, 날개가 없다. 흰색 또는 회갈색의 곤충으로 겹눈이 없거나 퇴화하였다. 촉각은 실 모양이며, 입은 되새김을 한다. 배 부분에는 한 쌍의 긴 꼬리털이 있다. 대부분 동굴이나 돌 밑, 썩은 나무 속, 썩은 잎 밑에서 생활한다. 과거 갈루아벌레목 또는 갈로와벌레목으로 불린 적도 있다.

하위 분류 편집

  • Tillyardembiidae
  • Blattogryllidae

한국 종 편집

한국에는 3속 9종 이상의 귀뚜라미붙이가 알려졌으며 세계에서 제일 많다. 고수귀뚜라미붙이는 환경 파괴로 현존 여부가 불확실하다. 노동귀뚜라미붙이의 속명은 아메리카의 귀뚜라미붙이의 속인 Grylloblatta로 명명되어 있는데 이는 등록자의 실수로 추정된다. 남궁기아속(Namkungia)는 동굴생물학자 남궁준의 이름에서 유래했고, 동속 동대귀뚜라미붙이는 세계 최대의 귀뚜라미붙이이다.

  • 고수귀뚜라미붙이=고수갈로와벌레 (Galloisiana kosuensis Namkung, 1974)
  • 백두귀뚜라미붙이=백두갈로와벌레 (Galloisiana sinensis Wang, 1987)
  • 묘향귀뚜라미붙이=묘향갈로와벌레 (Galloisiana sofiae Szeptycki, 1987)
  • 오대산귀뚜라미붙이=오대산갈로아벌레 (Galloisiana odaesanensis Kim & Lee, 2007)
  • 노동귀뚜라미붙이=노동갈로아벌레 (Grylloblatta nodongensis Kim & Choi, 2012)
  • 예봉귀뚜라미붙이=예봉갈로아벌레 (Galloisiana yebongsanensis)
  • 비룡귀뚜라미붙이=비룡갈로와벌레 (Namkungia biryongensis Namkung, 1974)
  • 동대귀뚜라미붙이=동대갈로와벌레 (Namkungia magnus Namkung, 1986)
  • Grylloblattina djakonovi djakonovi Bei-Bienko, 1951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에 제안된 계통 분류이다.[1]

신시류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민벌레목

망시상목

사마귀목

바퀴목흰개미목

무시귀뚜라미붙이목

대벌레붙이아목

귀뚜라미붙이아목

흰개미붙이목

대벌레목

메뚜기목

여치아목

메뚜기아목

다듬이벌레목이목

총채벌레목

노린재목

내시상목

각주 편집

  1. Kathirithamby, Jeyaraney. 2002. Strepsiptera. Twisted-wing parasites. Version 24 September 2002. [1] in The Tree of Life Web Project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