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예비군단

근위예비군단(독일어: Garde-Reserve-Korps; GRK)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육군의 군단급 부대 중 하나이다.

근위예비군단
Garde-Reserve-Korps
독일 제국의 장군사령부 참모기
활동 기간1914년 8월 2일 - 1915년 2월 9일
1915년 7월 7일 - 1918년 11월 이후
국가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육군
규모군단
약 38,000 여명
참전제1차 세계 대전

근위예비군단은 1914년 8월 전쟁이 터졌을 때 육군 동원령이 내려짐으로써 조직되었다.[1] 초대 군단장은 포병대장 막스 폰 갈비츠였다.[2] 1915년 2월 9일 군단 본부가 동부전선의 "갈비츠 집단군(이후 제12군)"으로 바뀌면서 근위예비군단은 없어졌다.

이후 1915년 7월 7일에 임시 군단원수부(Corps Marschall)가 조직되고 1916년 4월 18일 근위예비군단으로 개칭하였다.[3] 이 두 번째 근위예비군단은 전쟁 종료 시점까지 존재했으며[4] 종전 시점에 서부전선제4군에 속해 있었다.[5]

전투서열

편집

26개 보병대대, 9개 기관총중대(기관총 54문), 6개 기병대대, 24개 야포대(야포 144문), 4개 중포대(중포 16문), 3개 공병중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군단급 사단급 여단급 예하 부대
근위예비군단[6] 제3근위보병사단 제5근위보병여단 제5보병근위연대
제5근위척탄병연대
제6근위보병여단 근위수발총병연대
교도보병연대[7]
제3근위야포여단 제5근위야포연대
제6근위야포연대
근위예비창기병연대
제28공병대대 1중대
제3근위사단부잔교훈련대
제1근위의무중대
제3근위의무중대
제1근위예비사단 제1근위예비여단 제1근위예비보병연대
제2근위예비보병연대
근위예비엽병대대
제15예비보병여단 제64예비보병연대[8]
제93예비보병연대[9]
근위보병사격병대대
근위예비야포여단 제1근위예비야포연대
제3근위예비야포연대
근위예비용기병여단
제28공병대대 제2중대
제28공병대대 제3중대
제2근위사단부잔교훈련대
제2근위예비의무중대
군단 직속병력 제1근위보병포연대 제2대대[10]
근위예비군단부잔교훈련대
근위예비전화분견대
제28공병탐조등과
군수훈련종대

각주

편집
  1. Cron 2002, 86쪽
  2. The Prussian Machine Accessed: 3 March 2012
  3. Cron 2002, 88쪽
  4. Cron 2002, 88–89쪽
  5. Ellis & Cox 1993, 186–187쪽
  6. Cron 2002, 308쪽
  7. Busche 1998, 4쪽
  8. Busche 1998, 24쪽 베를린 제2보병근위대에서 동원
  9. Busche 1998, 31쪽 베를린 제4보병근위대에서 동원
  10. Cron 2002, 142쪽 4개 포대로 구성(각 포대에 중곡사포 4문)

참고 자료

편집
  • Cron, Hermann (2002). Imperial German Army 1914-18: Organisation, Structure, Orders-of-Battle [first published: 1937]. Helion & Co. ISBN 1-874622-70-1. 
  • Ellis, John; Cox, Michael (1993). The World War I Databook. Aurum Press Ltd. ISBN 1-85410-766-6. 
  • Busche, Hartwig (1998). Formationsgeschichte der Deutschen Infanterie im Ersten Weltkrieg (1914 bis 1918) (독일어). Institut für Preußische Historiographie.